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김수희-
dc.creator김수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3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nging program on withdrawal behaviors of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In this study, 5 withdrawal behaviors of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were selected by teachers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In 10 sessions which took 60 minutes each time, the researcher performed singing programs with presenting a kind and basic material of singing by degrees. To measure the effects of singing program for decreasing withdrawal behaviors on the subjects, the researcher compared the results of K-YSR and TRF withdrawal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inally, the researcher did research on the subjects musical and non-musical behaviors related withdrawal through 'behavior observation record', which the researcher invented and consisting of using voice, self-expression, and eye- cont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K-YSR and TRF withdrawal scale score which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inging program, the mean of the score was decreased each 6.4 and 3.6 points. Also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042(p< .05) in Wilcoxon signed rank test. Second, the result of withdrawal related behavioral changes in music activities after analysing, the frequency of eye contact has increased as well as tone and volume of subjects' voic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inging program has positive affects on withdrawal behaviors of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in addition, it is affective on withdrawal related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singing program shows its effectiveness on children with withdrawal problems.;현대사회에서는 해마다 저소득층 가정이 증가하고 있고 이와 함께 저소득층 가정에서 성장하는 아동 또한 늘어나고 있다. 저소득이라는 경제적 취약함은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로 인해 아동은 심리·정서적 문제를 갖게 된다. 아동의 심리·정서적 문제 중 내면화 문제행동인 위축행동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아 쉽게 간과될 수 있고, 이러한 문제가 간과될 경우 심각한 사회적 부적응을 보일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과 함께 심리·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창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소재 S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저소득층 가정 아동 중 교사에 의해 추천된 위축행동 아동 5명이었고, 이들에게 가창 프로그램을 한 회기 6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10회기의 가창 프로그램은 가창의 기본요소와 종류를 위축과 관련지어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대상자의 위축행동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먼저 첫 번째로는 가창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결 후에 위축행동 점수에 변화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위축척도를 사용하였고, 두 번째로는 가창 활동 안에서 아동의 위축과 관련된 행동에 변화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구성한 행동관찰척도 및 기록지를 사용하였다. 위축척도는 가창 프로그램 시작하기 전과 종결 후에 아동과 교사에게 실시하였는데, 아동에게는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검사를, 교사에게는 K-CBCL의 교사 평정 위축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위축행동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 대상자들이 가창 활동 안에서 보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 변화와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회기 녹화된 비디오를 분석하고 이를 기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점수는 6.4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유의수준 .042(p<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K-CBCL의 교사 평정 위축척도 점수는 3.6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역시 유의수준 .042(p<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대상자들이 가창 활동 안에서 보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과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를 비디오 분석을 통해 회기별로 분석한 결과 가창 활동 초기에 비해 후기에 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창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중재도구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특성 = 4 B. 위축행동 = 5 1. 위축행동의 개념 = 5 2. 위축행동 아동의 특성 = 7 3. 위축행동과 음악치료적 접근 = 8 C. 가창 = 9 1. 가창과 치료적 의미 = 9 2. 가창의 기본요소 = 10 3. 가창의 종류 = 1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5 A. 연구대상 = 15 B. 측정도구 = 17 1. 위축행동척도 = 17 2. 가창활동 관찰척도 및 기록지 = 18 C. 연구설계 및 절차 = 20 1. 연구설계 = 20 2. 연구절차 = 20 D. 연구 자료 분석 = 20 E. 가창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 21 1. 가창 프로그램 목표 = 21 2. 가창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 2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5 A. 위축척도 사전ㆍ사후검사 결과 비교 분석 = 25 1.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사전ㆍ사후검사 결과 = 25 2. K-CBCL의 교사 평정 위축척도 사전ㆍ사후검사 결과 = 26 B. 가창활동 관찰 분석 결과 = 27 1. 대상자별 목소리 사용 변화 분석 결과 = 28 2. 대상자별 자기표현 변화 분석 결과 = 33 3. 대상자별 눈맞춤 횟수 변화 분석 결과 = 37 c. 논의 = 38 Ⅴ. 결론 및 제언 = 42 A. 결론 = 42 B. 제언 = 44 참고문헌 = 45 부록 = 48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72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 감소를 위한 가창 프로그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inging program for decreasing withdrawal behaviors of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dc.creator.othernameKim, Soo Hee-
dc.format.pageⅶ,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