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민재-
dc.creator구민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3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311-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시설노인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열악한 시설 환경과 부족한 사회적 지지로 인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성공적 노화와 직결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따라서 시설노인의 낮은 생활만족도는 전문적인 치료․여가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고자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Y원로관에서 주 2회, 45분 씩, 총 12회기의 그룹 노래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1단계는 치료사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 및 그룹 내 친밀감 형성, 2단계는 자기표현과 문제의 보편화 및 수용, 3단계는 새로운 긍정적 자아상 성립 및 즐거움 경험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그룹 노래심리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양적·질적 연구를 설계하였다. 양적 연구는 윤진(1982)의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를 최정아(1991)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질적 연구는 매 회기의 녹화자료를 분석하여 활동참여정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노래심리치료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대상자 5인 중 4인의 생활만족도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5인의 평균 생활만족도 점수도 증가하였다. 둘째, 그룹 노래심리치료에 참여하는 시설노인의 활동참여정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대상자들은 세션 초기에 수동적으로 음악 과제를 수행하고 물음에만 단답형으로 답한 반면 세션 중기와 후기에는 능동적으로 음악 활동에 참여하고 자발적으로 노래와 관련한 삶의 이야기를 하는 등 활동참여정도가 점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의 활동에 대한 소감에서도 전반적인 만족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음악은 고립되어 외롭게 생활하던 시설노인에게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도왔으며, 문제의 보편화와 수용을 경험하도록 유도하였다. 이는 노인의 인정받고 싶은 욕구, 자기표현과 성취감의 기회를 가지려는 욕구를 충족하여 활동참여정도를 높이게 되었고, 일상생활에 활력을 주어 현재와 과거 그리고 미래에 대해 희망적으로 재인식하도록 도왔으며, 궁극적으로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룹 노래심리치료는 앞으로 다양한 거주 형태의 노인들의 정서적 문제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re are diverse changes as Korean society is becoming demographically aging. Especially individualism and certain implementation of system have resulted the increase of number of institutionalized elder adults. Because of several weaknesses on their surrounding, that they are facing on, their life satisfaction is measured as remarkably low compared to other elder adults, and it follows the absolute need of attempts on elevating their life quality as well as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er designed and performed group song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12 sessions in 3 different stages for 5 institutionalized elder adults at Y Center in Chong-ro. The first stage of the program was organized to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 in-between the group members and with the therapist. The second stage was to express themselves and understand that they have the similar problem which was thought as their unique problem. The third stage was to pursue optimistic self-image and a sense of achievement. There were two separated scale tests on those 5 elder adults before and after the group song psychotherapy program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ir life satisfaction scale, and every single session has been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four over the five institutionalized elder adults have presented each of their life satisfaction scale as improved overall the program progressed as well as the average of those five e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scale has been improved compared to the previous test.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five elder adults reaction towards the group song psychotherapy, it has carried out that participation scale of the five elder adults on the program were getting more active as the session passed by compared to the passive reaction in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Besides, as a result of analysis of impression about the program, their satisfaction on participating to the program has been certainly improved. Music, in this study, has provided the chance for the institutionalized elder adults, who had been isolated in depression in quite a while, to recover themselves. The group song psycho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m to pursue positive self-image,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in their life. Furthermore these changes helped out the elder adults to refresh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o have satisfaction on their life. The positive results of the group song psychotherapy mean that the program could be one of practical treatments for the institutionalized elder adults and also could replace as a leisure activity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group song psychotherapy program will be able to ease emotional problem and to improve the life quality for institutionalized elder adul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시설노인 = 5 1. 우리나라의 노인시설 = 5 2. 시설노인의 특성 = 7 B. 노인의 생활만족도 = 10 1. 노인 생활만족도의 특성 및 요인 = 10 2. 시설노인 생활만족도의 특성 및 요인 = 13 3. 생활만족도와 음악치료 선행연구 = 15 C. 그룹 노래심리치료 = 17 1. 노래심리치료의 개념과 치료적 기능 = 17 2. 노래심리치료의 활용 = 19 3. 노래심리치료 선행연구 = 23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1. 대상자 CW = 27 2. 대상자 KS = 27 3. 대상자 JB = 28 4. 대상자 SD = 28 5. 대상자 LW = 29 B. 측정도구 = 30 1. 생활만족도 척도 = 30 2. 질적 자료 분석 = 30 C. 연구 설계 및 절차 = 31 1. 연구 설계 = 31 2. 연구 절차 = 32 D. 그룹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 34 1. 그룹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의 목표 및 구성 = 34 2. 그룹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회기 별 내용 = 38 Ⅳ. 결과 및 논의 = 51 A. 양적 결과 분석 = 51 1. 생활만족도 척도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분석 = 51 B. 질적 결과 분석 = 53 1. CW의 질적 결과 분석 = 53 2. KS의 질적 결과 분석 = 58 3. JB의 질적 결과 분석 = 63 4. SD의 질적 결과 분석 = 68 5. LW의 질적 결과 분석 = 73 C. 논의 = 78 Ⅴ. 결론 및 제언 = 80 A. 결론 = 80 B. 제언 = 83 참고문헌 = 84 부록 = 92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59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그룹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Group Song-Psychotherapy on Life Satisfaction of Institutionalized Elder Adults-
dc.creator.othernameKoo, Min-Jae-
dc.format.pageix,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