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현정-
dc.creator전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95-
dc.description.abstract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문법학습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문법학습의 대부분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authentic) 자료가 이용되기 보다는 교사의 문법적 지식과 명시적 설명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문법학습을 지루하고 어려운 영역으로 여기게 되고 의사소통 기능에 통합되어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따로 분리하여 독자적 영역으로 학습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현 교육과정에서는 언어 학습 상황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과 유사하게 만든 가운데 실제적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 주도적인 언어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코퍼스는 학습자들에게 실제적 자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컨코던스(concordance) 프로그램만 사용할 수 있다면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가능성까지 제공한다는 점에서 문법 학습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활용이 문법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코퍼스를 활용할 때 명시적 문법 교수(이하 명시교수)와 암시적 문법 교수(이하 암시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문법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코퍼스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문법학습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명시교수 방법이란 교사의 문법 설명 후 코퍼스 자료를 통해 문법규칙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암시교수 방법은 문법 설명 없이 코퍼스 자료를 먼저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 제시된 자료로부터 공통된 규칙을 발견하는 교수방법으로 의식 상승 활동(consciousness-raising task)을 통한 규칙의 발견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인천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주간에 걸쳐 두 실험 집단에게 코퍼스를 명시교수 방법과 암시교수 방법으로 처치하여 단기간과 장기간에 걸쳐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두 실험집단에게 사전평가, 단기평가 및 자기 주도적 평가와 마지막으로 장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 및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문법 지식수준이 단기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두 변인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암시교수 집단의 이해능력 단기평가 점수가 명시교수 집단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단기적으로 문법 이해능력 향상에는 암시교수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 모두에서 암시교수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현능력에서는 단기평가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교수방법 모두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퍼스 활용 문법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문법지식 수준이 장기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한 결과 단기평가 결과와 마찬가지로 두 변인에 의한 상호작용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해능력에서는 단기평가 결과와 마찬가지로 학습자 수준에 상관없이 암시교수 방법이 문법학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능력에서는 상위집단 사이에는 두 교수방법에 의한 유의미한 차이를 찾아 볼 수 없었으나 하위집단에서는 암시교수 방법으로 문법을 학습할 때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단기 이해능력 평가 결과와 이해능력 장기평가 결과의 변화 양상을 확인한 결과 암시교수 집단의 평균점수가 명시교수 집단 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하락의 정도가 작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표현능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하락의 폭이 컸으며 두 집단의 장기 표현능력 평가 점수도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문법지식 수준이 자기 주도적 문법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5주간에 걸친 코퍼스 활용 문법 처치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설정하고 코퍼스 자료 제시 방법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확인할 결과 사전평가에 비해 단기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처치를 하지 않은 문법항목과 관련된 코퍼스 자료를 교사의 설명 없이 학습자들에게 제시하였을 때 자기 주도적 단기평가 점수에 향상이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코퍼스 자료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문법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집단 간 자기 주도적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에서 단기평가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집단 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해능력 평가에서 하위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는 p값이 .54로 유의수준과 비슷한 값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법학습은 교사의 명시적 문법 설명보다는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진정성(authenticity)있는 자료를 제시하여 문법 규칙을 자기 주도적으로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교사가 문법 설명을 아무리 반복하여도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내재화 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평가 결과에 의하면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모두에서 사전평가에서 단기평가로의 평균점수 향상도가 유의미하게 나왔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수준별 수업 시 코퍼스 자료를 가공하여 학습자들에게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표현능력은 코퍼스를 이용하여 길러지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코퍼스 자료 외에 문법학습에 도움이 되는 입력 자료를 함께 제시하여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의 기회가 학습자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wo different corpus-based grammar teaching methods-explicit method and implicit method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English of grammar in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memory and the possi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of English grammar.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two experimental groups: one experimental group(explicit grammar learning group) was instructed with grammatical explanation before the corpus material, which was edited by a teacher and the other group(implicit grammar learning group) induces rules by observing the corpus materials without any grammatical explan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Incheon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5 weeks.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 lesson to observe any changes in the learners' grammar proficiency. In addition, one more post-test was given to learners to see if learners could discover the grammar rules for themselves with the corpus materials without any grammatical explanation. After 6 months, the second post-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elayed effects of any change in their long-term memor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nalyzed by T-test and Two-Way ANOVA and the test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grammar teaching methods and the learners' grammar proficiency in the short-term memory However, the use of a corpu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grammar comprehension in their short-term memory. Regardless of the students' level, the implicit grammar learning group obtained higher scores in the grammar comprehension test than the explicit grammar learning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grammar production test. The result indicated that corpus-based grammar teach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grammar comprehension when learners themselves find the rules from corpus without grammatical explanation. However, the production test resul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of the corpus-based grammar teaching methods. Second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orpus-based grammar teaching methods and the learners' grammar proficiency in their long-term memory but the use of corpu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comprehension ability in the long-term memory irrespective of the learners' grammar proficiency. There is one noticeable result related to the learners' grammar production. Low-level learners in the implicit learning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ose in the explicit learning group. Based on this result, it is concluded that it is effective to use corpus materials to induce rules without any explanation. The graph used to present the changes of the learners' average scores in comprehension in the pre-, post- and second post-test indicated the scores of the implicit grammar learning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xplicit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s of the production test in each experimental group. Lastly, both group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which was used to evaluate learners' grammar proficiency about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The test results indicates the post-test scores in both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It means that learners were able to induce rules from the edited corpus without any treatment.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in the post-test results. It implies that both corpus-based grammar teaching methods in this research did not show a different effect on improving grammar proficienc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However, the post comprehension test about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that corpus-based implicit grammar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plicit grammar learning.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ons. It is helpful to induce rules from authentic materials like corpus rather than through explicit explanation about grammatical rules by teachers because discovery learning and implicit instruction helps learners to internalize grammar by finding the rules in the context. In addition, in regard of the fact that corpus-based grammar learning is more beneficial to low-level students, corpus can be a profitable material to use in differential learning. Lastly, from the research, corpus itself does not solely help to develope production ability, so that more useful and authentic materials to supplement corpus are necessary to increase production 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3 A. 외국어 학습에서의 문법교수 = 3 1. 문법교수의 중요성 = 3 2. 문법교수 유형 = 4 B. 코퍼스 = 6 1. 코퍼스 정의 = 6 2. 용어색인 = 8 C. 코퍼스와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 = 11 D. 코퍼스 기반 영어 학습 선행 연구 = 14 1. 코퍼스 관련 영어 학습 = 15 2. 코퍼스 관련 문법학습 = 18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 질문 = 20 B. 사전진단평가 = 21 C. 연구 대상 = 23 D. 실험 자료 = 24 1. 사전평가지, 단기 사후평가지, 장기 사후평가지 = 24 2. 문법수업자료 = 25 가. 코퍼스 자료 = 25 나. 명시교수 집단 문법 학습 자료 = 27 E. 실험 절차 = 28 1. 실험 이전 절차 = 28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활동 = 32 가. 차시별 수업 진행 절차 = 32 나. 실험설계 = 34 3. 실험 이후 절차 = 35 F. 연구의 제한점 = 35 Ⅳ. 실험연구 결과 및 논의 = 36 A. 문법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문법지식 수준이 문법학습에 단기적으로 미치는 영향 = 36 1. 문법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 38 2. 문법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40 B. 문법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문법지식 수준이 문법학습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 = 42 1. 문법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 44 2. 문법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47 C. 문법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문법지식 수준이 자기 주도적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 = 51 1. 문법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 53 2. 문법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56 Ⅴ.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3 부록 = 69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494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코퍼스 활용 문법교수 방법이 고등학생의 문법학습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us-based Teaching Methods o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Grammar and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dc.creator.othernameChun, Hyunjung-
dc.format.pagex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