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은빛-
dc.creator황은빛-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19-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색채의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는 아동들은 언제 어디에서나 수없이 많은 색들을 접하고 있다. 시각문화시대인 오늘날 색채는 정보체계이자,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고 있기에 색채는 교육을 통해 학습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초등학교 현장은 아동의 직접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한 색채교육보다는, 개념 위주의 설명 방식으로 가르쳐 온 것이 색에 대한 교육의 대부분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병의(1999)의 색채 사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색채를 지식적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다. 교사들의 색채 지도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 교육 현장에서 미술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의 색채 치도에 대한 이해 부족과 교육과정에서의 색채 지도에 대한 내용 결핍으로 인해 색채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말한다(황인숙, 2001; 한병의, 1999). 그로인해 아동들의 다채로운 색채표현을 나타내는 개성적인 작품을 만나기 힘든 실정이다. 혼색은 제7차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중학년이 성취해야 할 주요 과제 중의 하나이다(교육부, 2002). 초등학교 색채인식 발달은 로웬펠드(Lowenfeld, V.)에 따르면 7세에서 9세까지 초등학교 저학년인 도식기의 아동들은 같은 대상에 같은 색을 반복해서 칠한다고 했다(Lowenfeld, V., & Brittain, W. L., 1993). 9세에서 11세까지 초등학교 중학년인 또래집단기의 아동들은 도식적인 색채와 대상과의 관계로부터 벗어나, 특징 있는 색채로 표현하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했다(Lowenfeld, V., & Brittain, W. L., 1993). 저학년에 형성된 색채 도식에서 벗어나 특징 있는 색채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중학년 때 의미 있는 혼색체험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교 중학년은 본 것을 사실대로 그리려고 하는 시기이다. 풍경이나 사물의 재현에서 명도와 채도는 중요한 요소이다. 현 교육과정에서 색의 삼속성을 따로 분리해서 학습하고 있는데, 이는 어느 정도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색상 자체가 명도와 채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의 삼속성은 자연스럽게 중학년에서부터 학습되어 색의 삼속성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기초가 마련되어야 한다(황향숙, 2003). 현행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은 미술의 이해 중심으로 표현과 감상을 통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DBAE(Discpline-Based Art education) 이론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DBAE 이론은 미술에 대한 이해와 미적체험을 강조하며, 미술이해를 기반으로 한 표현, 이해, 감상의 통합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미술작품, 문화와 상호작용하여 미술의 본질을 이해하는 교양인을 육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때 미술의 본질은 반복학습을 의미하는 계속성과 심화학습을 의미하는 계열성을 지닌 나선형 계급 지식 구조에 배경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중학년 색채이해교육은 혼색체험을 통해서 색의 삼속성, 혼색에 관한 개념을 교사가 지도한 후, 배운 개념을 학습자 스스로 적용해보는 혼색체험 활동, 이해한 개념을 학습자가 재창조하는 표현 활동, 그리고 감상활동으로 구성한다. 이때, 학습자가 스스로 적용해보는 활동은 앞서 언급한 로웬펠드의 또래집단기 특성에 맞게 의미 있는 혼색체험을 통한 학습을 계획한다. 혼색체험방법은 염액을 이용한 혼색체험방법을 채택한다. 이 방법은 정량적인 염액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혼색체험 지도에서 목표하는 바, 학습자가 색의 일정한 변화에 대한 이해학습에 적합하다고 보이며, 혼합하는 과정에서 염액의 양에 따른 색의 변화의 과정을 즉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학년에게 염액을 활용하여 혼색체험활동을 통한 색채이해학습 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용산구 소재 K초등학교 3학년 28명에게 4차시 동안 적용한다. 평가도구로써 형성평가지는 우수연(2006)이 개발한 혼색 이해 검사도구 10문항의 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작품 결과물은 이미자(1988)의 그리기 표현 검사도구, 우수연(2006)의 혼색 표현 검사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업 결과로 학업 성취, 작품 평가를 종합한 평가를 통해 결론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차시 학업성취 결과를 통해 100%의 학생들이 삼원색과 2차색(주황색)을 이해했다. 92.9%의 학생들이 2차색(보라색), 2차색(녹색), 3차색을 이해했다. 67.9%의 학생들이 명도 개념을 이해했고, 42.9%의 학생들이 채도 문항 중 고채도색 혼합시 팔레트를 섞는 유의사항에 대해 이해했고, 약 60%의 학생들이 채도 개념을 이해했다. 3차시 표현활동 결과를 통해 2차시까지 이해하지 못한 나머지 7.1%의 학생들이 2차색(녹색), 2차색(보라색), 3차색을 이해했고, 32.1%의 학생들이 명도 개념을 이해했고, 40%의 학생들이 채도 개념을 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색채이해학습 지도안에 따른 수업을 통해 100%의 학생들이 삼원색, 2차색, 명도, 채도 개념을 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의 학생들이 각자의 주제에 어울리는 색상으로 표현했으며, 삼원색을 혼합하여 명도와 채도 단계표현이 향상되었다. 결과물을 종합적으로 볼 때,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 수업에서 염액을 활용하여 혼색체험활동을 통한 색채이해학습지도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과정 및 결과에 비추어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선 본 연구에서는 혼색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염액의 혼합 체험을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학습자는 색이 변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고, 색상·명도·채도를 이해하였다. 본 연구 방법 외에 혼합된 염액에 종이를 담궈 착색된 모습을 관찰하는 방법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혼색체험의 하나의 방법으로써,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혼색체험을 통한 미술 이해 교육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확장시키고, 장기적인 프로젝트 수업으로서, 혼색을 활용하는 범위를 유채색으로 확장시켜 사전-사후 작품 비교를 통한 혼색 사용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se days, children get free access to a number of colors everywhere at any time. As the color is a means of human being’s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information system, it should be learned through educa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actual field of elementary school was focused on the education on the colors itself by the concept based explanation rather than by the children’s direct experience based education on colors until so far. For this reason, it is a reality that it is very hard to encounter the very unique work of children. The color mixing is one of the significant tasks to be attained in the 7th Art’s Curriculum by the 3rd ~4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Lowenfeld, as for color recognition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ren of 7~9 ages in the Schematic Stage continue to paint the same color for the same figure. Children of 9~11 ages in the Gang Age start to express the figures with a characterful color. Departed from the color scheme formed in the Schematic Stage, the 3rd~4th grade students in the Gang Age need the meaningful color mixing experience to express the characterful colors. In addition, the 3rd~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the time of actual painting of what they have seen. When it comes to the re-creation of figures, value and saturation are the important factors. Under the present Curriculum, children are learning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separately and it is a problem to the some extent since the color itself contains the value and saturation. Therefore,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should be learned from the 3rd ~4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naturally so that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mutual relation of three attributes of color need to be established firmly. The current 7th Art’s Curriculum is composed of the structure integrating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rt and this was originated from DBAE(Discpline-Based Art education) theory. DBAE theory interacts with art culture and is aimed at fostering a man of culture who understands the essence of art. The essence of art is based on the continuity that means the repeated learning and sequence that means the in-depth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of the color mixing experience which the learner applies what they have learned by himself/herself, the expression activities which the learner re-creates and the appreciation activities after a teacher teaches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and concept of color mixing through the color mixing experience for its comprehension for the 3rd~4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t this time, the activities the learner applies by himself/herself are planned in due course through the meaningful color mix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ng Age of Lowenfeld. The color mixing experience adopts the method of using dyestuff. As this method enables the students to adjust the quantity of dyestuff, it will be suitable for the learner to have the comprehension learning on the specific change of color and it brings us the advantage of the immediate observation of the change of colors depending on dyestuff in the course of color mixing.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scheme of color comprehension learning through the color mixing experience with the use of dyestuff for the 3rd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applied into 28 students of the 3rd grade in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ongsan-gu, Seoul for 4 times of teaching. As the evaluation tool, I modified the questionnaire and test tool to me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used them by referring to 10 inquiries of the color mixing comprehension Woo Su-yeon developed as an estimation, painting expression test tool Lee Mi-ja developed(in 1988) as the art work outcome and color mixing expression test tool Woo Su-yeon developed. As a result of teaching, I drew the conclusion through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cademic accomplishments and art work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s summarized below. In the 2nd times of learning, it was investigated that 100% students understood the three primary colors and secondary color (orange color) as a result of academic accomplishment. 92.9% students understood the secondary colors (purple, green) and tertiary colors. 67% of students understood the concept of value, 42.9% of students understood the matters to be attended to of blending on a palette in the mixing of high saturation colors in the inquires of saturation and 60% of students understood the concept of saturation. In the 3rd times of learning, it was investigated that through expression activities, other 7% students who had not understood till the 2nd times of learning became to understand the secondary colors (green and purple) and tertiary colors, 32.1% of students understood the concept of value and 40% students understood the concept of saturation. That 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rough the learn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scheme of color comprehension learning, 100% students understood the three primary colors, secondary colors, the concept of value and saturation. In addition, 100% students expressed each theme with a becoming color and expression per stage of value and saturation by mixing the three primary colors was improved. In conclusion, the direction scheme of color comprehension learning through color mixing experience with the use of dyestuff can be proposed as one of the effective learning tools in the fine-art class for the 3rd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초등학교 미술 이해 교육 = 6 B. 색채교육에서 혼색체험 = 25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대상 및 절차 = 30 B. 연구도구 = 30 Ⅳ. 결과 및 논의 = 50 A. 학업성취도 = 50 B. 작품결과물 평가 = 51 C. 개인별 종합 분석 = 52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66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618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3학년 혼색체험활동을 통한 색채이해학습 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rection Scheme of Color Comprehension Learning through Color Mixing Experience by the 3rd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Hwang, Eun Bit-
dc.format.pagevi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