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인-
dc.creator박정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9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995-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다양성의 시대??로 보다 폭넓고 다양한 과학교육 목표를 요구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현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과학ㆍ기술에 대한 지식과 기능의 소양을 가진 사회인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이에 교육부(1997)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교육의 목표로??과학 지식 습득, 탐구 능력 습득, 과학적 태도 함양, STS 관계 이해??를 제시하고 있으며,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으로서 과학적 소양의 신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평준화된 공교육체제 하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다양한 인지적 능력과 관심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 지지 못하기 때문에 학교교육이 아닌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사교육을 받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사회 전반적인 큰 흐름의 사교육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진도보다 앞서 배우는'선행학습'의 형태로 확산되고 있어 이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확산되고 있는 선행학습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선행학습의 실태와 이에 대한 인식조사 및 학습자의 학업성취 능력에 따른 선행학습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C중학교 1학년 학급 중 3개 학급 학생 99명을 대상으로 선행학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학기 중간고사 과학평균을 기준으로 학업성취 능력을 상ㆍ중ㆍ하로 구분 지었다. 중학교 1학년 과학 ‘파동’에 관해 문항지를 제작하여 선행학습 전과 후에 학습자의 학업성취 능력에 따른 선행학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선행학습 실태 조사에 따르면, 선행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선행학습은 학원을 통해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과학 선행학습은 부모님이 원해서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과학 선행학습을 하지 않는 이유에서는 학교 수업만으로 충분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여건이 된다면 선행학습을 받을지 여부에서는 학업성취 능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p<.01). 선행학습은 대부분이 학교 진도보다 1~2단원 빠르게 진행되며, 실험 선행학습에 대한 경험은 대다수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선행학습 인식 조사에 따르면, 선행학습을 통한 내용 이해도 면에서는 다수의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선행학습 시 문제 해결 방법은 학교학습시간에 알면 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학업성취 능력이 높을수록 선행학습 후 성적향상(p<.01), 과학 선행학습과 타 과목 선행학습 효과 비교(p<.01), 선행학습의 긍정적인 영향(p<.05)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 선행학습과 실험 선행학습은 성별과 학업성취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선행학습 후 성적이 향상된 이유는 같은 내용의 반복 이라는 의견이 가장 높았지만 성적이 하향된 이유는 뚜렷하지 않았다. 그리고 선행학습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선생님의 실력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선행학습의 부정적인 영향은 성별과 학업성취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자의 학업 성취능력에 따른 선행학습 효과에서는, 학업성취 능력이 상위권인 학생들이 선행학습 후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았으며(p.<001), 선행학습 전 보다 선행학습 후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왔고(p<.001)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학업성취 능력과 선행학습 전ㆍ후에 대한 상호작용에서는 선행학습 후 모든 그룹의 학생들이 학업성취도가 선행학습 전보다 높게 나왔고, 또한 학업성취 능력이 상위권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았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선행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선행학습의 효과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업성취 능력이 상위권인 학생들에게는 선행학습이 도움이 되지만 오히려 하위권인 학생들에게는 선행학습의 부정적인 영향도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누락되었지만 선행학습이 학교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즉, 가치, 학습의향, 흥미도 등에 대해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교육 현장에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선행학습을 포함한 학생요인 뿐만 아니라, 교사요인, 학교요인으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요인들을 조작을 통해 학습자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This article is on prerequisite learning which has been frequently spread nowadays. It also covers the practice and recognition of prerequisite learning and its effects by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A questionnaire on prerequisite learning was conducted to 99 first graders of three different classes at C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Suwon-si of Gyeonggi-do, and they were divided into high, average, and low levels based on their average scores in science in the second-semester midterm.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on ‘wave’ in the science for seventh grader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requisite learning before and after it is done by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prerequisite learning, there are more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 of prerequisite learning than the students who do not have one. It was also investigated that most students are taught the advanced materials through the academies.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y studied the science subject in advance because their parents wanted them to, and for some students who do not study the science subject in advance, they mostly replied that it was because they felt secured enough with what they learn in the school. According to whether these students will take an prerequisite learning if they have a chance,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response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p < 0.1). Most of the prerequisite learning outpaces the regular course by one or two chapters, and there were little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prerequisite learning in the area of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about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prerequisite learning, i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the contents, most students appeared to understand the materials they learn in the prerequisite learning overall, and concerning the ways to handle problems they face during the prerequisite learning, many students replied that they can resolve them by just learning again in the regular course of their school. Regarding the improvement in the students’ advancemen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grades after the prerequisite learning (p < 0.1), the comparison of effects for the prerequisite learning in the science subject and other subjects (p < 0.1), an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erequisite learning (p <0.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and in the achievement for the general prerequisite learning and the experiment prerequisite learning. Regarding the reasons for the improvement in the grades after the prerequisite learning,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it is because they repeated the learning of the same materials, but there was no clear reason as to why some students’ grades became worse. In addition,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hey consider in the prerequisite learning was the ability of the instructo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der and the achievement for the negative effects of the prerequisite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prerequisite learning in the science subject should influence somewhat positively learners’ achievement, but it should not affect differently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requisite learning on learner’s attitudes in class which this study did not deal with; the necessity of prerequisite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after prerequisite learning. The factors that affect learners’ achievement at school can be divided into a student variable including prerequisite learning, teacher variable, and school variable. These factors should be manipulated further so as to find means to narrow the gap between students’ achievement and to improve their learning to a positive direction in the science subj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D. 용어의 정의 = 3 1. 선행학습(Prerequisite Learning) = 3 2. 과외학습(Extracurricular Learning) = 4 3. 학업성취도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사교육 = 5 1. 사교육의 개념 = 5 2. 사교육의 성격 = 6 3. 사교육의 유형 = 9 4. 사교육의 문제점 = 9 5. 선행연구 고찰 = 10 B. 학업성취도 = 11 1. 학업성취도 정의 = 11 2.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12 3. 선행연구 고찰 = 1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6 A. 연구 대상 및 연구 절차 = 16 B. 자료분석 = 1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9 A. 선행학습 실태에 대한 연구 결과 = 19 B. 선행학습 인식에 대한 연구 결과 = 26 C. 학습자의 학업성취 능력에 따른 선행학습 효과 연구 결과 = 36 Ⅴ. 결론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5 부록 = 50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23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 선행학습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및 학습자의 학업성취능력에 따른 선행학습 효과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Practice and Recognition of Prerequisite Learning in the Science Subject and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rerequisite Learning by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dc.creator.othernamePark, Jung In-
dc.format.pageix,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