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학급공동체 의식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급공동체 의식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Classroom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Building Friendship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최원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Over years, the concept of inclusion was regarded as the physical invol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academic activities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However, the concept has been extended to educate all students in the classroom, regardless of their abilities and disabilities, in the academic as well as social aspect. Hence, the meaningful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is considered as a critical element, in addition to the academic success for the includ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ch paradigm shift, as a result, requires teachers to create a positive classroom environment, where all students accept their differences and respect each other’s unique needs, and where everyone can feel like members of a classroom community. This classroom environment, as a small community, will promote to establish positive friendship between typical students and those with disabilities which brings the true meaning of social i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positive classroom environment by using a Classroom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which focuses on enhancing the community mindset in the classroom, and to measure how much the program affects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building friendship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classroom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 students with mild mental impairments (4th and 5thgrade) and 102 students in 4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where those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Two of the classrooms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s as control groups. First, to measure the quality of friendships before the experiment, all the students in 4 groups took a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Bukowski, Hosa, &Newcomb, 1987), which was constituted by 6 sub-categories: common-activity, positive social behaviors, intimacy, attachment and self-esteem enhancement, trust, and conflict & conflict-resolution. Then, the Classroom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once a week for 40 minutes, for 11 consecutive weeks while no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e control groups. After the experiment, all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ok the questionnaire again, to compare the change for the perceptions about their friendship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test was done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experiment by using the SPSS for Window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 their perceptions in their friendship wi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s have positively improved their perception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classrooms in all 6 sub-categories of the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lassroom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has significant impacts on assisting social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lassrooms by enhancing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in regular education classrooms towards those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are further discussions needed about this study. First, a definition about friendship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hould be re-established since making friend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ot typical, compared to others. Hence, the new definition of friendship, which is carefully regarded as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ecessary. Also, a new evaluation tool, which can measure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ir friendships with othe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e one for the typical students. Since the friendship is formed by interaction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sider the aspec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t would also encourage quality friendships to for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more programs which facilitate social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signed, and mo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implementing these programs.;최근의 통합교육은 장애학생을 일반교육에 포함시켜 교육시킨다는 기존의 의미에서 모든 학생들이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가치가 인정되고 개인의 교육적 요구가 충족되는 교육이라는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다. 통합교육의 최근 개념들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바는 통합학급이 모든 학생들이 다양성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지원과 배려의 공동체로 기능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통합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이나 통합교육 형태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통합교육의 핵심적인 지표가 되는 사회적 통합 역시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수용되는 것뿐 아니라 또래들과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함께 학급 전체의 변화가 필요하다. 많은 연구에서 통합학급이 학생들이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다양성을 인정하는 학급공동체로서 기능한다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고 보다 나은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으로 학급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급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학생을 포함한 학급 구성원들이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협력하여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이로 인해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4·5학년 학생 중 연구의 기준에 부합하는 4명의 장애학생과 그 학생이 통합되어 교육받고 있는 학급을 선정하고, 2학급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학급의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1회 40분씩 11회에 걸쳐 학급공동체 의식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도구로 오선영(2000)의 ‘친구관계에 관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분산 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친구관계 지각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학급공동체 의식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일반학생들이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 지각에 대한 설문 결과에서 유의미한 친구관계 향상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애착· 자존심 고양, 신의, 갈등 및 갈등해결의 6가지 친구관계 하위 영역에서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친구관계 지각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학급공동체 의식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통합학급이 공동체로서 기능하도록 촉진하였을 때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특히 하위 영역 중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영역에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급공동체 의식 증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간 친구관계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로써 통합학급이 학급공동체로서 기능할 때 사회적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활용된 학급공동체 의식 증진 프로그램은 장애학생 뿐 아니라 모든 학생들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적 통합의 개념에 더 다가서는 통합지원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가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바람직한 친구관계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를 양방향적이고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평가도구와 다양한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