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애란-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26-
dc.description.abstract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information, advanced technology civilization, and culture. The ultimate goal of art museums and museums is not merely to play a role as a 'container' preserving and exhibiting works and cultural assets. Modern art museums are no longer a static space reflecting private possessions of certain classes or luxurious artistic items, but they are now being reborn as a social culture education agency providing all with a public cultural space flexibly responding to and changing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public. Such social education by art museums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ublic, and enables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art works and exhibition. Further, modern museums can play a role as the field of expanded school education in association with school education.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overseas art museums as in the US and Europe have been actively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joint programs with school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rough art museums. On the other hand, just some of major art museums in the case of Korea started to feel the need and implement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school, but they have all just begun. This study, therefore, began with the pressing need for investigation on the specific guidance and consider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joint programs between art museums and schools for youths in Korea which are falling behind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More specifically, the goal of this study is not merely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the joi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art museums and middle school, but to compare and analyze such education programs, home and abroad, and present plans to apply model cases in foreign countries to the domestic situation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middle school in Korea. This study involves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concept and history of art museum education; second, the functions and significance of art museum education; third, problems of the current art education; fourth, art museums as an alternative for school art education; fifth,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joint programs of art museums and schools, which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implying the necessity, function, and importance of art museum. Besides, 8 art museums, home and abroad, which are actively conducting education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selected, and the education programs of each art museum were classified in terms of art museum, education, and subject for comparative analysis. Diversified and advanced education programs of overseas art museums are investigated to analyz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domestic art museums, and cases and models for on-lin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school will be presented as its measure. Based on suc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 various perspectives, the direction of domestic art museums for improvement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pecialized human resource or professionals who will plan and operat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trained, and the dedicated divisions should be established. As in overseas art museums, there should be dedicated teams for joint education programs between school and art museums. Second, the contents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based on school education materials, and further, various education program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demands of students and their physical development steps as well as the grades and certain groups. Third, on-line education programs via internet, which became an important medium in modern society, should be developed. On-line education programs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arts in an easy and interesting way, and provide them with various opportunities of learning. Fourth, such education programs and related plans and exhibitions should reflect the schedul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school. Besides, art museums should be able to lend video, education materials, slides, etc. regarding their collections so as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with schools and teachers as well as localization of art museums. Fifth, various training and education courses should be provided to help teachers accumulate a wide range of knowledge on arts such as history of art, esthetics, art critics, etc. Sixth, in term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art museums so that they can investigate and develop various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joint education programs between school and art museums should be included in school art curriculum as a compulsory subject and the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only on college entrance exams should be improved in this regard so that social education systems such as art museums can be more active.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has been changed and expanded in a way to grow out of the expression-centered art education in the past and regard as important esthetic experiences,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t the same time. Besides, 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real works are emphasized in art classes in association with art museums or museums. However, classes of art subjects are currently being reduced due to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hat only focuses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regarded as less important. For this reason, it seems to be almost impossible to implement classes at museums in association with school which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compared to those at school. This prevents art education from developing creativity and sensitivity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n on-lin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as an alternative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institutional, conditional limitations of joint education programs between middle school and art museums. However, since the on-lin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was not able to be actually implemented, the specific effect in terms of education was not drawn,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advanced joint education programs between school and art museums in foreign countries in comparison with the domestic condition to address problems,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present alternative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consistent and systematic study on joint education programs between middle school and art museums is actively conducted so as to provide youths, the leading part of the future, with more various programs.;21세기는 정보화와 발전된 기술문명의 사회임과 동시에 문화의 세기이다. 미술관 및 박물관의 궁극적인 목표는 더 이상 작품과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컨테이너(Container)로서의 역할에 머물지 않는다. 현대의 미술관은 특정계층의 사유물이나 사치스러운 예술적 기호를 반영하는 정지된 공간이 아니라 모두를 위한 공공의 문화공간으로서 대중의 요구와 반응에 따라 유동적으로 반응하고 변화하는 사회문화교육기관으로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미술관의 사회 교육을 통해서 대중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미술작품과 전시의 본질적인 목적인 관객과의 소통이라는 요소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나아가 현대의 미술관은 학교교육과 서로 연계하여 확장된 학교 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하고 있다. 20세기 초부터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해외 미술관들은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다양한 학교연계 프로그램들을 활발히 계발하고 운영해 오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는 몇몇 주요 미술관들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여 학교와 연계한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는 있지만 아직은 시작의 단계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뒤쳐져있는 국내의 청소년을 위한 미술관과 학교연계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지침과 제반 사항들이 연구되어야 한다는 절실한 필요성에서 출발했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와 연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외 미술관들의 중등학교와 연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해 보고 외국의 발전된 사례를 우리의 현실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 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우리나라의 중등학교와 연계한 더욱 다양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어서 하나의 이론적 초석이 되고자 하는 바램 이다. 본 연구는 첫째, 미술관 교육의 개념 및 역사, 둘째, 미술관 교육의 기능 및 중요성, 셋째, 현행 미술교육의 문제점, 넷째, 학교 미술교육의 대안으로서의 미술관, 다섯째, 미술관과 학교 연계프로그램의 특성과 유형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과 기능 그리고 그 중요성을 뒷받침 하는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중·고등학교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외 미술관 8곳을 선정하여 각 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을 미술관적 영역, 교육적 영역, 주체적 영역으로 분류해 비교·분석해보았다. 해외 미술관의 다양하게 발전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미술관들의 문제점 및 한계점에 대해 분석해 보고, 그 대안으로서 학교와 연계한 온라인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다양한 이론적 고찰과 조사 및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미술관들이 개선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겠다. 첫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할 전문 인력 즉 교육 담당자와 교육전문 부서를 확충해야한다. 외국의 미술관과 같이 학교연계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전담하는 전문 팀이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이 학교의 교과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지적, 신체적 발달과정에 따라 학년이나 그룹 단위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학생들이 쉽고 흥미롭게 미술을 체험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활용한 다양한 온라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연구해야 한다. 넷째, 미술관의 학교 교육 연계프로그램 및 그와 관계된 기획 전시가 학교의 일정과 교육제도를 반영하여 계획되어야 하며 미술관 소장품을 이용한 비디오나 교육 자료집, 슬라이드 등을 대여해주어 학교 및 교사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미술관의 지역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미술사, 미학, 미술 비평 등의 보다 폭넓은 미술관련 지식을 쌓기 위한 교사를 위한 다양한 연수와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여섯째, 제도적 차원의 측면에서 정부는 미술관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할 수 있도록 미술관의 취약한 재정을 지원해야한다. 또한 학교 미술 교육과정 내에 학교수업과 연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을 필수 항목으로 포함시키는 것과 더불어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제도를 개선해 나가야 미술관과 같은 사회교육이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이다. 현행 제7차 미술 교육과정은 과거의 표현중심적인 미술교육에서 탈피해 미적체험과 감상 그리고 표현현영역이 동등하게 중시되는 교육과정으로 변화·확대 되었다. 또한 미술관이나 박물관과 연계한 미술수업을 권장하여 실제 작품을 통한 미적체험과 감상활동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미술교과는 입시중심의 학교교육으로 인해 그 수업시수가 축소되고 있으며 비중요과목으로 밀려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학교의 미술수업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학교와 연계한 미술관에서의 수업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환경은 학생들의 창의력과 감수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미술교육을 제대로 가능할 수 없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와 연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한 제도적, 환경적 한계점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온라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해 보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온라인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을 사이버 공간에서 실제로 설계, 구축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없었던 기술적·재정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제한점으로 인해 실제의 학교교육에 온라인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교육적 영향력이나 파급 효과를 도출할 수 없었다는 한계점도 가진다. 본 연구는 국내의 실정과 비교하여 해외의 발전된 학교연계 미술관 교육프로그램들을 조사·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과 한계점 그리고 발전 방향성을 되짚어보고 또 그 대안을 제시해 보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중등학교와 연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서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을 위한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 및 기능 = 4 A. 미술관 교육의 개념과 역사 = 4 B. 미술관 교육의 기능 및 중요성 = 8 Ⅲ. 미술관과 미술교육 = 12 A. 현행 미술교육의 문제점 분석 = 12 B. 학교 미술교육의 대안으로서의 미술관 = 14 C. 미술관과 학교 연계프로그램의 특성과 유형 = 16 Ⅳ. 미술관과 중등학교 연계프로그램의 사례 분석 = 20 A. 국내 미술관 = 20 B. 국외 미술관 = 28 C. 국내외 미술관의 중등학교 연계프로그램 비교분석 = 39 Ⅴ. 미술관과 중등학교 연계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 50 A. 중등학교와 연계한 국내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 = 50 B. 중등학교와 연계한 온라인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및 제안 = 54 Ⅵ. 결론 = 72 참고문헌 = 76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99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학교와 연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 방향 제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urrent Condition and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in Association with high School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On-line Programs-
dc.creator.othernameLee, Eunju-
dc.format.pageⅸ,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