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박경희-
dc.creator박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1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out the effect of therapeutic singing on the improvement articulation of children with these disorders, and to validate the efficacy of positive affect on language programs with music environments by the tendency between participation attitudes and pronunciation improvements. For the therapeutic singing programs, five children around 8 years were chosen who were enrolled speech therapy at the S community center in Daejeon. Target consonants were decided by U-TAP Test and Picture -vocabulary Test and therapeutic singing program session were provided for 9 weeks, twice a week, for 40 minutes individually. The result of the study was investigated in two ways. First, it was intended to measure by Wilcoxon statistical analysis that any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pronunciation improvement in before and after of the intervention of therapeutic singing programs . Secondly, it was checked how these changes between participation attitudes and improvement of articulation had been showed during the sessions. The followings we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arget articulation of the children had been improved after the therapeutic singing programs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p<.05). Secondly, individual percentage of consonant error appearance had been decreased significantly(p<.05). Thirdly, accuracy of consonants and participation attitudes were improved during sessions and there was a similar upward tendency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ll the results described above showed that therapeutic singing programs could bring efficient therapeutic effects on improvement of articulation of disabled children with these disorders. Also therapeutic music environment developed changes of participation attitude and had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pronuncia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new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could be proposed in the repeated long therapeutic approach by the agency of music.;조음장애 아동은 부정확한 발음으로 인해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장애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의사소통의 결함은 사회적 기술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Windsor, 1995). 그러므로 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상호관계 형성을 위해 언어 발음 향상은 가장 필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Owens, 1995). 따라서 언어장애를 동반한 아동들은 전문가에 의한 조기진단 및 치료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적절한 조기치료는 아동의 신체적, 지능적, 사회적 기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김영태, 2002). 이 과정에서의 음악의 사용은 음악이 언어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규칙에 의해 통제되고 구성되는 소리의 조직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 때문에 치료적 접근의 용이성을 가진다(Bright, 1963). 그리고 무엇보다도 모든 아동은 음악에 선천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Nordoff & Robbins, 1985), 장애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아동에게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요구되는 반응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중재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가창기법을 이용한 조음치료가 조음장애 아동들의 발음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치료적 환경 내에서의 참여태도와 발음향상과의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노래를 이용한 음악적 접근이 언어발달 프로그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치료적 가창 프로그램 실시를 위해서 대전 시내 소재한 S 복지관에서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8세 전후의 아동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림어휘력 검사와 우리말 조음. 음운 검사를 사전에 실시하여 목표음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치료적 가창 프로그램을 9주 동안 1주일에 2번씩 40분의 개별세션으로 총 18회기를 실시한 후 사전, 사후 검사간 자음정확도를 비모수 통계인 Wilcoxon 검정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세션이 진행되는 동안의 정조음의 수와 참여태도 점수 변화를 측정하여 두 변수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각 아동별 설정한 목표음소를 적용한 치료적 가창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들의 자음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둘째, 아동별 최다오류 음운출현율 역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셋째, 세션 진행회기별로 관찰된 정조음수와 참여태도 점수에서는 세션 초반부에 증가폭이 적게 나타났던 반면 중반부 이후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참여태도 점수의 증가와 정조음수의 증가가 함께 꾸준히 상승함으로써 치료적 가창 프로그램에의 참여태도가 아동의 발음 향상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조음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치료적 가창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자음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회기별 정조음수 관찰에서도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료적 음악 환경은 아동들의 참여태도에도 영향을 끼쳐 이는 곧 발음의 향상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향후 음악이라는 매개체를 통한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프로그램이 언어발달 장애 아동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이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정리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치료적 가창기법 = 6 1. 치료적 가창기법의 개념 및 특징 = 6 2. 가창의 치료적 기능 = 7 B. 음악과 언어와의 관계 = 9 1. 언어발달과 음악의 기능 = 9 2. 음악적 요소의 치료적 효과 = 10 C. 조음장애 아동 = 13 1. 조음장애 개념 = 13 2. 조음장애아동의 특징 및 원인 = 15 3. 조음장애아동의 증상 및 치료 = 16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측정도구 = 23 1. 그림어휘력 검사 = 23 2. 우리말 조음-음운검사 = 24 3. 음악활동 내의 정조음 검사 = 25 4. 음악활동 내의 참여태도 검사 = 25 C. 연구 설계 및 분석 = 27 1. 연구 설계 = 27 2. 연구 자료 분석 = 28 D. 치료적 가창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29 1. 프로그램 단계별 내용 = 30 2. 세션별 프로그램 내용 및 논거 = 32 Ⅳ. 결과 및 논의 = 38 A. 조음장애 아동의 우리말 조음. 음운검사 결과 = 38 1. 치료적 가창 프로그램 개입 전과 후의 영역별 변화 = 38 2. 통계검정 결과 = 39 3. 아동별 세션 회기에 따른 정조음 변화 = 41 B. 참여 태도 변화 분석 = 47 1. 치료 세션별 아도의 참여내도점수 분석 = 47 2. 음악구조 내에서의 영역별 참여태도 변화 분석 = 54 C. 논의 = 56 Ⅴ. 결론 및 제언 = 58 A. 결론 = 58 B. 제언 = 60 참고문헌 = 61 부록 = 67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293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치료적 가창기법(therapeutic singing)을 통한 조음장애아동의 발음향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pronunciation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through therapeutic singing-
dc.creator.othernamePark, kyung hee-
dc.format.pageⅵ,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