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Title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n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Design Class
Authors
명지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s teenagers are living in a period of transition whereby they have to adjust to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Teenagers need to prepare for their future with the healthy mind that they have at the moment and self-awareness, which is continuously developing during the teenage years can have a big influence on a person's later life. The concept of self can't form by itself in an isolated space; rather it is formed through meaningful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herefore, good experiences of self-expression which are the found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will help them form a positive self imag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s in the areas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area, however, not in the field of art. Art class can be very effective because students can express themselves freely in various ways in an open class environment. Art-based self-expression programs should be performed in all schools so that all teenagers can have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n art-based self-expression program on teenagers' concept of 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self-expression program called 'Making an Advertisement about Myself'- on middle school students." The topic for this study were set as follows with this aim in mind. The test group that experienced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with the subject of 'making an advertisement about myself' will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increased self-esteem across6 subcategories including body, morality, personality, family, society and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only experienced general advertising classes. The study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ly, 70 teenagers attending the 3rd grade at B middle school, located in Gangseo-gu, Seoul were divided into an test group consisting of 34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36 students. Secondly, a design class called 'Making an Advertisement about Myself', which could be taken in the art department was applied to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made by Yang Wan-seok (1996) to develop 'The self-expression program 'Making an Advertisement about Myself'. Thirdly, for the tool to evaluate self image, we used the six categories (body, morality, personality, family, society and ability) described in Kim Jeong-won's thesis "The effect of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n the self-image and self-esteem of teenagers" (2007), which itself applied the 20 questions developed by Lee Hun-jin and Won Ho-taek in 1995 as its foundation with the additional two subcategories of family and ability developed by Lee Hun-jin in 1997. Fourthly, the self-image scale (Lee Hun-jin and Won Ho-taek, 1995) was used for the similarity test between the control and test groups. After the similarity test, general advertising design classes were provided to the first group (control group) and "The self-expression program 'Making an Advertisement about Myself' was provided to the second group (test group) 6 times, for 45 minutes each. The same self-image measurement was used agai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self-expression program 'Making an Advertisement about Myself'." Fifthly, SPSS version 14.0 was used to statistically process the data from the pre-program similarity test and the comparison of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of each group and paired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se the results. The main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est group subjected to "The self-expression program 'Making an Advertisement about Myself'" showed a more positive change in their self-awaren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was particularly noticeable that there was a higher impact in the subcategories of body, morality, personality and ability, which are directly related with 'self'. Therefore, it is showed that the art 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eenagers' self-awareness. However, there is some limitation to extrapolate these test results from 70 students to all teenagers. The art based self expression training in schools is necessary for teenagers' current and future health and so mor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on this subject.;현대사회의 청소년들은 급변하는 환경에의 적응과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는 신체적․정신적․정서적 변화를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이중적 과도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은 현재의 건강한 정신으로 미래를 준비해야 하며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자아개념은 한 인간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아개념은 고립된 공간에서 스스로 혼자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관계의 기본 바탕이 되는 올바른 자기표현의 경험들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형성을 돕는다. 현재 상담심리분야에서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술 분야에서는 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미술은 개방적인 분위기에서 수업이 이루어지며 자신을 다양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표현에 매우 효과적인 교과이다. 이러한 미술이 중심이 되는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학교중심으로 이루어져 모든 청소년이 자기표현의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중심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를 주제로 한 광고 만들기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르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자아를 주제로 한 광고 만들기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표현훈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일반적인 광고수업을 경험한 통제집단보다 6개의 하위영역인 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을 포함하는 자아개념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B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70명으로, 실험집단은 34명, 통제집단은 36명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학교 미술과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자아를 주제로 한 광고 만들기 디자인 표현활동 수업에 양완석(1996)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를 주제로 한 광고 만들기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자아개념 평가도구는 김정원(2007)의 논문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적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평가도구는 이훈진과 원호택(1995)이 개발한 20개 문항에 이훈진(1997)이 가정, 능력의 두 하위영역을 추가시킨 것으로 총 6개의 하위영역(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본 연구를 위한 수업은 2008년 4월 7일~28일 사이에 실시되었으며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동질성 검사는 자아개념 척도(이훈진․원호택, 1995)를 이용하여 이루어 졌다. 동질성 검사 이후, 1반(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광고디자인 수업을 실시하고, 2반(실험집단)에는 ‘자아를 주제로 한 광고 만들기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매회 당 45분씩 총 6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자아개념 척도 검사를 하였으며 사전․사후의 자아개념 향상도 차이를 통해 ‘자아를 주제로 한 광고 만들기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다섯째, 실험․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4.0을 사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자아를 주제로 한 광고 만들기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특히, 자아개념의 하위영역 중 자신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신체, 도덕, 성격, 능력 영역의 향상에는 더 많은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중심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70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청소년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학교에서의 미술과 중심 자기표현훈련은 청소년의 현재와 미래의 건강한 삶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과 중심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