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백세화-
dc.creator백세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37-
dc.description.abstractAs the period get globalism and we live in an informational society we need to think creative. In education, recent students need integrate knowledge rather than fragmentary knowledge. So in this study we will find out the effects of the integrate learning of Art and English, which is a concerned subjects to the students. There are some precede studies about integration of Art and English, but most of the them are based on English learning. So in this study contains Art as the main subject during the whole process. This research are base on trying to find the effects of the student response from the integrating Art and English subjects. First in this study it shows the reasons why we need the Art and English integrated lessons, and from the needs we planed the lessons and we have practice through the classwork. By this case study we have collected the data of the connection of the students interest and accomplishment of the lessons. The practice was taken by 25 students which was 1class in E elementary school. We measure the students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ing of the lessons and the end of the whole practice. The studies context was Design which contains two chapters from the Art textbook and two chapters from the English textbook. The lesson was form as the Art as the main-subject. Students had to create a flag and a poster and with it they had to learn an English expression form the dialog. In this case study we analyze the students result of English achievements, the motivism of learning both subjects checking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nd also evaluated the students artworks. the whole progress was rolled 8 lessons and each 2 lesson was taken together as a piece once a week. The first lesson 1 and 2 is about learning how to design and formative a flag. Beginning of the lesson students describe there impression of variety flags, and discuss about there thoughts about the formative such as shape, lines, the concept of the design. Then they brainstorm and sketch there flag with there imagination. Lesson 3 and 4 is based on finishing the real size flag and learning an English expression with a dialog. Lesson 5 and 6 they design a food poster to represent there imaginative country and learn to invite others using expression from the worksheet paper. In lesson 7and 8 students opens the food Olympic to appreciate the other group works and evaluate the most fabulous flag and food poster by voting. All the research samples such as the interest, and students Art and English achievement were taken by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first and the last lessons. The Artwork were assess by three art teachers. Using the SPSS program with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student changes between the of the start and the end of the full 8 lessons. And also checked the Artwork assess had been taken reliable. To summarize the study and analyze the result is like this following. First, we measure the student motivism in 4 different category which is confidence, concentration, satisfaction of learning this lesson from the starting point and the finishing period through the whole lesson. As a result we figured that all of the category had responded better which means the rates has increased, so the motivism has been growing through the process. Second, students English study achievements statistics has been increased as the lessons ended. Third, the result of the three Art teachers had been successory done a appropriate access. To sum up the whole process of the study shows Art and English integrated study gives the student positive effects as the Art and English, each subjects support one another during the whole lessons. As Art is not a main subject in school so it is not important to the pupils and English which have many needs from the student which doesn't have enough time in the timetable, in this period of time we earn a solution as connecting these two subjects can earn a subsidize effect as a result of this inspection of this study. Art and English integration study made a positive result in not only student's interests but also student's English achievements, and student have perform a creative artwork. So as a conclusion, from this positive result in the real school field Art and English unity curriculum should be used in variety ways.;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하고 창의성 있는 사고가 필요하다. 교육도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통합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요구가 가장 많고 중요시 되는 영어교과를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미술교과와 통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교과와 영어교과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면이 있으므로 통합하기에 장점이 많았다. 감성적 언어사용이 많은 미술교과는 우뇌발달에 영향을 주고, 언어적 지식 발달이 목적인 영어교과는 언어적 부분을 담당하는 좌뇌의 발달을 돕는다. 기존에 이미 미술교과와 영어교과의 통합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영어교과를 주지교과로 다루고 미술을 도구로서 사용하는 영어 중심의 연구가 많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술교과와 영어교과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게 통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과와 영어과를 통합적으로 교육하였을 경우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미술과와 영어과의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그 요구에 맞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미술과 영어과의 통합적 수업을 구안하여 학습자의 학습 흥미도와 학습 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E초등학교 1개의 반, 25명 대상으로 2008년 8월 21일부터 9월 18일까지 진행하였으며 검사는 사전 사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내용은 미술과 대단원인 디자인 주제로 미술과의 2개의 단원 ‘상상 표현’, ‘알리는 것 꾸미기’와 영어과의 2단원 ‘Where Are You from?', 'Would You Like to Come to My House?'를 선정하여 총 4개의 단원을 통합하여 미술과가 주가 되어서 수업시간에 창작한 미술 결과물을 사용하여 영어표현을 배우는 형식으로 수업을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영어학업성취도 평가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고 학습자가 수업에서 창작한 미술작품을 평가하였다. 수업은 모두 총 8차시로 2차시씩 묶어서 진행하였다. 1-2차시에는 다양한 국기를 통해 국기의 디자인을 알아보고 국기에서 나타나는 조형요소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창의적으로 상상의 나라의 국기를 아이디어 스케치하도록 하였다. 3-4차시는 아이디어 스케치를 바탕으로 국기디자인을 마무리하고 창작한 국기를 가지고 영어 dialog를 익히도록 하였다. 5-6차시는 나라에 어울리는 음식포스터를 제작하고 worksheet paper를 이용하여 자신의 나라에 초대하는 영어표현을 익히게 하였다. 7-8차시는 food Olympic을 개최 토론을 벌여 자신의 모둠과 다른 모둠의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여 가장 마음에 드는 국기와 포스터를 투표하게 하였다. 1차시와 8차시에 사전과 사후의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수업에서 나온 창작결과물 평가는 미술교사 3인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사전과 사후의 학습동기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본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신뢰도 검사를 통하여 미술 결과물이 평가가 타당하게 진행이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학업동기도 검사는 4가지 항목, 자신감, 주위집중, 관련성, 만족감의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통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항목에서 반응이 사전과 사후가 같지 않으며 사후에 학업동기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래서 ‘흥미도가 높아졌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영어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균이 사전결과 보다 사후에 향상된 모습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우월하다고 검증이 되었다. 셋째, 미술 결과물 평가는 채점자 3인간에 타당한 평가가 이루어졌다는 검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미술영어 통합 수업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이 영향을 주며 미술교과와 영어교과가 상호 보완적인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고 할 수 있다. 미술교과가 주지교과가 아니라서 주목받지 못하고 있고 영어교과 또한 수업시수의 부족으로 학습자의 요구하는 필요만큼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양 교과의 통합으로 얻을 수 있는 상호보완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미술과 영어는 학습자의 흥미도와 학업성취도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 미술과 영어과의 통합적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통합 = 5 1.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 5 2. 통합교육과정의 필요성 = 6 B. 미술과와 영어과의 통합적 접근 = 8 1. 미술과의 교과특징 = 8 2. 영어과의 교과특징 = 11 2. 미술과와 영어과의 통합의 교육적 의의 = 1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7 A. 연구대상 및 절차 = 17 B. 연구 도구 = 18 1. 수업도구 = 18 2. 평가도구 = 35 C. 자료처리 및 분석 = 3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7 A. 연구 결과 = 37 1. 학습동기의 사전과 사후 검사 = 37 2. 학업성취도 평가의 변화 = 42 3. 디자인능력 평가의 신뢰도 = 43 B. 논의 = 44 Ⅴ.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9 부록1. 3-4차시 지도안 = 52 부록2. 5-6차시 지도안 = 55 부록3. 7-8차시 지도안 = 61 부록4. 학습동기 측정도구 사전검사용(1-2차시) = 65 부록5. 학습동기 측정도구 사후검사용(7-8차시) = 66 부록6. 영어학업성취도 측정도구 사전검사용(1-2차시) = 67 부록7. 영어학업성취도 측정도구 사후검사용(7-8차시) = 72 부록8. 국기디자인과 음식포스터 결과물 평가지 = 76 부록9. 학생들의 국기 결과물 Sample (3-4차시 결과물) = 77 부록10. 학생들의 음식포스터 결과물 Sample (7-8차시 결과물) = 82 부록11. Worksheet Paper 1 (활동지 1-2차시 사용) = 87 부록12. Worksheet paper samples (활동지 결과물) = 100 부록13. PPT = 107 부록14. 학생들의 수업장면 = 111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684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6학년 미술과와 영어과의 교육과정 통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and English Lessons for 6 Grader Elementary Students.-
dc.creator.othernameBaek, Sae Hwa-
dc.format.pageⅷ,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