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목소리 즉흥을 통한 음대생의 연주불안 감소 연구

Title
목소리 즉흥을 통한 음대생의 연주불안 감소 연구
Other Titles
The Vocal Improvisation Effect to Decrease Musical Performance Anxiety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 in Music
Authors
송지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연주불안은 연주가 일상화 되어있는 연주자에게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현재 국내 음대생 대부분이 이러한 연주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들은 연주전에 대체로 이 불안감을 해소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나 이들을 위한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이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주불안을 호소하는 음대생들에게 연주불안 감소를 위한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참여한 음대생들의 연주불안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주불안을 느끼는 음대생들의 연주불안 감소를 위한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주 1회 총 8주 동안 8회기의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음대생들의 척도에 의한 연주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실험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충청권 소재 음악대학에 재학 중인 4명의 연주전공 대학생을 선별하여 총 8회기에 걸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양적인 연구방법과 질적인 연구방법을 위한 내용분석을 통해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상태불안과 연주불안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목소리 즉흥의 실시 전·후에 Spielberger의 상태불안척도(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 S)와 연주불안 척도를 측정하는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K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였다. 각 척도의 사전·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 비모수 검증을 하여 유의수준 p< .1에서 해석하였고, 단계별 분석을 통해서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한 연구대상자들의 언어적·음악적 반응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양적인 결과를 보충하였다. 더불어 사후 인터뷰 질문지를 통해 연구 참여자가 음악을 통해 느끼는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상태불안척도에 불안 점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66). 이는 연주불안을 느끼는 대상자들의 상태불안 점수를 감소시키는 데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음악전공 대학생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연주불안척도에 의한 불안점수가 유의한 폭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p< .068). 이는 연주불안을 느끼는 대상자들의 연주불안 점수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은 음대생의 연주불안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자들이 느낀 음악적 경험은 긍정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은 연구대상자들의 사후인터뷰질문과 회기별 언어적 서술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실시한 연주불안 감소를 위한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은 연주불안을 경험하는 음대생의 연주불안의 하위요인 중 특히 인지적 요인으로 인한 불안의 중재에 더 효과적이었음을 양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ecreasing result from students who have musical performance anxiety in school of music on Vocal Improvisation Program. For this, 4 students picked out from Seoul, Gyeong-gi and Chung-chung. The program had progressed during 8 weeks: one times a week and 8 times total, the program was took effect for students who are major in music. This study consis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ing result. To compare of distinction between state-trait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had been used to measure quantitative research and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subjects’ respond which were in each stage, had been watched. Also, post-program interview sheet was provided for subjects to qualitative analyzed. Followings are results from above. First, in connection with subjects’ motive to join this research, anxiety score of state-trait anxie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51.5 to 35.5 average. A statistical difference were shown, therefore the Vocal Improvis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for the students who were in major in music. Second, the subjects’ practical anxiety level could be quantitative shown on this program. The anxiety score had been meaning decreased average from 65.0 to 39.5 which means vocal improvisation program is effective to decrease the score, forced vocal improvisation program is in statistical difference on this study. Third, as result of this program, the subjects’ musical experience was positive. This was proven from answers of open questions on post-interview and verbal descriptions. Furthermore, the vocal improvisation program was even more effective to anxiety arbitration from cognitive factor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s described above supports priority researche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influences to decrease musical performance anxiety. The vocal improvis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general anxiety and musical performance anxiety release. This study is suggesting music therapy: it is to do for psychotherapy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musical performance anxiety. This study acquires significance music therapy for one of opportun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