View : 9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희-
dc.creator박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35-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research, it is intened to investigate the study of function concept formation by clsssification of high class and low class. For this purpose,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class and the necessary ability to learn function concept was investigated. Necessity, purpose, subjects and limitation of study is presented in an introduction. Chapter Ⅱ is for the study of variable concept and function concept. Chapter Ⅲ is inten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function by examing change of the guidance contents of function for the middle school. Method and procedure of research are stated, it is possible to get the follwing conclusion. 1. More students of low class have no answers than those of high one.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see the function the relation of a rule inthe position of subordination rather than correspondence. 2. The conclusion of dividing the first test into high or low class is the almost similar outcome of the two classes about the comprehension ability, Because it is about a concept, the difference of two classes' calculating ability isn't big. 3.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and third grade students have the concept of correspondence,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have the function concept of the relation of a rule.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whole students into high and low class was that the most of low class students have no answers and the most of high class students have the concept of correspondence. 4.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육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함수 개념 학습에서 현재 중학교 학생들이 갖고 있는 함수의 개념들 알아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중학교 학생들을 상위 집단,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개념의 차이가 있는지, 함수 개념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학습능력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문제와 연구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변수와 함수 개념의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분석에 필요한 선행연구와 개념 형성에 필요한 학습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 중학교 함수 지도 내용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함수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연구 방법 및 절차를 밝히고, Ⅴ장에서는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하위 집단 학생들은 상위 집단 학생들보다 무응답이 많았고 대응관계보다 종속의 입장에서 함수를 규칙, 법칙관계로 본다고 할 수 있다. 2. 1차 시험을 상위 집단,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본 결과 이해 능력에 관한 상위 집단, 하위 집단 결과가 거의 비슷하다. 개념에 관한 문제이므로 계산 능력에 관한 상위 집단, 하위 집단간의 개념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3. 1, 3학년이 대응의 관점으로 보고 2학년이 종속과 규칙, 법칙관계의 함수 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 2, 3학년 전체를 상위 집단, 하위 집단을 구분해 본 결과 하위 집단은 대다수가 무응답이고 상위 집단은 대다수가 대응의 관점이었다. 4. 남학생, 여학생 성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함수 개념 = 4 B. 용어의 정의 = 6 C. 선행 연구 조사 = 8 D. 개념 형성에 필요한 학습능력 = 9 D. 조사 집단의 성별 비교 = 11 Ⅲ.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의 함수 = 12 A. 중학교 1학년 = 12 B. 중학교 2학년 = 12 C. 중학교 3학년 = 14 Ⅳ. 연구 방법 = 16 A. 연구 대상 = 16 B. 연구 설계 = 16 C. 질문지 개발 = 17 D. 조사 방법 = 18 E. 분석 방법 = 19 Ⅴ. 결과 분석 = 26 A. 1학년 결과 분석 = 26 B. 2학년 결과 분석 = 31 C. 3학년 결과 분석 = 37 D. 1, 2, 3 학년별에 따른 비교 = 44 E. 전체학년 상위 집단, 하위 집단의 비교 = 45 Ⅳ. 결론 및 제언 = 49 A. 결론 = 49 B. 제언 = 52 참고문헌 = 53 부록 = 55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01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상위 집단-
dc.subject하위 집단-
dc.subject함수 개념 형성-
dc.title상위 집단, 하위 집단 구분에 의한 함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Function Concept Formation By Classification of High Class and Low Class-
dc.format.pagevi, 7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