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정인지-
dc.creator정인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즉흥연주를 이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완벽주의적 사고 및 무대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완벽주의 척도 180점 이상이며 무대불안 질문지에서 35점 이상을 받은 음악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 총 6명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주 1회 90분씩 10주 동안 진행되었다. 즉흥연주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되었는데, 대상자 간 관계형성 및 즉흥연주에 대한 동기유발을 위한 1단계, 완벽주의적 사고 및 무대불안에 대한 이해 및 재구조화를 위한 2단계, 대안적 사고로의 전환 및 그룹의 종결을 위한 3단계이다. 연구 1에서의 측정도구로는 Hewitt과 Flett의 완벽주의 척도, Spielberger의 상태-특성불안 척도, 그리고 표내숙, 김정숙, 표종현의 무대불안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완벽주의적 사고 및 무대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 검정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들의 완벽주의가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는데(p= .046), 하위요소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p= .046)와 타인지향 완벽주의(p= .042)가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특성불안(p= .027), 상태불안(p= .042), 무대불안(p= .028)의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p< .05). 연구 2에서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참여과정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질적연구 자료는 대상자들의 회기별 언어적 표현 및 개별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42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상자의 참여과정은 ‘피할 수 없는 무대에서의 불안함’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연주능력에 대한 이해도’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연주를 원함’이라는 중심현상으로 밝혀졌다. 중심현상은 ‘상황인식’의 중재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면서 ‘사고체계 조정’, ‘음악과의 관계 조정’의 전략을 사용하는 ‘불안을 이해하고 수용하기’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흐름에 따른 참여과정은 불안인식단계, 원인탐색단계, 음악과의 관계 재정립, 불안수용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불안을 이해하고 수용하기’의 유형은 적극주도형, 수동탐색형, 소극수용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 1을 통해 즉흥연주를 이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기지향완벽주의 및 타인지향 완벽주의적 사고의 감소 및 특성, 상태, 무대불안 감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 2에서는 근거이론접근을 이용하여 음악전공생인 대상자들이 음악치료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무대불안을 살펴보고 이해하고 수용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으며 유형에 따른 음악치료 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음악치료 중재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using improvisation. The program aimed to relieve participants' perfectionistic thoughts and the musical performance anxiet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constituted of 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perfectionistic thoughts and the musical performance anxiety. The music therapy programs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10 weeks and each session took 90 minutes. The means of measurement used a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by Hewitt & Flett,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Y form) by Spielberger, and 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SPAS) by Pyo Nae Sook, Kim Jung Suk, and Pyo Jong Hyun. Those 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music therapy program. The result of Wilcoxon test show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using improvis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of the self-oriented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tic thoughts, the trait anxiety, the state anxiety, and the musical performance anxiety(p< .05). It mean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using improvisation is effective way to relieve the perfectionistic thoughts and the musical performance anxiety. Also, the study verified the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tried to develop the substantive theory.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the linguistic data of each session and the case interviews. The study contains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1998).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divided by 42 concepts, 21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The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shows that the core phenomenon which means 'the desire of the comfortable and satisfactory playing' was influenced by the causal condition which means 'the unavoidable uneasiness on the stage', the situational condition which means 'the understanding of playing ability'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which means th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The participants used strategies through the process including 'the adjustment of the system of thoughts' and 'the adjust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mselves'. It is called 'understanding and admission of anxiety'. The process has 4 time-series steps. First, the recognition of anxiety. Second, the search of causes. Third, the re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with music. Fourth, the admission of the anxiety. There are 3 types of 'understanding and admission of anxiety'. First, Positive-leading types. Second, Passive-searching types. Third, Negative-acceptance types. These results reveal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f participants' musical performance anxiety and propose the proper way of music therapy program. Also, it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ctual music therapy program. Finally, the study includes meanings, limitations, and further suggestions of music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음악전공생의 심리 · 사회적 특성 = 6 B. 완벽주의 = 8 C. 무대불안 = 12 D. 즉흥연주의 개념과 치료적 의미 = 17 1. 즉흥연주의 개념 = 17 2. 즉흥연주의 치료적 의미 = 18 3. 완벽주의와 무대불안을 위한 즉흥연주 = 20 Ⅲ. 연구 1 = 22 A. 연구목적 = 22 B. 연구방법 = 22 1. 연구대상자 = 22 2. 측정도구 = 24 3. 연구 설계 및 절차 = 26 4. 즉흥연주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 28 C. 연구결과 = 32 D. 논의 = 35 Ⅳ. 연구 2 = 38 A. 연구목적 = 38 B. 연구방법 = 38 1. 근거이론 = 38 2. 연구대상자 및 윤리적 고려 = 40 3. 도구 = 41 4. 연구자 = 42 C. 연구결과 = 44 D. 논의 = 90 Ⅴ. 통합논의 = 95 A. 결론 및 논의 = 95 B. 제언 = 98 참고문헌 = 100 부록 = 110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8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전공생의 완벽주의적 사고 및 무대불안 감소를 위한 즉흥연주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improvisation for decreasing of perfectionistic thoughts and musical performance anxiety in music college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ung, In-ji-
dc.format.pageⅹ,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