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목표설정과 피드백 유무에 따른 운동학습 효과

Title
목표설정과 피드백 유무에 따른 운동학습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Goal-setting as a Function of Feedback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Authors
최진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설정과 피드백의 유무에 따른 운동학습과 수행의 효과를 구명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의해 E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대학원생 40명을 대상으로 목표설정여부와 피드백의 유무를 달리하여 네 집단의 조건(비 목표설정과 피드백을 제공받지 않은 집단, 피드백만 제공 받은 집단, 목표설정만 제공받은 집단, 목표설정과 피드백을 모두 제공받은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과제는 평형성 유지 과제였고, 기자재는 평형계(stabilometer)를 사용하였다. 이 과제는 좌우로 기울어지는 평형계 판(floor)위에 피험자가 양발을 올려놓고 조절된 5도의 각내에서 30초 동안 균형을 유지하는 시간(Time On Balance)(TOB)을 측정하는 것이다. 각 피험자는 연습단계에서 각 수행을 5회를 1분단으로 하여 총 8분단과 총 40회를 수행하였고, 24시간 후에 목표설정과 피드백의 유무에 따른 처치 없이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연습단계에서 목표설정(2)과 피드백의 유무(3)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반복측정(8)에 의한 실험설계(2×3×8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에 따라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고, 유의한 변량분석결과에 대해서는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파지단계에서는 목표설정(2)과 피드백의 유무(3)에 따른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피드백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목표설정과 피드백의 유무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목표설정의 주 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분단과 목표설정 및 피드백의 유무간의 상호작용효과와 분단과 목표설정의 상효작용효과, 그리고 분단과 피드백의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분단에 대한 수행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파지단계의 분석 결과 피드백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목표설정과 피드백의 유무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목표설정에 따른 주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효과적이었다. 선행연구에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운동수행 및 운동학습에 효과적일 것이란 연구결과와 달리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목표설정의 여부는 피드백의 제공 유무보다 운동학습에 있어 큰 차이를 유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n motor learning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goal-setting and existence of feedback. For this purpose, 40 female volunteer university students have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4 groups, 10 students each group. The conditions of four group are as follows based on non goal- setting & no feedback, only feedback was offered, only self-willed goal setting, both self-willed goal -setting & feedback are offered. stabilometer was used to carry out the test. The TOB(time on balance) was measured while the test subject puts both feet on the inclining stabilometer floor and balance for 30 second under five degree angle. Total of eight partitions(40 trainings) were carried out and each five times of training at practice level that test subject implemented equals to one partition. After 24 hours, a relation test was done independently of achievement goal setting and feedback's. Following 2×3×8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the independent variable factors were goal setting(2), existence of feedback(3)) 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was applied to analyze the statistics. The significance level was .05 and Scheffe test was done with related ANOVA test results. At retention test level, two-way ANOVA test following goal-setting(2) and existence of feedback(3) was carried out. From the results, interaction effect regarding goal-setting and existence of feedback was not significant and the major effectiveness of goal-setting was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ajor effectiveness of feedbac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following factors: operation,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goal-setting and feedback,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goal-setting and operation,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feedback and operation. However, the effect of increase of number of trai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analyzing retention test results, interaction effect of goal-setting and existence of feedback statistically showed no considerable relationship and the major effect of goal-setting did not either. However, the major effect of feedback was statistically shown. In conclusion, providing feedback is effective when carrying out the task, but goal-setting did not seem to have influence on performance and motor learning effect as much as make difference of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