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과학문화 지수개발과 적용을 통한 중·고등학생의 과학문화소양 조사

Title
과학문화 지수개발과 적용을 통한 중·고등학생의 과학문화소양 조사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xamination of Science Culture Index, being appli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연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현대를 살아가는 개인에 있어 큰 가치를 지니는 과학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은 점차커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과학문화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를 위한 정책들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개인적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과학문화수준에 대한 척도와 정책을 수립하는데 객관적 기준과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과학문화지수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작된 과학문화지표체계를 반영하여 개인의 과학문화소양정도를 알아볼 수 있고 정책결정에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과학문화지수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과학문화지수를 적용하여 서울, 경기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결과를 통해 과학문화지수 산출하여 지수화된 결과를 통하여 과학문화소양을 파악하였다. 첫 단계로 과학문화 전문가 설문을 통한 총 18개 과학문화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들은 과학문화소양을 측정하는데 과학대중매체 분야의 ‘방송매체’지표를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다음으로는 인터넷, 시각예술, 과학단체 및 모임활동, 이해 순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다음 단계로는 과학문화지수 설문지의 문항을 과학문화연구진과 개발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AHP 계층분석법을 통해서 각 지표별 상대적 가중치를 적용하여 100점 만점의 과학문화지수를 산출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과학문화지수의 적용은 과학문화지수 설문지를 통해 서울, 경기 중·고등학생 1,07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과학문화지수결과의 설문분석은 남·녀별, 지역별, 학교급별 따라 t-test와 ANOVA로 분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서울, 경기 중·고등학생의 과학문화지수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평균값은 약 51.9점으로 나타났다. 분야에 따라 살펴보면 5개 분야 중에서 과학철학분야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과학(역)사, 과학관련 사회활동, 과학문학과 예술, 과학대중매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철학을 바탕으로 한 기본적인 과학 인식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과학철학 전문가들은 중요하다고 생각한 분야인 과학문화를 생활 속에서 활동하는 실행적인 측면분야에서 중·고등학생의 과학문화 소양이 부족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학생들의 과학문화지수와 모든 분야에 대한 지표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높았으며 분야지표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가장 컸던 분야는 ‘과학대중매체’분야였다. 이는 남학생들의 활동적 실행부분에서 과학적소양이 높음을 알 수 있고 여학생들의 과학문화소양을 높일 수 있는 활동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역에 따른 과학문화지수에서의 차이는 서울소재 중·고등학생들의 과학문화지수 평균값이 조금 더 높았고 분야지표에서는 ‘과학문학과 예술’분야를 제외한 분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지역에 따른 과학문학과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인프라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급에 따라 과학문화지수에서의 차이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과학문화지수 평균값이 조금 더 높았다. 그리고 분야지표에서는 ‘과학철학’ 분야를 제외한 다른 분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he index is a single value, and the output of synthesizing various indicators. For this reason, research of index is necessary. The study of Science culture index(SCI) will enable us to compare the level of science culture to each region and community, and it will enable us to provide us with essential data for determining feasible goals and related policy.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the SCI associated with weighting method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using SCI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other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survey science culture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from SCI. As a first step, the questionnaire of experts produced the weight of scientific cultural indexes about total 18. In the result, experts thought 'Broadcasting' indicator is the most important to survey science culture literacy. The next important things are 'internet', 'visual art', 'organization and meeting', 'understanding' in order. As a second step, The item of Science culture index(SCI) questionnaire are developed and the item of SCI questionnaire a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method. As a next step, science culture index was came out with relative weight of index by AHP Class analysis method. For applicating of SCI questionnair, it asked to students at secondary school in Seoul and Kyonggi. In the result, SCI of scendary students shows that the average was about 51.9 points. A score of 'science philosophy' field among 5 fields was the highest with 68 points. The next high fields are Science history, science philosophy, social activities concerning science, science literature and art, science mass media in order. It shows that the scientific recognition and concerns about scientific issue are performed a fit. howeve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culture literacy is low in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which experts thought. As a results of having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gap, boys' SCI and index of all fields are higher than girls'. The field that gender gap is the largest was science mass media. It shows that boys' science culture literacy is higher. We need the study that how to increase an interest about activity of girls science culture literacy. Comparing the SCI by the region gap, the mean SCI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in Gyeonggi-d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very field except for 'Science literature and Art' field. It is assumed that the result is because of the local infrastructure for Science literature and Art. Comparing the age gap in SCI, the mean SCI of high school student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other fields but 'Science philosophy'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