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Art Clas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on Cerative Expression : Mainly for the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uthors
남신해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혜자
Abstract
지식과 정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세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은 창의성이며 이러한 창의성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교과가 미술이다. 현대사회 속에서 미술과는 시대의 흐름에 적합한 학습방법을 통해 창의적 표현력을 신장시키므로써 미적인간을 육성해야 한다. 다시말해 미술과는 현대의 넘쳐나는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문제 상황에 맞는 정보를 선택하고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술과가 필요로 하는 학습방법이 바로 문제중심학습 모형이다. 따라서 미술과는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표현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창의성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후 실험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성동구 소재의 00초등학교 5학년 통제집단 29명, 실험집단 29명으로 총 58명이며 2008년 9월 2일부터 9월 22일 사이에 실험 수업이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의 수업은 조연순(2006)의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제작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8차시로 진행되었으며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4차시로 진행되었다. 평가는 수업 결과물인 표현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로웬펠드(Lowenfeld, 1993)와 김춘일(1999)의 창의성 구성요소, 용재현(2008)의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 그리고 교사용 지도서의 평가기준을 참고로하여 본인을 포함한 전문가 3명이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통계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nce) v.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표현의 하위 요소인 융통성과 재정의 면에서 모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표현방법의 하위 요소인 정교성과 독창성 면에서 모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조형요소와 원리의 하위 요소인 종합하는 능력과 조직하는 능력 면에서 모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표현재료와 용구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항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미술수업에 적용한 결과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봄으로써 초등미술교육에 있어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통해 창의적 표현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발판을 만드는데 의의를 갖는다.;The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globe is swiftly changing. In such a trend of the society, it is the creativity that is being most highlighted. For the art department that is in the closest association with such creativity, the human of the art should be brought up by expanding the creative expression through the learning method suitable to the trend of the times. Accordingly, the art department can expand creative expression that is required by the times through the art classe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which enables the problems to be resolved in a creative manner by select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fit to the problem situation that the self faces based on flooding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rasp the effect of art clas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5thgrade elementary students.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experiment study after the theoretical study of creativity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the study, the experiment classes were done with 58 5thgrade elementary students of O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dong-gu, Seoul (29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and 29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during September 2 ~ September 22, 2008. The classes for the experiment group were processed with 8 classes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at the researcher forged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model of Yeonsoon Cho (2006). In the meantime, the classes for the control group were processed with 4 classes applying a general teaching-learning model. In reference to the creativity composition elements of Lowenfeld (1993) and Choonil Kim (1999),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tool of Jaehyun Yong (2008) and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teacher’s guidebook, the researcher together with two other experts evaluated the artworks that are the output from the classes with the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herself.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2.0 program. The findings from the said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the art classe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dicat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sub-items of the subject expression area, i.e. flexibility and re-definition. Secondly, the result of the art classe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model indicat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sub-items of the expression method area, i.e. delicacy and originality. Thirdly, the result of the art classe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model indicat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sub-items of the figurative elements and fundamentals area, i.e. abilities to put together and organize. Fourthly, the result of the art classe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model indicat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 sub-item of the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area, i.e. proficiency. In conclusion, the art classe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model can be said to give a positive effect to creative expression of a learner. Therefore, the study has the meaning to prepare the stepping-stone to expand creative expression by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Model to the art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n the creative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