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이기근-
dc.creator이기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0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067-
dc.description.abstractSolid vocabulary has been considered necessary in every stage of language learning. Communication cannot happen in any meaningful way without words to express a wider range of meanings. In other words, knowing words is the key to understanding and being understood. Thinking of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errors from the inappropriate uses and misunderstandings of the target word might cause the serious communication disorder. In particular, words similar in form to other words are often confused and, therefore, the learners realize that those words are potential troublemakers and deserve special attention. In learning a new word, especially, the foreign learners might experience form interference from an already known word, which would make the new word difficult to retain in its correct form. Learning the word form is, thu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word knowledge in the L2 which a learner has to master. There is a wealth evidence that L2 learners confuse words that sound and/or look alike, and current thinking puts considerable emphasis on learners acquiring a reasonable skill in form-processing ability before they can operate with any degree of automaticity in the L2. Similar sounding and/or looking words also present a problem in reading comprehension even for subjects at an advanced level. They are not aware of the fact that they are reading unknown words since they associate them with similar words which are familiar to them. This problem becomes more critical for non-native readers at early stages in learning to read a foreign language. Foreign language learners, particularly of lower proficiency, are generally said to have tendency to be seriously affected by form-associated distractors. Therefore, my concern here is with the recognition of word form for the simple reason that failure at word level can severely hamper reading ability because reading ability is a key skill, especially, in the situation where English is mainly used for academic or professional purposes as in Korea. Hence,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blem of similar lexical forms as an intralexical difficulty factor in the process of vocabulary acquisition. In this research, firstly, the order of difficulty for the four categories on the basis of features of form similarity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vowel, consonant, prefix and suffix and, secondly, the effectiveness of the way of grouping those words similar in form was examined according to whether introducing similar lexical forms together or introducing each one at a time. For the purpose, firstly, 438 third year high school subjects were tested for each of the four categories of similar lexical forms and two written multiple choice tests were designed as version A and version B. Both versions were taken by the same students, that is, each pair of confused words was tested twice. After that, the test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ll the subjects, and then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For the second experiment, the lower leve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of which was assigned 28 subjects and taught the pairs of similar words in form for 6 periods. During the whole periods, 24 pairs of similar lexical forms were introduced together for one group and each one individually for the other. An immediate test was provided after instruction in every class and the retention test was carried out after 2 week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ank order of difficulty of the four categories of form similarity, in the case of all the subjects, the most difficult similar lexical forms were suffix ones, then prefix, then the vocalic and the consonantal. However, the gap between the suffix and the prefix, and the prefix and the vocalic were not significant at 0.05 probability level. Second, the order of difficulty was quite different for the two types of learners, upper and lower. The hierarchies of the upper level students were ones due to suffix difference, then the vocalic, then prefix, and the consonantal whereas the rank order of the lower level students were prefix ones, then suffix, then the vocalic and the consonantal. However, the gap between the vocalic and the prefix, and the prefix and the consona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upper level subjects, neither was between the suffix and the vocalic for the lower level. Third, while, in the short-term tests, the way of grouping similar lexical forms didn't affect the difference of test scores between two group, in the retention test, the one to which similar lexical forms were introduced together scor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to which similar lexical forms were introduced individually. To put it concretely, the gap was significant for the categories based on the vocalic and consonantal difference whereas insignificant for those on the prefix and suffix. Finally, the gap from the retention test score between two groups is closely related to improvement in each category of each group. For the category based on the vocalic difference, the group to which similar lexical forms were introduced togeth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 other to which similar lexical forms were introduced individually was not. For the category based on the consonantal difference, both of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 group to which similar lexical forms were introduced together was much more improved than the other. On the other hand, for the category based on the prefix difference, both of the groups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difference of improvement between two groups is insignificant this time. For the last category based on the suffix difference, neither of the groups showed any significant improvement. Results showed that in learning to distinguish between similar lexical forms, all learners,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follow a similar development route, starting with an accurate distinction between consonantal ones, followed by differentiation between the vocalic, and ending with an accurate distinction between the suffix. The most problematic formal similarity was the ones which differed according to prefixes and identical in the others. In other words, since the confusion caused by the prefix difference depends on the level of proficiency, instructors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eaching prefix. In addition,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introduce similar lexical forms together, especially for the ones which differ only in the vowel or the consonant. Still, for similar words which differ in the suffix, neither introducing similar lexical forms together nor individually were effective. As mentioned earlier, form similarity may interfere with successful learning. Thus, a teacher should beware possible confusion that can by created by form similarity and try to develop various kinds of activities and strategies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the chance of errors.;의사소통적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이 등장함에 따라 우리나라 제 6차 영어 교육과정에서는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의사 소통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대전환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그 범위가 너무 추상적이고 방대하여 비체계적이며 중요한 문법사항까지도 경시되어 언어학습의 정확성이 무시되는 경향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약점 때문에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유창성과 정확성을 겸비한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교육과정 해설서, p. 11)”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것을 어휘학습의 방향과 관련지어 생각해보면, 다양한 어휘의 적절하고 정확한 사용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라 하겠다.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해서는 반드시 어휘학습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Lewis(1993)도 의미전달을 위한 의사소통을 언어학습의 목표로 두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어휘학습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문법을 모르면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없지만 어휘를 모르면 뜻을 전혀 전달할 수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의미있는 의사전달을 위해서는 정확한 어휘사용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에서 어휘의 중요성을 감안해 볼 때, 잘못된 어휘사용으로 인한 결과는 생각보다 심각할 수 있다. Gass(1999)는 화자나 작가가 의도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어휘 항목이므로 다른 정보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 문법적, 음운적 오류에 비해 부적절한 어휘 사용과 잘못된 어휘 이해 등으로 발생하는 어휘적 오류가 의사소통 실패의 더 큰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어휘에 대한 명시적 교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어휘적 오류에 대해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이 요구된다. 특히, 하위권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어휘의 부족에서 오는 오류와 그로 인한 학습장애가 심각한 편이기 때문에 어휘에 대한 명시적 교수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등학교에서와 같이 입시 때문에 영어독해능력이 가장 중요시되고 상황에서는, 하위권 학습자들이 어휘의 불완전한 습득으로 인해 텍스트의 왜곡을 많이 경험하고 결국 독해에서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외국어 학습자들이 범하는 어휘적 오류에는 여러 가지 범주가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어의 형태적 유사성에 근거한 오류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Laufer(1991)의 ‘synforms(similar lexical forms)'의 정의와 유형을 사용하였는데, 그는 ’synforms'란 비슷한 음으로 구성된 어휘들(‘synphones'), 비슷한 철자로 구성된 어휘들(’syngraphs'), 비슷한 형태소로 구성된 어휘들(‘synmorphs')을 다 포괄하는 용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synforms'의 유형을, 혼란을 일으키는 단위인 모음․자음․접두사․접미사의 네 가지와 이것들이 다른 것으로 대체될 때와 생략되거나 첨가될 때의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사형태의 어휘들을 동시에 학습하는 경우와 시간차를 두고 각각 학습하는 경우의 학습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자극의 유사성이 간섭을 일으켜 기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간섭이론’과 자극간의 강한 연결 관계가 형성되어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병렬분산처리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특히 빈번하게 오류를 범하는 유사형태의 어휘들의 난이도 위계를 그 유형에 따라 알아보고 명시적 교수가 필요한 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사한 어휘목록을 동시에 함께 제시하였을 때와 각각 개별적으로 제시하였을 때 제시방법에 따른 학습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유사형태의 어휘를 모음의 차이에 의한 유형,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형, 접두사의 차이에 의한 유형,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형의 네 가지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네 가지 유형이 15문항씩 포함되어 있는 60문항의 실험지를 A형과 B형으로 형태를 달리하여 두 번에 걸쳐 이틀 동안 시행하였다. 전체 438명을 대상으로 유사형태 어휘의 유형별 난이도 위계를 살펴본 후, 이를 다시 상위 30% 집단과 하위 30%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의 위계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첫 번째 실험의 하위 30%에 해당하는 학습자 중 28명씩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6차시에 걸쳐 한 집단에게는 유사형태의 어휘를 동시에 함께 학습하게 하였고, 나머지 한 집단에게는 유사형태의 짝을 함께 제시하지 않고 각각 따로 학습하게 하였다. 매 차시 실험 직후 단기평가를 실시하였고 모든 실험이 종료된 2주 후에 지연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단기와 지연교수효과를 비교 검증하였고 특히 지연효과의 경우 유사어휘 유형별 학습향상도의 측면에서 그 결과를 다시 분석․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유사형태 어휘의 유형별 난이도 위계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은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를 가장 어려워하였고, 그 다음으로 접두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모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의 순으로 어려움을 느꼈다. 그러나 접미사와 접두사, 접두사와 모음 유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상․하위 학습자들의 유사형태 어휘의 유형별 난이도 위계를 비교해 본 결과,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가장 어려워하였던 유사어휘의 유형은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였고, 그 다음으로 모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접두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마지막으로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의 순이었다. 그러나 모음과 접두사, 접두사와 자음 유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하위권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였던 유사어휘의 유형은 접두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모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의 순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 경우에, 접미사와 모음 유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처럼 하위권 학생들이 접두사와 접미사의 차이를 눈에 띄게 어려워하는 것은 어근, 접사 등과 같은 어휘 관련 지식의 부재와 영어의 형태소적 단어 형성 구조를 잘 이해하지 못한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유사형태 어휘의 제시방법에 따른 단기효과 결과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사어휘의 네 가지 유형별 성적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유사형태 어휘의 제시방법에 따른 지연효과 결과를 살펴본 결과, 유사어휘를 함께 제시받은 집단이 개별적으로 따로 제시받은 집단보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를 어휘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모음과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였고 접두사와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사형태 어휘의 제시방법에 따른 유사어휘 유형별 학습 향상도의 유의미도를 살펴본 결과, 동시제시집단의 경우 모음과 자음 그리고 접두사 유형에서 학습향상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유형에서는 유의미한 점수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개별제시집단의 경우 자음과 접두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유형에서 학습향상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모음과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에서는 교수 전․후 점수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를 지연효과 결과와 연관지어 생각해볼 때, 지연효과 결과에서 모음과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형에서 집단 간 점수 차이가 유의미한 이유는, 모음 유형의 경우 동시제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개별제시집단은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었고, 자음 유형의 경우에는 동시제시집단과 개별제시집단이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동시제시집단의 향상폭이 훨씬 두드러져서 지연효과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일으켰던 것이다. 그리고 지연효과 결과 접두사와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에서 집단 간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던 이유는, 접두사 유형의 경우에는 두 집단 모두에서 학습향상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의미있지 않았고 접미사 유형의 경우에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한 학습향상을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 집단별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영어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유사형태 어휘의 유형별 난이도 위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흥미롭게도 학습자들은 그 수준에 상관없이 항상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모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 순으로 어려움을 드러내었고, 다만 접두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형태 어휘들만 집단에 따라 혼동의 정도가 달랐으므로 교수자들은 어휘교수시 접두사 형태에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이다. 즉, 접두사 유형의 정확한 학습 여부가 학습자의 어휘력을 결정짓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따라서 교수자들은 특히 중․하위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어휘교수를 할 때, 반드시 접두사의 차이를 구별하여 설명하여 학습자들이 잘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유사어휘학습의 지연효과 결과에 따르면 유사어휘를 동시에 제시한 집단의 점수가 모음과 자음 유형에서 유의미하게 높았고 개별 제시한 집단과의 비교에서 그 학습향상도의 차이도 유의미하게 컸다. 그러므로 교수자들은 모음과 자음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를 되도록 동시에 함께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구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접미사의 차이에 의한 유사어휘의 경우 동시에 함께 제시하여 학습하든지 개별적으로 따로 제시하여 학습하든지 양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한 학습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유사어휘의 유형별 위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도 상위권 학습자들조차 접미사의 차이를 구별하여 습득하는 것이 쉽지 않았는데, 교수자들은 접미사를 좀 더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어휘지도전략 및 교수방법의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유사형태에 의한 오류는 우리나라의 영어 학습자들에게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예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독해력이 가장 중요시될 수 밖에 없는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에서의 어휘적 혼동은 독해력과 어휘력의 밀접한 연관을 생각해 볼 때 텍스트의 왜곡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 혼동에 대해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으므로 앞으로 더욱 세분화되어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어휘교수의 효과와 범위 = 5 B. 단어의 형태적 유사성에 관한 연구 = 9 1. 단어 형태 학습에 있어서의 언어간 전이와 언어내 전이 = 9 2. 단어의 형태적 유사성과 어휘 혼동 = 11 3. “synforms"의 정의와 분류 = 14 C. 유사성과 기억이론 = 17 1. 간섭이론 = 17 2. 병렬분산처리이론 = 19 D. 선행연구 = 21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질문 = 24 B. 연구대상 = 24 C. 연구자료 = 25 D. 연구절차 = 30 1. 유사어휘의 유형별 난이도 위계 실험 = 30 2. 유사어휘 목록의 제시방법에 따른 효과 실험 = 33 E. 연구의 제한점 = 4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2 A. 유사어휘의 유형별 난이도 위계 실험의 결과 = 42 1. 어휘 혼동의 정도에 따른 유사어휘의 유형별 위계 = 43 2. 상ㆍ하위 학습자에 따른 유사어휘의 유형별 위계 = 45 B. 유사어휘 목록의 제시방법에 따른 효과 실험의 결과 = 50 1. 제시방법이 유사어휘 학습에 미치는 단기효과 = 51 2. 제시방법이 유사어휘 학습에 미치는 지연효과 = 53 3. 제시방법에 따른 유사어휘 유형별 학습향상도 = 57 Ⅴ.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7 부록 = 75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415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영어 유사형태 어휘에 관한 난이도 위계와 제시방법에 따른 학습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ank Order of Difficulty of Similar Lexical Forms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Ways to Present Them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tention-
dc.creator.othernameLee, Kee Kuen-
dc.format.pagexi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