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지방산조성이 다른 식이지방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 및 과산화물대사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방산조성이 다른 식이지방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 및 과산화물대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etary Fats that Differ in Primary Compositional Fatty Acids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Authors
權肅英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지방산조성식이지방체내 지질대사과산화물대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섭취되는 식용유지이면서 주요 지방산이 다른 팜유, 우지, 콩기름, 들기름을 식이무게의 15% 수준으로 하여 흰쥐에게 12주간 섭취시켰을 때 나타나는 지질대사 및 지질과산화물 대사의 변화를 알고자 시행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식이지방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식이효율은 팜유군이 다른 세 군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간의 무게는 들기름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부고환 지방과 신장의 무게는 네 군간 차이가 없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식이지방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VLDL중성지방량은 우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들기름군과 콩기름군의 VLDL중성지방량이 우지군, 팜유군보다 낮았다. 혈장 중성지방량은 우지군, 팜유군이 들기름군, 콩기름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LDL콜레스테롤량은 식이지방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HDL콜레스테롤량과 혈장의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는 유의적은 아니나 우지군이 낮은 경향이었다. 간의 중성지방량은 우지군과 팜유군이 들기름군과 콩기름군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간의 콜레스테롤량은 팜유군과 콩기름군이 우지군과 들기름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Thromboxane B(_2)함량은 콩기름군이 가장 많았으며 우지군과 들기름군이 유의적으로 적었다. 6-keto prostaglandin F(_1α)함량은 thromboxane B(_2)와 같은 경향이었다. TXB(_2)/6-keto PGF(_1α) 비율은 식이지방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콩기름군이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혈장과 간의 지질과산화물함량은 네 군간 차이가 없었다. 간에서는 catalase와 glutathion peroxidase활성이 적혈구에서는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활성이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한 들기름군과 콩기름군이 우지군이나 팜유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당질위주의 식생활로 인해 혈청콜레스테롤보다는 혈청중성지방의 증가로 인한 고지혈증환자가 더 많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한 들기름과 콩기름이 포화지방산을 함유한 우지와 팜유보다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에는 더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식이지방의 15% 수준에서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인해 우려되는 과산화물 생성으로 인한 신체의 손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식이지방의 15% 수준이상으로 과도한 불포화 지방산 섭취시 과산화물생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P/S ratio를 고려한 적절한 지방섭취 권장량과 항산화제인 selenium이나 vitamin E 의 첨가와 관련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effect of dietary fats that mostly consumed by Koreans and differ in primary compositional fatty acids on lipid metabolism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s. Dietary fat level was 15% and dietary fats were palm oi1,beef tallow, soybean oil and perilla oil, The experimental periods were 12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weight gain and food intake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 Weight of liver is heigher in perilla oil group than other groups. The content of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in plasma and LDL cholesterol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 but that of triglyceride in plasma and VLDL triglyceride heigher in beef tallow group. The content of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in liver were heigher beef tallow group and palm oil. group than perilla oil group and soybean oi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duction of TXB_(2) and 6-keto PGF_(1α) was the heigher in soybean oil group. TXB_(2)/6-keto PGF_(1α) ratio is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 The level of TBARS in plasma and liver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liver,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dase were heigher in perilla oil group and soybean oil group than palm oil group and beef tallow group. Erythrocytic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were heigher perilla oil group and soybean oil group than palm oil group and beef tallow group. In conclusion, the level of lipid peroxide in dietary fat level 15% was not increase because the activities of lipid peroxide metabolizing enzymes were increase in erythrocyte and liver. Therefore soybean oil and perilla oil were more desirable in preventing disease of the circulatory because of their hypolipidemic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