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이용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Title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이용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Adaptation Strategies usi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Childcare at the National Level on Disabled Children's Engagement in Free Choice Activities
Authors
김은혜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curriculum adaptation strategies using the national standard childcare manual called 'the 'childcare program management manua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influence disabled children's engagement in the free choice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4 children with disabilities aged 5, 6 and 7 from the inclusion childcare centers, and then, divided them equally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 to the curriculum adaptation strategies using 'the childcare program management manua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period of their free choice activities; the strategies were used for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for 6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ubjected to the curriculum adaptation strategies using 'the childcare program management manua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been engaged more in the free choice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engaged more in 'toy' during the period of their free choice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 Third,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engagement in ‘peers’ during the period of the free choice activities.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ubjected to the curriculum adaptation strategies using 'the childcare program management manua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have been engaged more in ‘teachers’ during the period of their free choice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장애 유아의 통합교육은 법적, 사회적, 윤리적 당위성으로 인해 양적인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이제는 질적 성장으로 나아가고 있다. 발달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를 보내는 영유아기 시기에 이러한 조기 통합교육 경험은 장애유아들의 발달과 학습의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장애 유아들은 통합 환경에 물리적인 배치만 되어 있을 뿐 진정한 학급의 일원으로 소속과 참여를 이룩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통합된 장애 유아가 일반학급에서의 일과와 활동에 의미 있게 참여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특별한 요구를 고려하여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과정 수정은 장애 유아의 참여를 촉진하고 최대화하기 위해 교실에서 진행되는 활동과 일과를 수정하는 것으로, 교육과정 수정을 통한 장애 유아의 참여 촉진은 교재·교구,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증가시키므로 결국 장애 유아의 학습과 발달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수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일반 유아교육과정 안에서 장애 유아의 개별적인 욕구를 고려해야 하는 이중적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과정 수정과 관련된 자질들이 요구되는 등 교사의 어려움이 가중되며, 결과적으로 장애 유아의 교육적 성취가 이로 인해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일반 유아교육과정 중심으로 개별 장애 유아의 교육적 요구에 반응하는 교육과정 운영 체계의 틀을 제시한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지침인 『장애아 보육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이 개발되었다. 『장애아 보육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은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어린이집에 통합된 장애 유아를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및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과 개별화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을 이용하여 통합된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통합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24명의 장애 유아들을 실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동일 연령이 두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 반씩 실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장애아 보육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에서의 교육과정 수정 전략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기존의 어린이집 자체 교육과정을 진행하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참여 행동을 관찰 한 후 『장애아 보육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의 교육과정 수정 절차를 활용하여 “자유선택활동 수정 계획안”을 매주 유아마다 작성하여 6주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참여 행동은 교구, 또래, 교사로 하위 변인을 나뉘어 각각의 변인에 대해 장애 유아가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유아 마다 10분 동안 직접 관찰함으로써 수집하였으며, 10초 간격의 부분간격 기록법으로 사전검사, 사후검사 모두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의 교육과정 수정 전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유선택활동 전체 참여율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한 집단 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의 교육과정 수정 전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유선택활동에서 교구와의 참여율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한 집단 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의 교육과정 수정 전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유선택활동에서 또래와의 참여율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한 집단 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의 교육과정 수정 전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유선택활동에서 교사와의 참여율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한 집단 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유선택활동 시 『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의 교육과정 수정 전략이 장애 유아의 또래와의 참여율에는 영향을 미치진 않았지만, 교구, 교사와의 참여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실 내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장애 유아에게 중재를 실시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밝혔으며, 통합 환경인 어린이집에 배치된 장애 유아들을 위해 개발된 『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의 활용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이었음을 증명한데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