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택-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02-
dc.description.abstractKnowledge and cultural contents are emerging as the newly added values as modern society is both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knowledge based society. Subsequently, the levels of quality and quantity for human resources to generate information, knowledge and culture with values become source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current knowledge based society where we live is characterized by the age in which the personalized and liberated creativity to think and find new things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s is required other than those of others rather than any exemplary thoughts or behavioral ways. According to such social changes, even the art education also aims at ultimately fostering the desirable humanity by developing creativity and containing emotion while cultivating the abilities of expressions and appreciations through art activities in the art education among the 7th curricula, which result from seeking for new directions. The art education ultimately aims at the aspects of educating a whole person to develop an aesthetic and creative human with sentiments and emotions through the shaping activities rather than any specialist on art. The art education with such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ensu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such educational goals by increasing their interests in art while enhancing learning effects through the art experienc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ay at the age when they are solidly developed into a positive or negative self-conscientiousness toward art while widening the understanding of art as they go over to the stage of realistic expressions from graphic expressions. The instruction book for art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2001) describes that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the attitude either to lose interests in art or to stay at the existing conceptual and graphic expressions when students are lacking of expression abilities while trying the realistic expressions for objects under a burden that they have to express what they see in case of children in higher grades. In addition, they feel difficult in understanding how to express pictures although they have logical thoughts while they become higher grader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is study aimed at verifying effects on how to increase their interests in and satisfaction to art while they are enhancing express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observations and expressions activities as the study analyzed program examples to express planes with observations to increase expression abil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such goals, the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observation, understanding of vision, principles of perception in the elements of shape, developing stages of art exp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ir observ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the through researching on the literature. Based on Tyler's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urses which undergoe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oals, selection of learning experience, and organization, experience and evaluation processes of learning experience, programs are developed as follow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in July 2005 for learners,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goals of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goals of programs were set to developing the expression abilities by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elements of shape with observation activities and ensuring them to have the aesthetic attitudes. The areas of contents included the pattern, color, texture, structure and theme expression, and the educational courses were organized in the systematic relations with those areas. The art programs to increase abilities of observation and expression were organized with 16 classes in total which were carried out 120 minutes per class and twice a month. Motivations were given with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to ensure students to have observations and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learning patterns of project in the teaching strategies. In addition, included were learning concepts of shaping elements, exploring how to express shaping elements, expression activities and self-assessment activities while watching observation objects and having conversations. Programs were carried out from June 2006 to May 2007 and they were modified through evaluations in order to improve programs and to provide validity. Experimental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programs were carried out with four students in total from one in each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who attend T art academy in Seoul. Second, programs were applied from September 2007 to April 2008. Third,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self-assessment by students, evaluation by the observation of a teacher and portfolio in the program evaluation while the analysis of impacts on the expression abilities and verification of effects were being don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First, students were able to effectively express themes with meaningful combinations with elements for which they observed and perceived. Second, they had harmonized expressions in organizing screens while understanding concepts of shaping elements they learned through observations. Third, they had combinations and expressions appropriate for what they wanted to express while exploring materials and expression methods to express the features of objects. Fourth, they explored materials for their expression while understanding their features and effectively expressing them. As a result of such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the actual validity of these programs was verified as they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increase of expression abil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정보화 사회, 지식 기반 사회로 지식 및 문화 콘텐츠가 새로운 부가가치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현대사회는 가치 있는 정보와 지식 및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질적, 양적 수준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 또한 모범적인 사고나 행동방식보다는 남들과 다른 관점에서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발견할 수 있는 개성적이고 자유로운 창의력을 요구하는 것이 지식 기반 사회의 특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미술교육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육에서는 미술활동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능력을 기르고 창조성을 개발하여 정서를 함양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바람직한 인간성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미술교육은 미술에 관한 전문가 육성이 아닌 조형 활동을 통해서 정서와 감성을 지닌 심미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을 육성하고자 전인 교육 측면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목적을 가지고 있는 미술교육은 초등학생에게 미술경험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 미술과에 대한 흥미를 높여 교육목표를 달성하게 해야 한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은 도식적인 표현에서 사실적인 표현단계로 넘어가며 미술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미술에 대한 자아의식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굳어지는 시기이다. 초등학교 미술교사용 지도서(2001)에서는 고학년 아동의 경우 대상을 눈에 보이는 대로 나타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지고 대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표현기능이 부족할 경우 미술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거나 기존의 개념적인 도식표현에 안주하려는 태도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고학년으로 가면서 사고는 논리적으로 하게 되지만 그림을 어떤 식으로 표현해야 하는지 에는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관찰에 의한 평면표현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관찰과 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미술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하여 관찰의 의미와 관찰과 시지각의 이해, 조형요소의 지각원리, 초등학생의 미술표현 발달 단계와 관찰과 표현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론적인 고찰과 교육목표의 설정, 학습경험의 선정, 학습경험의 조직, 경험, 평가 과정을 거치는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설정을 위하여 학습자,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2005년 7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의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목표는 관찰활동에 의해 조형요소를 이해하고 표현하여 표현능력을 기르고 심미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로 정하였다. 내용영역으로는 형태, 색, 질감, 구조, 주제표현에 대한 영역이 선정되었고 이 영역들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육과정이 구성되도록 하였다. 관찰 및 표현 능력향상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은 총16차시로 매월 2회, 각1차시 120분으로 구성하였다. 교수전략으로는 프로젝트 학습 형태에 따라 학생이 관찰 및 표현을 하기 위한 학습 자료를 구성하여 동기유발을 하였다. 또 관찰대상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조형요소에 대한 개념 익히기, 조형요소에 대한 표현방법 탐색하기, 표현활동, 자기 평가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하였다. 실험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은 서울시 T 미술관에 다니는 초등학교 1,2,3,4,학년 학생 각1명씩 총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은 2007년 9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실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평가는 학생의 자기평가와 교사관찰평가,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질 적평가를 실시하였고 표현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하고 지각한 요소를 의미 있게 결합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관찰을 통해 습득한 조형요소의 개념을 이해하여 화면 구성에 있어 조화롭게 표현하였다. 셋째, 대상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재료와 표현방법을 탐색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맞게 결합하여 표현하였다. 넷째, 표현재료에 대하여 탐색하여 그 특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결론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실제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관찰과 표현 = 4 B. 초등학생의 미술표현 = 14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도구 = 18 C.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 4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7 A. 프로그램 적용 과정 및 작품 분석 결과 = 47 B. 평가영역별 분석 결과 및 논의 = 64 Ⅴ. 결론 = 67 참고문헌 = 68 작품도판 = 70 부록 = 79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933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관찰에 의한 평면표현 프로그램 사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ogram Examples to Express Planes with Observations to Increase Expression Abil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t-
dc.creator.othernameKim, Ji Eun-
dc.format.pageⅷ,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