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즉흥연주 사례연구

Title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즉흥연주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Improvisation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Internet-Addicted Teenagers
Authors
주혜윤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인령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즉흥연주가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즉흥연주 음악치료 활동을 시행 후 이들의 자기효능감 점수 변화와 즉흥연주 활동 내에서 나타나는 자기효능감 관련 반응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해 보호관찰소 기관 담당자가 작성한 인터넷 중독 관찰자 척도에서 1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인터넷 중독 청소년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A시 보호관찰소에서 한 회기당 약 1 시간씩, 총 10회기의 그룹형태의 즉흥연주 음악치료 세션을 진행하였다. 세션이 종결된 이후에는 이들에게 사후 자기효능감 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즉흥연주 음악치료 프로그램 시행 전과 시행 후의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 수준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상자들의 인터넷 중독 여부와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하여 인터넷 중독 관찰자 척도와 자가 인터넷 중독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들이 자가 인터넷 중독 척도에서 허위 답변을 하여 인터넷 중독 관찰자 척도에 의해 대상자들의 인터넷 중독 여부를 살펴볼 수밖에 없었다. 자기효능감 측정은 사전-사후 검사로 이루어져 즉흥연주 활동 개입 이전, 이후의 점수변화를 양적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 영역들을 보여주는 음악적 반응을 조작적 정의에 따라 분석하여 이러한 반응이 보여 지는 대상자들의 즉흥 연주를 기보하여 악보로 제시하였다. 또한 각 대상자들의 하위 영역별 음악적 반응 횟수를 매 회기별 분석하여 이를 표와 그래프로 제시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 질적 변화를 객관화시켜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양적분석 결과, 대상자 두 명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상승되었으나 대상자 한 명의 점수는 소폭 하락하였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 영역에서는 대상자 세 명의 점수가 모두 상승하였다. 두 번째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대상자 세 명 각각 모두 다른 자기효능감 관련 음악적 반응의 변화를 보였으며 프로그램이 시행된 중반 이후부터 보다 더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음악적 반응들의 횟수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계속 상승되었던 것만은 아니다. 회기가 거듭될수록 그 반응의 횟수가 오히려 감소하는 회기도 나타났으나 결과적으로 종결 회기에서는 초기 회기보다 향상된 자기효능감 관련 음악적 반응의 횟수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즉흥연주가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의 낮은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적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즉흥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을 위한 상담, 치료 현장에 도입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looking into the effect of improvisation on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Internet-addicted teenagers. This study aimed at three Internet-addicted teenagers and offered an improvisation program in one hour per session, totaling 10 sessions, in the Korean Probation & Parole Office in A City. The participating teenagers were those classified to be in the high risk group for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of an observer of the teenagers’ Internet addictions in the Korean version, prepared by a person in charge in the institution. The improvisation program in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form rapport between a therapist and the subjects. In this stage, the subjects grope for a new environment and create engagement with the therapist. In the second step, the subjects were offered programs including solo performance and the learning of new musical scales and rhythms to enhance their self-efficacy. After the improvisation, the subjects were given time to add their lingual reinforcement to one another. Also, in the third step, the subjects were made to summarize activities throughout. Concerning measures, this study employed an observer's measure for Internet-addicted teenagers, a simplified measure for Internet-addicted teenagers in the Korean version(KS-scale), and a self-efficacy measure. With regard to a quantitative analysis, the study compared self-efficacy scores collected from pre-and-post tests, by sub-area, and graphed them. In addition, the study set music of each subject to music, and analyzed the musical changes. And the researcher analysed musical responses of each underlying factors of self efficacy, then wrote each subjects' improvisation on the score. Also, the researcher analysed and graphed frequency of subjects' musical response to show qualitative changes of subjects' self-efficacy. The analysis results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wo of the subjects posted increased self-efficacy scores, but the remaining subjects recorded slightly decreased scores. However, all three subjects demonstrated increased scores in the self-confidence area out of the sub-area of self-efficacy.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ll three subjects exhibited musical changes, which indicated enhancement in self-confidence. Furthermore, All three subjects showed individual changes of musical response;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musical responses relating self-efficacy increased greater after the mid-stage of the program. The above research results prove that the improvis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elevating the self-efficacy of Internet-addicted teenagers. Henc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improvisation may be a therapeutic tool to help Internet-addicted teenagers improve their low self-efficacy. On top of that, the study proposed that improvisation-oriented music therapy may be introduced to counseling for Internet-addicted teenagers and the healing place for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