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음성출력 의사소통도구를 이용한 중재가 뇌성마비 중학생의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Title
음성출력 의사소통도구를 이용한 중재가 뇌성마비 중학생의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using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for participating community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uthors
김혜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의사소통행동은 개인에게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고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에서 개인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통합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의사소통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를 이용한 중재가 있다. 특히 뇌성마비 학생 및 구어 사용이 어려운 학생을 대상으로는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중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를 사용한 연구들이 많이 실시되고 있으며, 연구 결과 학생의 의사소통행동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유아 혹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며,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중재 상황이 주로 학교나 가정 상황으로, 중등 시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에서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를 실시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를 통해 효과적이었다고 제시된 의사소통행동들이 요구하기나, 반응하기와 같이 한 가지 혹은 두 가지의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학생들이 참여하는 실제 생활이나 활동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에서 음성출력 의사소통도구를 이용한 중재가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으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만 14-15세의 뇌성마비 중학생 3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설계는 3명의 대상학생에 대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 단계에서 실험은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복지관 활동과 패스트푸드점 활동에서 주 4회 30분의 활동 중 중재와 10분의 활동 후 개별 중재를 실시하였고, 의사소통행동의 발생빈도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지역사회 활동 중재 전 15분 동안 관찰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중재 효과가 일반화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후 4회기 동안 다른 지역사회 활동에서 일반화 자료를 수집하였고 유지는 중재 종료 4주 후 연속 8회기 동안 기초선과 동일한 상황에서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절차에 따라 전사하여 그 내용을 의사소통행동의 발생 빈도와 기능별 빈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를 실시한 결과, 대상 학생 1, 2, 3의 의사소통행동의 총 발생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의사소통행동의 기능도 증가하였다. 둘째,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를 실시한 결과, 대상 학생 1, 2, 3의 의사소통행동의 총 발생빈도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다른 지역사회 활동(도서관 활동)에서도 일반화 되었다. 셋째,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를 실시한 결과, 대상 학생 1, 2, 3의 의사소통행동의 총 발생빈도는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가 뇌성마비 중학생의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의사소통행동의 발생빈도와 의사소통행동의 기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는 뇌성마비 중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전략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뇌성마비 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 중재가 지역사회 활동에서 그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의사소통행동의 기능도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Communication behavior is important to attain the communication goal and self-concept of person, and to participate in and integrate community as a member of community. To enhance communication behavior fo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students who are difficult to use verbal on the communication, studies using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s(VOCA) were investigated and the communication behavior was increased. There are some studies focus o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bout the intervention using VOCA. However most of studies were investigated the communication behavior in school or home setting and limited communication behavior like request and respondence. For adolescents, studies about variety of communication behavior on community activities are insufficient. Thus, on community activities the study about variety communication behavior for adolescents is necessar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vention using VOCA in community activities of thre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 study conducted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test b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4 times per week through fast food restaurant activities and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ctivities. In processing th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using VOCA had been carried out to subjects for 30 minutes during activities, and 10 minutes after activities. Fl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was observed 15 minutes before intervention. To collect generalization data, communication behavior was measured in the library activity for four times after the intervention.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8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after 4 week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 1. The rate of the subject's total communication behavior for participating community was increased through the intervention using the VOCA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increased. 2. The rate of the subject's total communication behavior for participating community was generalized in other community activity(library activity) through the intervention using the VOCA. 3. The rate of the subject's total community communication behavior for participating community was maintained in higher quality than the beginning through the intervention using the VOCA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the intervention using VOCA i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for participating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unctio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