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 양상 연구

Title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Korean Utteranc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Regarding Dialogic Intonation
Authors
박지연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의 대화체 억양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들의 발화 양상을 분석하고, 오류와 그 원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의 대화체 억양은 낭독체와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대화 상황 안에서의 화자의 의도가 역동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억양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기 때문에 대화체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교육의 부재로 인해, 초급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중·고급 학습자들까지도 의사소통 상황 안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한국어 억양 교육의 이분법적인 교육내용에 의하면, 평서문 문장 끝의 억양은 내리고 의문문은 올리는 정도만이 제시되어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억양 교육과 교재 개발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억양 영역에 대해서만큼은 스스로 학습해야하는 안타까운 현실에 놓여 있다. 특히 억양 습득은 모국어의 간섭을 많이 받는 영역이기 때문에, 교육 내용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언어권별 오류 유형을 밝히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에 대해 한국어 대화체 억양을 발화하도록 하여, 강세구, 문장 내 억양구, 문장 끝 억양구의 단위로 그 양상을 모어 화자와 비교하였다. 본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모어화자 20명과 중국인 중급 학습자 20명을 확보하였고, 각 집단마다 한국어 대화문을 충분히 연습을 시킨 후, 두 명씩 대화하도록 하여 그 발화를 녹음하였다. 다음으로는 중국인 피험자들에게만 중국어로 번역된 대화문을 읽게 하였고, 각각의 녹음 파일은 음성 프로그램 praat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성이 평음으로 시작하는 강세구의 경우 한국인 모어 화자는 LHLH나 LHH패턴을 가장 많이 보였고, 반대로 중국인 피험자들은 첫 음을 H로 높게 발화하는 오류를 많이 보였다. 다음으로 초성이 경음이나 격음으로 시작하는 강세구는 한국인이 H로 시작하는 것에 반해 중국인은 L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중국인 피험자들의 대부분이 강세구의 시작을 H로 높게 발화하는 경향이 있어, 평음으로 시작하는 강세구에서 더 많은 오류가 나타났다. 문장 중간에 있는 억양구의 경계성조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발화 양상이 크게 다르지 않은 데 반해, 문장 끝의 경계성조는 두 집단 사이에 매우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어 낭독체와 대화체를 비교한 선행연구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어 대화체의 억양은 문장 끝에서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인 높낮이를 나타낸다. 문장의 끝은 바로 화자의 의미와 태도, 감정 등이 드러나는 가장 뚜렷한 출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낭독체의 억양과는 달리 한국어 대화체의 문장 끝은 특히 상승하는 억양이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데,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이 되었던 종결어미 12개의 경계성조에 대해 분석한 결과, 거의 대부분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문장을 끝맺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중국인 집단의 결과는 이와 매우 대조적이었다. 문장의 끝 음절에서 급격하게 그 음높이가 떨어지는 형태를 주로 보였는데, 이는 중국어 번역문을 분석한 결과 그 원인을 중국어 억양의 전이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억양 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점차 늘고는 있지만, 그 연구의 대부분이 낭독체 자료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진정성 있는 교육내용의 기초 자료를 삼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한국어 억양 교육의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어 학습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겪는 억양 습득의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돕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억양 교육은 특히 언어권별 학습이 중요하므로, 성조 언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억양 오류 분석과 그 원인 제시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반드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This study has a purpose to analyze Korean utteranc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regarding dialogic intonation of Korean and to indicate the errors and the causes. The dialogic intonation of Korean, the concept which is classified from vocal reading intonation, exposes speaker's intention dynamically during conversation. The research on dialogic inton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 object of intonation studying is smooth communication. Not only are the beginners in a chaotic state bu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re also confused in actual communication because there is no education for dialogic intonation's rules. And because an intonation acquisition is much interfered by one's native language, distinguishing error types should be preceded in a sense of formulating basic education contents. Therefore, this work compared the tone of Korean speaking by Chines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with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differentiating accents and tonal phrase within and at the end of sentence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wenty native Korean speaker and twenty Chinese intermediate level learners were sampled. They were directed to fully practice conversational scripts in Korean and dialogues by two-person groups were recorded. Subsequently, Chinese translated version was read by Chinese subjects and recorded. As a result, either LHLH pattern or LHH pattern was mostly shown for Korean speakers in the case of Accentual Phrase in which the syllable-initial segment is tense while Chinese learners made errors in the AP begins with H tone. Next, in the case of the syllable-initial segment with aspirated. Korean tent to begin with H tone while Chinese learners tent to begin with L tone. However, more errors were discovered on AP starting off with tense because most Chinese learners set the initial sound at very H tone. Next, boundary tones of dialogic intonation in the sentence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utterance compared to those of Chinese. Yet, the difference between boundary tones at the end of a sentence was very distinct. Unlike the intonation of vocal reading, the IP-final tone of korean dialogic intonation shows frequent rise in pitch. Most of Chinese had the pitch dropping drastically at the end of a sentence. In analyzing the Chinese translation, the phenomenon was due to transfer in Chinese intonation. This research can have the following mea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scussion above: First, the recent increase in studies on teaching intonation in Korean education is mostly confined to the information on vocal reading intonation, thus not qualified as a basic material for genuine education. Therefore, once complemented, the study result of vocal reading intonation can serve as a basic material in building practical contents for Korean intonation education. Secondly, it can contribute to intonation learning of Chinese students, which comprise a majority of the Korean learners.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causes of intonation errors of Chinese learners who use tonal language as their native tongue are definitely expected to be helpfu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