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UCC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표현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UCC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표현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that Self-expression using UCC Storytelling have on Formation of Ego-identity : With Focus on Senior High School 2nd Grade Students
Authors
노주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UCC스토리텔링을 통해 자기표현을 하는 것이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나는 누구인가’식의 자아에 대한 궁금증이 증대되는 시기이며, 자아정체감 형성이 중요한 시기이다.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면 성인이 되어서도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은 꼭 필요하다. 미술은 개성의 함양, 감정의 표출, 성장과정 반영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써 청소년들이 작품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교과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미술 표현에 있어 자신의 생각이 반영되고, 직접적으로 자신이 표현되기도 한다. 특히 ‘자화상’이라는 표현영역은 그리는 이의 내면을 외모와 함께 표현하는 그림으로, 직접적인 자기 표현 작품이다. 실제로 많은 학교 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수업 중 하나이지만 반면에 학생들이 힘들어 하는 수업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청소년기는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미술 표현에 대한 자신감을 잃어가는 시기이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표현력으로 자신을 닮게 그리는 것이 부담스럽기 때문에 그림에 내면을 반영시키기는 커녕 미술에 대한 흥미까지 잃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흥미가 있더라도 일반 학생들이 정지된 한 화면에 내면의 많은 것을 담아내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동영상의 형태로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을 제작한다면 자아정체감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했다. 또한 동영상이 만들어지고 보여지는 가상공간은 ‘나’라는 존재를 마음껏 복제하고 변형함으로써 실제 사회에서는 어려운 다양한 역할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이므로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했던 소망을 이루어 볼 수도 있고, 억제된 욕구를 표출할 수도 있는 공간이다. 또한 자아정체감은 미르와 쿨리의 상호작용론에서와 같이 개인적으로가 아닌 타인과의 교류에서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UCC가 가지는 상호작용 효과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큰 기여를 한다고 보아 동영상을 UCC로 제작하여 웹상에서 언제든지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80명으로 설정, 그중 40명은 통제집단으로 일반적인 회화형식의 ‘자화상’을 표현하게 하였고, 나머지 40명은 실험집단으로 본 연구자가 제안하는 UCC동영상제작 프로그램에 따라 자기표현을 하도록 하여 일반 자화상을 표현할 때와 UCC동영상으로 자화상을 표현할 때 자아정체감 향상 정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향상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에게 박아청이 1998년 개발한 자아정체감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CC 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표현을 한 실험집단의 처치 전 후 자아정체감 측정을 해본 결과, 하위영역인 주체성, 자기 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 지향성, 친밀성 6개 영역이 모두 향상되었음을 보여 본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적인 자화상을 그린 통제집단과 UCC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표현을 한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향상도를 비교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프로그램이 일반 자화상을 그릴 때보다 자아정체감이 더 향상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와 같이 UCC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표현이 고등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학교의 소수 여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므로 이 결과를 모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화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제한적이나마 본 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므로, 좀 더 수정, 보완을 거쳐 더욱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시켜 본다면 확실한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expressing oneself through UCC storytelling have on formation of ego-identify of teenagers. The research targeted 2nd grad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teenage years is a period in which there is increasing curiosity about the self, and it is an important period for formation of ego-identify. If ego-identify is not formed appropriately in the teenage years, they might not be able to carry out their roles properly when they become adults. Therefore, lessons for helping the formation of ego-identify in teenagers is crucial. Art is a non-language communication medium that fosters individuality, expresses emotions, and reflects the growth process. As such, it is suitable for teenagers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artistic works. In actuality, for most of artistic expressions, thoughts of the self are reflected, and sometimes the self is expressed directly. In particular, 'self-portrait' is a drawing that expresses the inner self along with outward appearance, and many schools are using it in their classes. However, the teenage years is a period where most of students are losing their confidence on artistic expressions, while interests on outward appearance are increasing. Therefor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draw a self-portrait using artistic skills that they believe they lack, rather than reflecting their inner selves, they might even lose interest in art. Furthermore, it is not easy for typical students to reflect their inner selves on a static piece of paper.Therefore, this research supposed that if a work that has a story of the self in form of a movie is produced by students, then it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formation of ego-identity. Furthermore, the virtual space of a movie is a place where the self is copied and changed to heart's content, and many different roles that can't be experienced in reality can be experienced. There, wishes that were not possible to in reality can be realized, and suppressed desires can be expressed. Also, Mead and Coole's interactionism states that ego-identify is formed more actively in interactions with others, rather than self examination. It was seen that interactionism effects that UCC have will contribute greatly to formation of ego-identity. Therefore, a movie was produced using UCC, and made possible interactionism effects amongst pupils on the web at any time. Following the objectives stat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the follow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80 humanities students of a female senior high school in Seoul, of which 40 were put into a control group and instructed to draw the conventional 'self-portrait', and the remaining 40 were instructed to express themselves according to UCC movie-production program proposed by this research. After the subjects completed their task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in terms of degree of contribution to formation of ego-identity. To this end, ego-identity measurement device, developed by Bak-ah Chung in 1998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measured data were subjected to t-test using SPSS ver 13.0 program. The summary of results of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for the group that expressed themselves using UCC storytelling, the 6 lower domains -- subjectivity, self acceptance, future conviction, goal orientation, intimacy -- were all improved, showing the positive effects that the program has on formation of ego-identity. Second, when amount of improv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control group that drew traditional self-portraits and comparative group that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UCC storytell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howing that the program proposed has greater positive effects than the conventional self-portrait method. As the above results show, it was seen that self-expression through UCC storytelling for senior high school students has positive effects on formation of ego-identity. However, sinc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only a small number of femal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ere are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make it applicable for every senior high school student. Sinc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posed program were validated, although limited in research scope, we expect that if another research is done using a greater number of students and with some revisions,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ll be verified with greater convi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