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유환미-
dc.creator유환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5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arent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needs of parents with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and non-transition period. The parents in transition and non-transition period who have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disorder in Seoul and Incheon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tool is a Questionnaire. Questionnaire was organized based on Parenting Burden Scale and Social Support Needs Scale devised by Nam, Yeun-Hee(2001).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total 214. Data were treated with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in order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showed very high(transition period's parents M=3.44, non-transition period's parents M=3.52). And parenting burde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id not appear meaningful. Also the older the parents are in the two groups, the more burden of parents has increased. And the less their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are in the two groups, the more burden of parents has increased. But the most influential variation of parent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period for parenting burden was parent's age, income of family was second, followed educational level. While the most influential variation of parent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on-transition period for parenting burden was income of family, educational level was second, followed parent's age. 2. The parents's needs for social support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and non-transition period is showed very high(transition period's parents M=4.28, non-transition period's parents M=4.26). And social support needs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id not appear meaningful. Only income of family affect significantly to parents's needs for social support in transition period parents's group. While parent's age, educational level, income of family are immaterial to parents's needs for social support in non-transition period parents's group. 3. The parent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needs i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s mentioned above, the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and non-transition period was showed very high. Also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 were showed very high, too. In this study, the parent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needs i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lso the most influential parent factor for parent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need was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subsequent researches abou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s needs according to grade and disability type are required. Moreover,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supports and detailed and extensive researches using multiple measurement methods are required.;모든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은 신체적, 경제적 혹은 심리적인 면 등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 특히 장애학생 부모는 이러한 일반적인 양육부담감에 더하여 자녀의 장애로 인해 일반학생 부모보다 더 높은 수준의 양육부담감을 지니게 되고, 이에 따라 사회적 지원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지니게 된다. 그러므로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가 어떠한지를 알아 그에 따른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는 일은 장애학생 부모의 높은 양육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 된다. 또한 이러한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는 자녀의 전이시기에 더욱 증가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전이시기의 장애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그들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가 어떠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전이시기의 장애학생 부모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유아시기의 장애학생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일 뿐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이시기의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비전이시기의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를 비교하여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두 집단의 부모변인이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고 두 집단 부모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인천지역 초등 특수학급의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정신지체학생, 정서장애(자폐포함)학생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연구대상자의 기초배경정보에 관한 8문항, 부모의 양육부담감 28문항,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 32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이다. 질문지는 남연희(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양육부담감 척도와 사회적 지원욕구 척도를 본 연구자가 특수교육전문가 3인과의 사전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정한 후 신뢰도 산출을 위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총 214부이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은 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가 평균 3.44, 비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가 평균 3.52로 두 집단의 장애학생 부모는 모두 보통 이상의 양육부담감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검정을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두 집단의 장애학생 부모 모두는 부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부모의 양육부담감이 증가하며, 학력이 낮고 가구소득이 적은 부모일수록 부모의 양육부담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의 경우에는 부모연령, 가구소득, 교육정도 순으로 양육부담감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비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의 경우에는 가구소득, 교육정도, 부모연령 순으로 양육부담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는 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가 평균 4.28, 비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가 평균 4.26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지원욕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t-검정을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부모변인이 두 집단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전이시기의 장애학생 부모집단에서는 3가지 부모변인 중 가구소득이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비전이시기의 장애학생 부모집단에서는 3가지 부모변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 간에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의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는 모두 높은 양육부담감을 인식하고 있으며, 많은 사회적 지원욕구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것들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애자녀의 학년과 장애영역에 따른 부모의 욕구 차이에 관한 후속연구가 요구되며, 이에 근거한 적절한 지원의 제공 및 다각적인 측정방법을 활용한 세밀하고 폭넓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장애학생 부모가 인식하는 양육부담감 = 6 1.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 = 6 2.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 = 10 B. 장애학생 부모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원욕구 = 11 1.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 = 11 2.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 = 14 C.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 간의 관계 = 14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도구 = 17 C. 연구절차 = 22 D. 자료처리 = 24 Ⅳ. 연구결과 = 25 A.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가 인식하는 양육부담감 = 25 1.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 차이 = 25 2.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의 차이 = 26 B.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원욕구 = 27 1.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 차이 = 27 2.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원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의 차이 = 28 C. 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가 인식하는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 간의 관계 = 30 Ⅴ. 논의 및 제언 = 31 A. 논의 = 31 B. 연구의 제한점 = 36 C. 제언 = 37 참고문헌 = 38 부록 = 44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09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 지원욕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이시기와 비전이시기 장애학생 부모 비교-
dc.title.translated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s-
dc.creator.othernameYu, Hwan Mi-
dc.format.pageⅸ,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