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서울과 경기지역 중고등학교 영어과 수업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Title
서울과 경기지역 중고등학교 영어과 수업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secondary school English classes based on classroom observation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영어교육에서 교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교실을 벗어난 일상생활에서는 영어를 접할 수 없는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 속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영어 습득의 성공 여부는 각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의 질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수업의 질은 곧 교사의 교수행위에 의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결국 교사는 영어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영어 수업을 위해서는 현재 한국 중․고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수업을 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진단하는 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설문지 조사나 인터뷰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실제 교실에서 어떻게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업 녹음, 수업일지, 그리고 인터뷰를 바탕으로 서울․경기 지역 중․고등학교에서 교사들이 교과서 한 단원을 가르칠 때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네 가지 주요 언어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과 문법, 어휘, 발음 영역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에 고등학교 수업 5개, 중학교 수업 5개로 총 10개의 반이 수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과서의 일부 영역을 채택하거나 생략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교과서 채택 영역의 경우, 우선 교사 협의회에서 반드시 가르칠 것을 정하고 있었는데, 모든 학교가 공통적으로 읽기 영역을 선택하고 있었다. 그 후 교사들은 자신의 재량으로 읽기, 말하기, 도입 영역을 추가하여 선택하고 있었다. 한편 교과서 생략 영역의 경우 가장 많이 생략된 영역은 발음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말하기와 쓰기 영역이 해당되었다. 둘째, 채택하여 다룬 교과서 영역 중 각 영역 당 가르치는 데 소요된 시간을 산출한 결과 총 1664분 15분초 중 읽기가 817분 48초를 차지, 49%에 해당되어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그 다음으로는 말하기가 16%, 문법이 15%에 해당되었다. 한편 쓰기와 어휘는 각각 4%와 2%를 차지하였으며 발음은 한 명의 교사만이 약 7분간 가르친 것으로 드러나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주요 언어기능과 문법․발음․어휘 영역 지도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한 결과, 문법, 어휘, 발음 설명을 통한 교사의 문장 단위 해석하기 활동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빈번하게 사용된 읽기 지도 방식은 읽기 후 활동으로서 교과서에 제시된 독해 문제를 푸는 것이었다. 말하기 지도방식을 살펴보면,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방식은 문법, 어휘, 발음 설명을 통한 교사의 문장 단위 해석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대화 시 사용할 수 있는 표현 알려주기, 교사가 읽으면 학생이 큰 소리로 따라 읽기, 교과서 CD-ROM이나 교사로부터 대화문 듣기와 같은 방식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교사들의 문법 지도 방식을 살펴보면, 주요 문법이 내포된 문장을 해석해주고 문법 규칙을 설명해주는 방식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어 연역적 문법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듣기 지도 방식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사용된 수업 방식은 듣고 난 뒤 교과서에 제시된 듣기 문제 풀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CD-ROM으로 대화문 듣기, 문법, 어휘, 발음 설명을 통한 교사의 문장 단위 해석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교사들이 주로 사용한 쓰기 지도 방식은 통제 작문의 형식인 문장단위 작문하기였으며, 교사가 일방적으로 문제풀이를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어휘 지도의 경우에는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거나, 어휘 생성 규칙을 설명, 사전을 활용하여 단어 찾기 등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음 지도는 한 명의 교사만이 다루고 있었는데, 발음기호 읽는 법, 유사한 모음 발음 차이를 설명하고, 발음을 들려 준 뒤 강세를 학생들로 하여금 강세를 표시하게 하였다. 교과서 활용 양상과 각 기능 지도 방식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견된 수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영역을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어 주요 언어 기능과 영역들이 불균형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읽기가 압도적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진 반면, 발음, 어휘 지도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교육과정과 학습내용에 관계없이 문법-번역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의사소통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이 드러났다. 셋째,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져 학습자 중심 수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넷째, 다양한 학습 자료가 사용되고 있지 않았고, 수업에서 교실 영어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터뷰 분석 결과,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교직경력이 낮아 현장 경험이 부족하며, 수업 준비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었다. 둘째, 교사들은 교과서가 학생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과업이 부적절하며, 진정성이 부족하고 난이도가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교육의 체계성 및 일관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과서 특정 영역을 생략한 이유에 대해서는, 어휘와 발음의 경우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략하며, 쓰기와 말하기의 경우 학생들의 수준이 성취 기준보다 낮기 때문에 생략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영어로 수업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는데 다수의 교사가 자신의 능력 부족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하위 학습자들이 소외될 가능성 때문에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한편 일부 고등학교 교사는 영어로 수업하는 것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 않았다. 현재의 지도방식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 요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에는 교사들마다 의견이 상이하였다. 대다수의 교사들은 중고등학교 시절 당시 배운 수업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이 현재의 교수방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교사들이 교과서의 읽기 영역을 가장 비중 있게 다루는 반면에 나머지 영역들은 소홀히 다루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수업 방식 면에서 여전히 문법-번역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의사소통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현직 교사 교육을 더욱 강화하여 교사들의 교수 활동 개선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사의 실천을 위해서는 국가와 학교 단위의 정책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실 현장의 목소리가 교육과정에 충분히 반영된다면 의도된 교육과정과 실현된 교육과정이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성공적인 영어 습득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EFL) setting, the success of English acquisi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class. The teacher is a determining factor in the realization of successful teaching practice.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research be conducted on what teachers actually do and how the teaching is conducted in the classroom.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partially dealt with each language skill and mainly adopt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methods, which cannot sufficiently identify how teachers practice the instruction of the 4 Skills in real classroom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eachers use a textbook and what methods or techniques they apply to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instruction when teaching one lesson of the textbook. To accomplish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ten clas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rough MP3 Player recordings and one-hour interview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ncluded or omitted some sections of the textbooks. For the included sections, first some of them were decided on by teacher conference at each school, and then the individual teachers added some sections on their own. The section selected most at the teacher conference was Reading and the individual teachers added some sections like Post-reading, Further-reading, Speaking, or Warm-up sections by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the sections to be omitted were determined only by the individual teacher. The most omitted section was Pronunciation, followed by Speaking and Writing. The second finding concerns the results of calculating teaching time per included section. The Reading section accounted for 49 percent of the total amount of teaching time, which indicated that reading wa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eaching English. The subsequent sections were in order of Speaking(16%), Grammar(15%), Writing(4%), and Vocabulary(2%). For Pronunciation, only one teacher taught it for about seven minutes, which meant all the teachers treated it lightly.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eaching methods used for teaching the 4 skills, grammar,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showed that several types of methods were frequently used for each skill. In the case of reading, a grammar-translation method was used by all of the teachers. The next most frequently used reading instruction type was 'answering comprehension questions' given in the textbook. As for the method of teaching speaking, a grammar-translation method was also used most frequently and 'explaining key expressions', 'repeating aloud after teacher', and 'listening to the CD-ROM recordings' were frequently used. The method for teaching writing used mainly by teachers was 'sentence-based writing'. For teaching vocabulary, most teachers adopted 'explaining the rules of word formation', 'looking up the dictionary', and 'completing sentences by filling in the blanks' methods. In the case of teaching pronunciation, only one teacher taught it by explaining the phonetic alphabet and the differences of vowel sounds and making students put stress on the word after listening to the tape. Fourth, several aspects of the classes were found based on an analysis of how textbooks were utilized and teaching methods. First of all, it found that teachers dealt with the 4 Skills, grammar,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in an unbalanced way. Reading was had a heavy focus, but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instruction were rarely given. Furthermore,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was consistently applied to all instruction, which revealed a serious mismatch between subject matters and teaching methods. Additionally teacher-centered instruction based on lecture type teaching was conducted, so the student-centered activities were hardly found. Also, various class materials were not used and classes were not carried out in English. Finally, an interview conducted with the teachers found the fact that most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teaching because they didn't have much educational experience or enough time to prepare their lessons. Also several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textbooks were not interesting, they were not authentic, nor were they appropriate in their degree of difficulty. Yet they believed that the textbook is still necessary in order to keep the systematicity and consistency of education. When asked the reason why they omit certain sections of textbook, specifically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teachers replied that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teach them. The reason for leaving out Writing and Speaking sections was that the levels of students English ability are not sufficient to complete those tasks. In regard to the reason why they didn't teach English through English, diverse answers were provided: 1)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2) time constraints, and 3) teacher's limited English ability. Additionally, some high school teacher said that they didn't think it is necessary to teach English through English. In response to the questions about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ir own teaching styles, over half of the teachers said that it was their past teachers' methods during their school day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ves the fact that teachers focus on reading section of the textbook excessively, but relatively neglect other sections. Additionally, it shows that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 method is still used, which results in discrepancies between subject matter and teaching meth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help teachers to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This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of their class and ultimately students' successful English acquis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