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고등학교 배구 선수의 학업참여에 따른 진로탐색활동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배구 선수의 학업참여에 따른 진로탐색활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learning participation on the class of student-athletes in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Authors
김희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배구 선수들의 학업참여에 따른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4월 현재 대한배구협회에 선수로 등록된 고등학교 배구선수 중 무작위로 선정하여 22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자와 누락된 항목이 있는 응답자를 제외한 남자고등학교 배구선수 110명, 여자고등학교 배구선수 101명의 총 211부로 최종 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설문지는 학업참여의 하위요인을 하루 평균 학업참여시간, 시합 전 수업참여, 학습참여 태도, 학습참여이유, 지도자 관심정도, 성적, 수업이해 정도, 이해부족 이유, 수업관심 정도, 보충수업 유무, 과외학원 유무 등의 내용과 진로탐색활동의 하위요인을 진로정보수집, 자신에 대한 탐색, 직업에 대한 탐색,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등 2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Window용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본 연구의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은 하루 평균 수업 참여는 시험과 관련될 때만 참여한다(41.2%)와 오전 수업만 참여한다(35%)가 높게 나타났고, 또한 시합 전 수업 참여시간은 참여하지 않는다가 211명 중 189명(89.6%)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업참여 태도에서 소설책, 잡지 등을 읽는다와 잠을 잔다(34.6%)가 높게 나타났고 수업참여 이유로는 의무적으로 참여한다가 107명(50.7%)으로 나타났다. 수업 참여에 대한 지도자의 관심은 시합이 없을 때만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가 133명(63.0%)이 응답하였다.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의 학교성적은 하위권이라고 응답한 수는 162명(76.8%)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업결손으로 인해 수업이해부족은 진도를 따라 갈 수 없다고 응답한 수는 86명(40.8%)으로 나타났다. 수업결손에 대한 보충수업이 없다고 응답한 수는 184명(87.2%)으로 나타났으며 과외나 학원 등으로 보충을 하는 경우도 15명(7.1%)에 불과했다. 2.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진로탐색활동에서 하위영역인 진로정보수집(남:M=10.70, 여:M=10.25)), 자신에 대한 탐색(남:M=23.66, 여:M=24.96), 직업에 대한 탐색(남:M=13.13, 여:M=14.41)에서 평균적으로는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선수 경력에 따른 진로탐색활동은 하위영역인 자신에 대한 탐색(M=24.7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국대회 입상성적에 따른 진로탐색활동(M=49.04)은 평균적으로는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의 학업참여와 진로탐색활동의 상관관계는 학업참여의 요인 중 지도자의 관심과 진로정보 수집, 직업에 대한 탐색, 진로탐색활동 간에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0.01**). 성적과 직업에 대한 탐색에서 서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수업이해 정도와 직업에 대한 탐색, 진로탐색활동에서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1**). 수업관심 정도와 자신에 대한 탐색, 진로탐색활동 간에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1**). 4.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의 학업참여 하위 요인 중 학업 성적이 높아질수록 직업에 대한 탐색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수업관심정도가 높아질수록 자신에 대한 탐색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의 학업참여 하위 요인 중 수업관심정도가 높아질수록 자신에 대한 탐색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수업 참여시 지도자의 관심이 높아질수록 직업에 대한 탐색점수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지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a learning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as student-athletes effected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211 candidates of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who were registerd at Korea Volleyball Association (KVA) were randomly designated at the present time of April 2008.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ere organized 27 questions including candidate's general characteristics in learning participa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and so on. The date were analyzed by SPSS Window 12.0 program with t-test, One-ANOVA, multipl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is study, the candidates highly responded to the questions of participated only classes which related to examination (41.2%), participated only for morning classes (35%), and no-class participation before sporting events (89.6%). Regarding to an attitude in classes, 34.6% of candidates answered reading novels and magazines, or taking a nap in classes. Half numbers of total candidates (50.7%) participated in classes based on their duty. 133 candidates (63%) answered that they joined classes when there is no sporting events regarding to the consideration of coaches toward high school athletes' participation in classes. Majority number of candidates (76.8%) responded that the academic grades of candidates were ranked in lower pool and 40.8% of candidates answered that it was unable to catch up the classes due to the frequent absence. Most numbers of candidate (87.2%) emphasized there is no supplementary lessons for class-absence and only 7.1% of candidates obtained extracurricular or private lessons to fulfill their academic aspects. 2.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clarified by sex of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in the area of lower fators, such as collection information of future course(Male:M=10.70, Female:M=10.25), observation about oneself(Male:M=23.66, Female:M=24.96), navigating about occupations (Male:M=13.13, Female:M=14.41) were defined that the results were different in averag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atistical aspects.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effected by the career of student athlet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lower area of navigating about oneself (M=24.71). The navigating activities of future courses (M=49.04) effected by the grade of awards in nationwide events were different in average, ye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atistical aspects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navigating activities of future routes of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the each factor of the participation in classes such as coaches' consideration, collecting information for future courses, seeking for occupations, and navigating activities for future routes has relationship and examined the existence of statistical differences (p <0.05* p <0.01**). The correlation between searching activities of grades and occupations were clarified in this stud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 aspects(p <0.01**).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was determined among the factors of understanding of class works, searching activities of occupations, and navigating activities of future route; moreo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 aspects were clarified(p <0.05* p <0.01**). Relations were detected among the factors of interests level of classes, searching for oneself, and observational activities for future courses(p <0.05* p <0.01**). 4. Among lower factors in participation of classes for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navigated scoring toward occupation gets higher simultaneously(p<0.01**) when academic grade were higher, and navigated scoring toward oneself gets higher when the level of interests in classes were higher (p<0.01**). Moreover, navigated scoring toward onself significantly gets higher when the level of interests in classes was higher (p <0.05*). In case of increasing the consideration of teachers in classes, it was meaningful results that searching score toward occupations gets higher; however, enormous influence was not existed on that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