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신혜림-
dc.creator신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64-
dc.description.abstract지식기반사회에서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과 정보를 단순히 보유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여러 가지 해결책을 모색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미술교육의 궁극적 목표도 훌륭한 기능인으로서의 미술가를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향유하며 생활에서 가능한 여러 가지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갖게 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표현함으로써 창의적 표현력과 미적 감수성을 지닌 창의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은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비판적사고력, 협동력,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학습형태이다.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문제중심학습은 전통적인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적 잠재력이 매우 큰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을 초등학교 5학년에게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제증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과 전통적인 방법의 디자인 수업을 서울 관악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구성한 후 총 6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는 김성동(2001)의 초등학교 미술과 예시평가도구를 참고하여 제작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업 결과물을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Minitab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주제표현을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표현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조형요소와 원리를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표현재료와 용구를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미술교육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의의를 갖는다.;Simply possessing a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increase explosively and is not meaning in knowledge base society, applies when confronting in the problem which is various a various branch solution and people must have the ability will be able to create the new thing. Palace dramatic aim of the arts education knows that makes fine function the artist whom does, discovers an aesthetic value from the social inside which changes and varied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leads and is to make the human being which a original expression power and an aesthetic sensibility keeps. In order having like this ability from oneself selects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sor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be able to apply must be provided. Problem-Based Learning(PBL) developed a critical thinking faculty, the coordinated core and a problem solving ability from the process to solve a problem. Also, it is alternative about the learning process which is traditional and a studying method where the educational potential energy is big is.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using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elementary school classes conducted by a fifth grade student in creative expression affect the purpose of being noticed. In order to attain like this goal with the design study which applies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design study of the method which is traditional S elementary school 5 grade 60 people which are located at Gwanak-gu, Seoul, insult 30 people experimental groups, after composing of 30 people control groups, referred to the fine arts and the adumbration evaluation tool in the object and produces and with the fact that the study outcome goods this led analyzed and the data process used Mintab statistical programs and concluded escap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as excellent the control group from all original element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akes the design lesson which applies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omposes a subject expression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evaluated. Second, was excellent the control group from all original element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akes the design lesson which applies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omposes a expressive method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evaluated. Three, was excellent the control group from all original element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akes the design lesson which applies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omposes a moulding element and a principle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evaluated Four, was excellent the control group from all original element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akes the design lesson which applies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omposes the expressive material and the tool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evaluated In conclusion,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lasses are designed using creative expression to the positive influence that can be made.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lasses are using creative expression to know about the impact of art education at the elementary by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leverage to expand the scope and significance have to improve basic materi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창의적 표현력 = 5 1. 창의적 표현력의 개념 = 5 2. 초등학생의 창의적 표현력 = 8 B. 문제중심학습 = 12 1. 문제중심학습(PBL)의 개념과 특징 = 12 2. 문제중심학습모형 = 15 C. 초등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창의적 표현력과 문제중심학습 = 18 1. 초등학교 디자인 수업과 문제중심학습모형 = 18 2. 초등학교 5학년의 창의적 표현력과 문제중심학습의 의의 = 22 Ⅲ. 연구 방법 = 24 A. 연구대상 및 절차 = 24 1. 연구대상 = 24 2. 연구절차 = 24 B. 연구도구 = 26 1. 수업도구 = 26 2. 평가도구 = 51 C. 자료 처리 = 5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5 A. 연구 결과 = 55 B. 논의 = 62 Ⅴ.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7 부록 1. 사전 동질성 검사 = 70 부록 2. 통제집단의 수업지도안 (약안) = 72 부록 3. PPT 자료 = 74 부록 4. 문제해결계획표 활동지 = 80 부록 5. 모둠별 활동 계획서 활동지 = 81 부록 6. 모둠별 과제물 활동지 = 82 부록 7. 생각지도 만드는 법 활동지 = 83 부록 8. 생각지도 예시 활동지 = 84 부록 9. 생각지도 활동지 = 85 부록 10. 아이디어 스케치 활동지 = 86 부록 11. 문제해결계획표·모둠별 활동 계획서·모둠별 활동 결과표 예시(1) = 87 부록 12. 문제해결계획표·모둠별 활동 계획서·모둠별 활동 결과표 예시(2) = 88 부록 13. 실험 집단의 표현 결과물 (상) 학생 작품 1 = 89 부록 14. 실험 집단의 표현 결과물 (상) 학생 작품 2 = 90 부록 15. 실험 집단의 표현 결과물 (중) 학생 작품 3 = 91 부록 16. 실험 집단의 표현 결과물 (중) 학생 작품 4 = 92 부록 17. 실험 집단의 표현 결과물 (하) 학생 작품 5 = 93 부록 18. 통제 집단의 표현 결과물 (상) 학생 작품 1 = 94 부록 19. 통제 집단의 표현 결과물 (상) 학생 작품 2 = 94 부록 20. 통제 집단의 표현 결과물 (중) 학생 작품 3 = 94 부록 21. 통제 집단의 표현 결과물 (중) 학생 작품 4 = 95 부록 22. 통제 집단의 표현 결과물 (하) 학생 작품 5 = 95 부록 23. 자기 평가 보고서 = 96 부록 24. 자기 평가 보고서 결과물 = 97 부록 25. 동료 평가 보고서 = 98 부록 26. 동료 평가 보고서 결과물 = 99 부록 27. 수업 만족도 설문지 = 100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575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Problem-Based Learning Model to Design Lessons Using the Impact of This Creative Expression : In the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Shin, Hye Rim-
dc.format.pageⅸ,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