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주요 식물성 원료의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과 방사선 조사 예비 Screening

Title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주요 식물성 원료의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과 방사선 조사 예비 Screening
Other Titles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and preliminary screening of irradiation of botanical raw materials used for functional health foods
Authors
이지혜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상석
Abstract
With the legisl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ct, 2004"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related industry is vitalized through organizing and coordinating resources in the functional health food market. Yet the enactment is still in its introductory stage and numerous problems related to adverse side-effects and damages to the consumer. Under current study, potential biological hazard on botanical raw materials that are used in the popular functional health food were reviewed. 37 of 14 major ingredients of functional health food were selected based on the 'Mornitoring the harmful ingredients of functional health foods-case surveys and consumer surveys on side-effect of functional health foods' and performed biological analysis on these samples. For six samples of "Saeng-shik", uncooked food and four samples of aloe powder products that are prepared without heating or any other sanitation process, we performed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also studied feasibility of radio active radiation by applying PSL. Aerobic plate count spreads between 10³ CFU/g and 10^(6) CFU/g on 37 major vegetable ingredient samples. For coliforms count, six of them fell below detection limit of 10 CFU/g and other 31 samples showed 10² - 10^(5) CFU/g. For food poisoning bacteria count, no E. coli, Salmonella spp., or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but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on 12 samples of 8 major ingredients. For aloe powder, only one sample out of four showed Aerobic plate count 10⁴ CFU/g, coliforms count 10³ CFU/g. Saeng-sik samples showed Aerobic plate count of 10³ - 10^(7)CFU/g. For coliforms, two of those sample fell below detection limit but other four showed 10³ - 10^(5) CFU/g. Various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detected on differing samples of raw food. Radio active radiation feasibility with PSL showed two positives, one negative and one intermediate on aloe powder samples and three positives, two negatives and one intermediate on raw food samples.;본 연구에서는 건강식품섭취 후 부작용 발생 보고서 바탕으로 선정한 국내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주요 식물성 원료 14종 37개 품목과 가공공정 중 가열이나 살균공정이 없어, 미생물학적 위해가 우려되는 생식 최종제품 6품목과 알로에분말 4품목을 대상으로 공전시험법(식약청, 2002)와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FDA, 2001)에 근거하여 미생물학적 분석과 PSL을 이용하여 생식 최종제품과 알로에분말의 방사선 조사 가능성을 검지하였다. 식물성 원료 총 14종 37품목을 대상으로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측정한 결과, 총균수는 37품목에서 10³ - 10^(6) CFU/g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군수는 검출한계(〈10 CFU/g)에서 불검출된 품목이 6개이며, 나머지 31개 품목에서는 10² - 10^(5) CFU/g 검출되었다. 총 14종 37품목의 식물성 원료의 식중독균 정성 분석 결과, E. coli와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Bacillus cereus의 경우 구기자, 백출, 산수유, 운지, 천궁, 황기, 알로에, 인삼의 8종 12개 품목에서 검출되었다. 알로에 분말제품 4품목 중 알로에 A시료에서만 총균수 10⁴ CFU/g, 대장균군수는 10³ CFU/g 검출되었고,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나머지 3품목에서는 식중독균도 검출되지 않았다. 생식제품의 미생물 분석 결과 6개의 시료에서 총균수는 10³ - 10^(7) CFU/g까지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6개의 시료 중 2개 시료는 검출한계에서 불검출되었으며, 4개 시료에서 10³ - 10^(5) CFU/g까지 검출되었다. 생식 A시료의 경우 대장균군 및 E. coli,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의 식중독균은 검출한계에서 불검출되었으나 Staphylococcus aureus가 3.2×10^(6) CFU/g이었으며, 생식 B시료에서는 Staphylococcus aureus는 8.0×10³ CFU/g Bacillus cereus는 8.4×10³ CFU/g 검출되었다. 생식 C시료는 Salmonella spp. 3.6×10³ CFU/g과 Staphylococcus aureus 3.7×10⁴ CFU/g이 검출되었다. 생식 D에서는 Bacillus cereus 가 2.8×10⁴ CFU/g이 검출되었고 생식 E는 시료 중 유일하게 식중독균이 검출한계에서 불검출 되었으며, 생식 F는 Salmonella spp. 2.5×10³ CFU/g 이하, Bacillus cereus 5.2×10³ CFU/g이 검출되었다. 스위스에서 건조상태의 수입품의 방사선조사 여부를 예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PSL을 이용하여 알로에 분말제품과 생식의 방사선조사 가능성을 monitoring한 결과 Photon counts 700이하는 negative, 700 - 5000은 intermediate, 5000이상은 positive로 표시하여 방사선조사 가능성 여부를 의심하고 있다. 알로에 A시료에서는 488 - 827 Photon counts로 negative,알로에 B시료는 17362 - 65220 Photon counts로 positive였으며 알로에 C시료는 3762 - 4417 intermediate였다. 알로에 D시료는 24155 - 35821 Photon counts로 positive였다. 생식시료 A는 5154 - 11173 Photon counts로 positive였고 생식 B도 17385 - 29135 Photon counts로 positive였다. 생식 C는 438 - 488 Photon counts로 negative였으며 생식 D는 10²7 - 1566 Photon counts으로 intermediate였으며, 생식 E는 423 - 548 Photon counts으로 negative, 생식 F는 4751 - 7877 Photon counts로 positive의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한정된 시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미생물위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미생물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하며, 외국의 미생물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미생물 규격도 정성적으로 미생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아닌, 정량적으로 안전한 범위내에서 미생물의 관리를 위한 판단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