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6 Download: 0

동영상 사전의 활용 및 저작 활동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동영상 사전의 활용 및 저작 활동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Using and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on the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최은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어휘지식은 외국어 학습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는 명시적인 교수로 빨리 학습되어야 한다. 특히 중학교 시기에 학습하는 어휘는 가장 빈도수가 높은 어휘이기에 교사는 명시적인 방법으로 학습자가 이러한 어휘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기억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최근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달로 어휘교육에 있어 언어적 형식과 그림이나 애니메이션, 비디오 같은 시각적 형식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자료제시를 통해 어휘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자료가 어휘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컴퓨터를 활용한 어휘학습 자료의 저작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자료의 단순한 활용보다 어휘학습과 정의적인 태도에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온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어휘학습에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는 대부분 컴퓨터상의 독해과정 중 멀티미디어 주석이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고 멀티미디어 자료 저작을 통한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명시적인 어휘학습 환경에서 컴퓨터상의 멀티미디어 어휘 학습 자료의 활용 및 저작 활동이 어휘 습득과 정의적 태도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우리나라 중학교 어휘교육에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에서 검색한 단어의 소리파일과 이미지파일을 이용하여 간단한 동영상 편집프로그램으로 만든 동영상 사전의 활용 및 저작활동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학습과 정의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두 실험집단,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총 3차시 동안 통제집단은 어휘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단순 암기하게 하고, 첫 번째 실험집단은 교사가 만든 동영상사전을 활용하여 어휘를 학습하게 하였으며, 두 번째 실험집단은 동영상사전을 저작하면서 어휘학습을 하게 하였다. 실험 직후 단기 어휘평가를 실시하였고 2주일 후 동일한 어휘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기억의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어휘지식의 다양한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네 가지 평가영역이 주어졌다. 또한 영어학습과 어휘학습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조사도 실시하였고 동영상사전의 활용 및 저작활동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자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설문과 개방형 심층설문도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직후 단기 어휘평가에서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영상사전의 활용 및 저작활동이 단기어휘학습 효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습자 수준별로 상·하위집단 모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집단의 경우 음성-영한, 영한, 문맥 평가영역에서 동영상사전 저작집단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 동영상사전 활용집단, 통제집단 순이었는데 멀티미디어 어휘학습 자료가 하위학습자가 어휘 형태의 의미와 문맥 속 어휘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어휘 기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주 후 실시된 지연 어휘평가 점수에서 단기 어휘평가 점수를 뺀 점수에서도 동영상사전 저작집단의 점수하락폭이 가장 작았고 그 다음 동영상사전 활용집단, 통제집단 순이었으며 세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도 있었다. 이는 멀티미디어 자료가 어휘 기억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저작 과정 중 단어 형태와 의미 사이에 주의를 기울이며 연합을 형성하는 과정이 어휘의 이해와 기억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학습자 수준별로는 상·하위학습자 모두 동영상사전 저작집단의 점수하락폭이 가장 작았고 그 다음 동영상사전 활용집단, 통제집단 순이었으며 상위학습자의 경우 세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도 있었다. 셋째, 실험이전·이후의 영어학습과 어휘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동영상사전 활용 및 저작집단은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일어났고 동영상사전 저작집단의 경우 점수향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학습자 수준별로 상위집단의 경우 대부분의 영역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의 점수는 오히려 하락하였다. 이는 멀티미디어 어휘학습 자료가 학습자의 흥미, 자신감, 동기유발을 일으켰고 특히 저작과정에 참여하는 활동의 효과가 가장 컸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두 실험집단인 동영상사전 활용 및 저작집단의 동영상사전 이용 만족도와 동영상사전 저작과정 만족도에 대한 심층설문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특히 동영상사전 활용집단의 경우 대부분의 영역에서 하위집단의 만족도가 동영상사전 저작집단에서는 상위집단의 만족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두 실험집단의 개방형 심층 설문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동영상사전을 이용한 어휘학습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컴퓨터를 이용한 자기주도적인 학습,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흥미와 이해도 고취, 무한반복의 가능 등이 장점으로 제시되었고 단어 이미지와 발음 중 정확한 발음의 유용성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동영상사전 활용 및 저작활동이 어휘학습과 정의적 태도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중학교 학습자들에게 동영상사전 저작활동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는 영어수업의 어휘학습에서 멀티미디어 자료를 적극 활용해야 하며 특히 능동적인 어휘학습을 촉진하는 동영상사전 저작활동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두 실험집단의 단어 이미지와 소리에 대한 다른 선호도에서 알 수 있듯이 효과적인 어휘학습을 위해 시각자료 선호나 청각자료 선호같이 학습자의 선호스타일에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이용이 요구된다. 동영상사전은 영어어휘 수업활동과 과제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직접 만든 단어의 사진, 소리, 텍스트를 이용하여 동영상사전을 저작한다면 더 의미있고 실제적인 활동이 될 것이다.;The primary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enable learners to communicate successfully. Vocabulary knowledge is recognized as a crucial component of effectiv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high-frequency words are of great importance for everyday language use, so they must be taught explicitly as soon as possible. Language teachers are required to help students to learn these essential words effectively. Recently, computer technology has enabled multimedia presentation of materials such as static images, dynamic images, texts, and sounds to be used as learning devices. Numer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multimedia dictionaries or annotations containing pictures and texts are more effective than single-mode ones in the second language multimedia environment. Also,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authoring multimedia materials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affective aspects rather than simply using teacher-produced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thentic multimedia dictionary authoring task which involves students' active roles in learning new words while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vocabulary acquisition in the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and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ne hundred eight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traditional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using and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Two different vocabulary posttests were administered: one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and the other two weeks later. For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efficacy of the tasks, four aspects of vocabulary knowledge were measured.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experimental subjects' usefulness rating of the multimedia dictionaries and their opinions about using and authoring them were also examined by in-depth questionnair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on the immediate posttest. Using and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mediate vocabulary retention. Second, the two experimental groups di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delayed postte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multimedia dictionary authoring activity was more effective than simply using the multimedia dictionary. This result indicates that authoring the multimedia dictionary is most effective in retaining newly learned words in the long-term memory. Third, the result of the attitude questionnaire revealed that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 toward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Moreover, the authoring group demonstrated the most positive attitud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using and authoring experience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attitudes. Fourth, the results of the additional questionnaires and in-depth questionnaires proved that both experimental group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tasks. They said that audio-visual materials increased their motivation and vocabulary comprehension. Self-directed learning via the computer and repetitive practice were also recognized as advantages. Also, the sounds of the words were reported to be more useful than the images in the multimedia dictionary. The authoring group stated that vocabulary acquisition occurred naturally while being actively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sing and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have positive effects not only on vocabulary acquisition, but also on attitudes towards vocabulary learning. Furthermore, the authoring task proves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aiding vocabulary acquisition. This suggests that activities of authoring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used in class to promote learners' active vocabulary learning. The multimedia dictionary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in and out of class. Learners should be encouraged to use their own images and sounds to create multimedia dictionaries for more meaningful learning. Considering that the two experimental subjects showed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choose different presentation modes that correspond to their preferred learning sty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