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중학교 자수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Title
중학교 자수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Authors
유현주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rom old times, embroidery has been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keeping an aesthetic consciousness as woman's characteristic aesthetic feeling in her heart. The motive of its origination as an indispensable function of life for the practical purpose and the expression of an instinctive desire pursuing beauty has been mainly developed for daily necessities or clothes and equipments. So woman's recognition which must be trained in embroidery as an indispensable handicrafts for their daily lives has been developed traditionally. And this succession on embroidery is making it be educated and guided in the category of the department of domestic science localizing it as a functional education more necessary for household affairs than for art education. But for all embroidery has been taken it's new place as the formative arts, it has been said that embroidery education for a middle school course, a fundamental courses of it, is not creative and emotional. Today's tendencies making a life scientific and pointing to educate emotional elements, I would like say that our missions for a creative education are greater than any other times. Therefore, from trying to improve these problems by analyzing and studying the situa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art of embroidery being put in force at girl's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rises this research.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literature on embroidery, to synthesize and analyze the problems shown in the precedented researches, and to try a questionnaire drawn up on the base of it to the pupils and teachers chosen as the research subject, which are selected by the sample study through structured question. They are limited the second grade 1086pupils, 41 embroidery teachers of 17 middle schools scattered on the outskirts and the center in Seoul at my option. The teacher's method and guiding of principle, and the pupils' interest, ability, and concern; from analyzing reactions about them is studied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obtained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 between embroidery as handicrafts dealing with technical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domestic science and as crafts dealing with the formative education in the fine art, also between the limits of guidance and responsibilities. 2) The generalization of curriculum for teachers in charge. 3) The blockade of opportunities to be able to guide embroidery subject of one who is a graduate from the art of embroidery in fine art college. 4) The preparation of reasonable curriculum keeping abreast with new times. Therefore, this research to readjust above mentioned and to improve them focuses its attention on the following: 1) The clear classification between handicrafts in the department of domestic science and the art of embroidery in curriculum. 2) The reform of an educational system to make teachers who major in the art of embroidery guide pupils. It will be a great pleasure if this research makes the slightest contribution to improve and develop the embroidery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자수는 예부터 여성특유의 미적감각으로 그들의 생활 속에서 우러나오는 고유한 미의식을 간직하면서 여인들의 손 끝에서 손 끝으로 전승되어 왔다. 그 발생동기는 용적인 목적을 갖는 생활의 필수적 기능과 미를 추구하는 본능적 욕구의 표현으로서 주로 일용품이나 복식등에 이용되어 왔다. 고로 자수를 여성이 습득해야하는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수예로써의 기능이라는 인식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와 이러한 전통인식은 자수가 미술과목으로 보다는 가사에 필요한 기능교육으로 국한하여 가정과 범주내에서 교육지도 되고 있다. 그러나 자수가 조형미술로써의 새로운 자기위치를 정립하여 가고 있는 이 때 자수의 교육적 기초가 되는 중학교 자수교육이 창조적이고 정서적인 교육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생활의 과학화와 정소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요즈음 그 어느 때보다도 창조교육의 사명은 크다고 보아서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내 여자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수과목의 요육현황과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의 개선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에 제시된 자수교육의 문제점을 조사하여 결합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연구대상인 중학교 2학년 학생과 지도교사에게 구조화질문으로 표본조사를 하였다. 표본추출은 서울 시내 중학교가 평준화된 것으로 보고 중심부와 변두리에서 무작위로 추출하여 조사하고 표본의 크기는 17개교 학생 1086명과 자수담당교사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과과정과 교안 그리고 질문지응답에 나타난 담당교사들의 지도내용과 방법 및 학생들의 흥미 능력 관심 등의 반응을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이 같은 연구방법에 의한 본 논문 결론을 요약하면, 1) 가정과에서 기술교육으로 다루는 수예로써의 자수와 미술과에서 조형교육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공예로써의 자수가 구분이 안 되어 지도범위와 책임한계에 문제점이 있으며 2) 가정과에서 취급되는 수예도 담당교사들의 정공에 따라 지도내용과 방법 그리고 진도에 차이가 있어 획일성이 요구되는 교육평준화시책에 위배되고 있으며 3) 자수를 전공한 미술대학 자수과 출신 교사가 자수과목을 지도할 수 있는 길이 폐쇄되어 있고 4) 학생들이 자수교육내용에 지루한 감을 느끼고 있어 새로운 시대감각에 알맞은 합리적인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고로 이를 시정하고 정상적으로 육성 발전시키기 위하여 1) 교과과정에 있어 가정과의 수예와 미술과로써의 자수로 과목을 분명하게 구분하고 2)자수를 전공한 교사가 자수교육을 담당하여 지도하도록 하는 교과과정상의 조속한 시정의 모색이 요청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가 중학교 자수교육을 개선하고 육성 발전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