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일현-
dc.contributor.author이윤경-
dc.creator이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86-
dc.description.abstractAs modern society comes to knowledge-based society, companies take a increasing interest in the essence of knowledge and the application to business management. In response to this circumstanc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included maintaining knowledge, creating knowledge and connecting with organization’s performance is emphasized(Kim & Han, 2004). The whole while, companies approached to knowledge management in the way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the most part. But now, companies need to change to knowledge creation approach which develops to create new knowledge and to make companies competence more powerful(Yu, 2000).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knowledge management is creating necessary knowledge for company from the source of knowledge exis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rganizations(Kim, 2001) and knowledge creation is connected with companies’ core competence(Leonard, 1995). Nonaka and Takeuchi(1995) explain knowledge creation with the circulation process of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in a spiral shape and this process is comprised of transformation of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study, it is necessary to broaden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not staying one’s knowledge and experience in oneself. And this knowledge creation is bound up with social capital theory which create new intellectual capital through social interaction between organization members(Nahapiet & Ghoshal, 1998).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zation member is essential for transforming of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which is the formation of knowledge creation of organization and this interaction is occurred based on trust, collabotation, indentity, network called social capital. Accordingly, this research takes notice of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in knowledge creation process. Nahapiet and Ghoshal(1998) propose three dimension including structural dimension, relational dimension, cognitive dimension and through interaction in these three dimension social members can create new value constantly.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relational dimension is the most powerful factor to predict knowledge creation(Kim et al., 2000; Park, 2000; Lee, 1996; Chua, 2002). The research on knowledge creation is conducted frequently. However, the research about organization’s knowledge creation process based on social capital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research, synthetic approach to influence of the relatio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creation process has been tried. Moreover,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crea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useful information on facilitating knowledge creation process and successfully operating strategy and effective support. Based on such research propose,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relatio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predict that is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2. Does each level of knowledge creation process predict the next level(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In order to closely examine these research questions, K city hall which applies knowledge management and attempts innovation from it among public institutions was selected and questionnaire was progressd in five departments. Out of 153 surveys 145 surveys were turned in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mos 7.0 and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over the gathered information from the turned in survey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al demens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each level of knowledge creation process(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each level of knowledge creation process. Second, the relational demension of social capital predicted Socialization(β = .73, p<.001), Combination(β = .30, p<.001), and Internalization(β = .56, p<.001) in knowledge creation proces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lation among the each level of knowledge creation process, Socialization predicts Externalization(β = .87, p<.001), Externalization predicts Combination(β = .44, p<.001), Combination predicts Internalization(β = .18, p<.01).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 relational demension of social capital should be considered to facilitate knowledge creation process at each level. On the basis of the result above, the following point was made. First, as the relational demension of social capital influences to each level of knowledge creation process differently, companies need different strategy that strengthens relational factors or supports personal factors at each level to activate knowledge creation process. Second, The casua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four level of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making up knowledge creation process. Therefore, to make knowledge creation process more effective, companies should support the process with customized strategy at each level, so that it leads companies’ knowledge creation process successful.;현대사회가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지식의 본질과 기업 경영으로의 적용에 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가치 있는 지식을 잘 관리하고 그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이를 경제적 성과와 연결시키는 지식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김동영, 한인수, 2004). 그동안 기업에서 이루어진 지식경영활동은 지식관리시스템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제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그것을 업무 성과와 관련 지어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지식창조론적 접근(Hansen, 1999)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왜냐하면 지식경영의 궁극적인 목적은 조직 내외에 존재하는 다양한 지식의 원천으로부터 조직에 필요한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며(김현수, 2001) 조직의 핵심 역량과 연결되는 것도 바로 지식창출활동이기 때문이다(Leonard, 1995). 조직의 지식창출과정을 연구한 대표적인 학자인 Nonaka와 Takeuchi(1995)는 지식창출을 암묵지와 명시지의 변환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그리고 내재화가 나선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은 개인의 지식과 경험이 개인에게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경험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조직 구성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새로운 지적 자본을 창출한다고 보는 사회적 자본의 이론과도 불가분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Nahapiet & Ghoshal, 1998). 따라서 조직의 지식창출 과정인 암묵지와 명시지의 변환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반드시 필요하며, 그러한 상호작용은 사회적 자본이라 불리는 구성원간의 신뢰, 협력, 정체성, 네트워크와 같은 요소에 기반하여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창출과정에서의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사회적 자본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한 Nahapiet과 Ghoshal(1998)에 따르면 구조적 차원, 관계적 차원 그리고 인지적 차원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그 중 관계적 차원이 지식창출을 강하게 예측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김재구, 이경묵, 장영철, 최순규, 2000; 박순미, 2000; 이경묵, 1996; Chua, 2002). 지식창출에 관한 연구는 최근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박순미, 2000; 이정호, 김영걸, 김민용, 2006; 이춘근, 김인수, 2001; Krogh, Keursten, & Klink, 2003). 그러나 사회적 자본에 기반한 조직의 지식창출 과정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지식창출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지식창출과정의 각 4단계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나아가 지식창출과정을 촉진시키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동들에 대한 전략과 조직적 지원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은 지식창출과정의 각 단계 즉, 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를 예측하는가? 2. 지식창출과정의 각 단계는 그 다음 단계를 예측(사회화 외재화, 외재화 결합화, 결합화 내재화)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그를 통해 혁신을 도모하는 공공기관 중 K시청의 5개 과에 속한 153명의 조직구성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 중 14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Amos 7.0과 SPSS 15.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과 지식창출의 각 단계(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지식창출의 각 단계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은 지식창출의 단계 중 사회화(표준화 경로계수 = .73, p<.001), 결합화(표준화 경로계수 = .30, p<.001) , 내재화(표준화 경로계수 = .56, p<.001)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창출과정 각 단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화는 외재화(표준화 경로계수 = .87, p<.001)를, 외재화는 결합화(표준화 경로계수 = .44, p<.001)를, 결합화는 내재화(표준화 경로계수 = .18, p<.01)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식창출과정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각 단계별로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어떻게 고려되어져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지식창출과정의 각 단계에 미치는 영향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조직에서는 지식창출과정을 활성화함에 있어서 각 단계별로 관계적 요인을 강화하는 전략을 사용하거나 개인적인 요인을 지원하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지식창출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의 네 단계는 정적인 인과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효과 높은 지식창출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조직에서는 각 단계를 지원하는 차별화된 활동을 통해 각 단계의 지식변환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직의 지식창출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1. 사회적 자본 = 5 2. 관계적 차원 = 5 3. 지식창출과정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사회적 자본 = 8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 8 2.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 11 3. 사회적 자본과 지식창출 = 14 B. 지식창출 = 17 1. 지식의 개념 = 17 2. 지식경영과 지식창출 = 19 3. 지식창출 과정 = 23 C. 관련 선행연구 = 28 1.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 관련 연구 = 28 2. 사회적 자본과 지식창출 관련 연구 = 30 Ⅲ. 연구 방법 = 32 A. 연구 대상 = 32 B. 연구 절차 = 35 C. 연구 도구 = 36 1. 연구 도구 개발 = 36 2. 예비 검정 = 39 3.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40 D. 연구 가설 = 48 E. 자료 분석 = 49 Ⅳ. 연구 결과 = 51 A. 기술 통계 = 51 B. 상관 분석 = 52 C.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 53 1. 모형 적합도 검정 = 54 2. 가설 검정 = 55 Ⅴ. 결론 및 제언 = 59 A. 결론 및 논의 = 59 1.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의 지식창출과정 예측 = 60 2. 지식창출과정 각 단계 간의 예측 = 61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6 부록 설문지 = 71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02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지식창출과정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무원 집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Relatio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to Knowledge Creation Process-
dc.creator.othernameLee, Yun Kyung-
dc.format.pageⅹ,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