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Visual Culture Art Program using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and Expression : Mainly from Package Design Class for the 5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주혜윤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We are living with numerous visual images everyday through many mass media and mass culture thanks to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advance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n order to read, interpret, well recognize and actively deal with the meaning in the images rather than what is being seen as it is in the visual culture environment of the image era,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merged. As one of the said art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visual culture art program using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to enhance image creation ability with concretized expression activity of responses by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with criticism the visual culture of the surroundings associated with a life of the self mainly with personal responses of a learn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not to deepen learner’s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into production activity but also to lead learner’s life to a positive change. To understand the visual culture phenomena, the chapter of package design that is a visual image easily accessible in a real life of a learner was selected. Individual responses of a learner were respected. Proactive exchanges with those responses were expanded toa critical way of thinking. Response Internalization Based Art and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were applied. To investigate how a life of a learner changes through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 attention was paid to a change of learner’s learning motive and the media to deliver visual images were understood and investigated how they were used and expressed by the expression te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the visual culture, the visual culture and the art education, which consist of the program content, as a theoretical base to develop a visual culture art program and tried to find the Response Based Theory to be a structure, the art using the Response Based Theory and the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In addition, to see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applicable to the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whom the program would be developed, the art education course for the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looked into and the art textbook for them was analyzed based on partial and occasional rectification of the 7^(th) education course so as to select the chapter of package design that is associated with the visual culture. The traditional lesson model as well as the visual culture art program using the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developed from the said was applied to the 5^(th) grade classes 1 and 5 of the Y Elementary School for an experiment. By pre and post questionnaire of learning motivation and the expression test for the works made in a class, the learning motives and expression of each cla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expression.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program. The visual culture art class using the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was done 7 times. The 1^(st) and 2^(nd) classes were to induce a motive to learn by individual observation, experience and response of a learner and to understand the package design by the discussion and criticism with study papers as well as appreciation study of a snack package image that is a fraction of the visual culture. The 3^(rd), 4^(th) and 5^(th) classes were to make an idea sketch and snack package design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package design. The 6^(th) and 7^(th) classes were to appreciate and evaluate the output. The findings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visual culture art program using the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was shown effective to boost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1) in inquiry, curiosity, relations, confidence, satisfaction and continuation of motive that are the sub-segments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group was shown to have relatively higher motivation to learn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even if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experiment group had improved in the change of learning motive within the group, there was a bit decrease i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control group.This indicates to be able to br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down as there might happen difficulties in accessing to the visual culture when a systematic teaching method is not in place for the education of visual culture art. Thirdly, the visual culture art program using the Response Based Learning Method was shown effective to improve the expression of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1) in theme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figuration elements and fundamentals,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that are the sub-segments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group was shown to have relatively higher ex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 art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which make the visual culture of the surroundings understood mainly by the responses of a learner, could be said to prove suitable to enhance a learner’s desire to learn, to raise confidence in expression activities and to do expression activities with creative idea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was found to be used proact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ould be able to be actually used as a base for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onwards.ㅁ;현대사회에서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대중매체와 대중문화를 통해 매일 수많은 시각적 이미지를 접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시대의 시각문화 환경에서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닌 이미지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읽어내고 해석하며, 올바르게 인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시각문화미술교육이 등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술교육으로 학습자의 개인적인 반응을 중심으로 자신의 삶과 연관이 있는 주변의 시각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반응의 구체화된 표현 활동으로 이미지 창조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시각문화에 대한 이해를 제작활동으로 심화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의 삶을 긍정적인 변화로 이끄는데 있다. 시각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미술 교과에서 시각문화와 관련이 있는 단원 중에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시각 이미지인 포장디자인 단원을 선정하였고, 학습자 개인의 반응을 존중하고, 반응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비평적 사고로 확장시키며, 반응이 내면화되는 과정 중심의 미술과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하였다. 학습자의 삶이 시각문화미술교육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동기 변화에 주목하였고, 시각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매체의 이해와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이용하고 표현하였는지를 표현력 검사를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이루는 시각문화의 개념과 시각문화와 미술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구조를 이루는 반응 중심 이론과 그것을 적용한 미술과 반응 중심 학습법을 찾아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의 대상층이 되는 초등학교 5학년에게 적용 가능한 시각문화 교육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의 부분·수시 개정을 토대로 초등학교 5학년 미술과 교육과정을 고찰하고, 초등학교 5학년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시각문화와 관련이 있는 포장디자인 단원을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프로그램과 전통적인 수업 모형을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Y초등학교 5학년 3반과 5반에 각각 적용하여 실험해보았다.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은 7차시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1, 2차시는 학습자 개인의 관찰과 경험, 반응을 통해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시각문화의 일환인 과자 포장이미지 감상학습, 학습지를 활용한 토론과 비평으로 포장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위한 학습, 3, 4, 5차시는 포장디자인의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아이디어 스케치와 과자 포장디자인의 제작활동, 6, 7차시는 결과물에 대한 감상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학습 동기 설문지와 수업 중에 제작한 작품에 대한 표현력 수행평가를 통해 각 반의 학습동기와 표현력을 비교, 분석하여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프로그램이 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집단 간 하위 영역인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동기지속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내의 학습 동기 변화에서 실험집단의 학습 동기는 증진되었으나, 통제집단의 학습동기에 약간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것은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법이 적용되지 않았을 경우 시각문화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져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저하를 가져 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반응 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프로그램이 학생의 표현력 향상에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집단 간 하위 영역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주변의 시각문화에 대해 이해하는 미술교육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학습 욕구를 향상시키며, 표현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표현 활동을 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미술 교육에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이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실질적인 토대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