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민지-
dc.creator조민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 후 체육활동 지도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알아보고 관계를 밝혀 방과 후 체육활동의 프로그램 활성화와 질을 높이고 전문적인 교사의 확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방과 후 체육활동 지도유형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어떠한지 알아보았으며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참여기간, 지도교사 성별)과 지도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와 지도유형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자로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30여곳에 방과 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 중에서 3학년 ~ 6학년 학생으로 남학생 300명, 여학생 300명 총 600명 학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체육활동 지도유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지도자 행동 검사지(Chelladurai & Saleh, 1977)를 기초로 하여 권순석(2001)이 번안하여 개정한 설문지를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의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운영 만족은 평균이 긍정적 보상형이 4.34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 행동형이 3.63으로 가장 낮았다. 수업환경 만족은 평균이 긍정적 보상형이 4.11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 행동형이 3.69로 가장 낮았다. 운동능력 만족은 평균이 긍정적 보상형이 4.35로 가장 높았고, 사회적 지지 행동형이 3.56으로 가장 낮았다. 전체적으로 수업 만족도는 평균이 긍정적 보상형이 4.29로 가장 높았고, 사회적 지지 행동형이 3.62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방과 후 체육활동의 지도교사의 지도유형으로 전제적 행동형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민주적 행동에 대해 가장 낮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도유형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체육교과를 가지고 지도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도유형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의 결과가 상반되는 이유로는 그 대상이 중학교, 고등학교와 초등학교의 현재 놓인 상황의 차이와 방과 후 학교의 특성이 학년, 성별, 참여기간, 지도교사 성별로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에 3학년에서 6학년까지 남·여 구분과 학년에 상관없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인해 이러한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초등학교 방과 후 체육활동의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수업 만족도 중에는 평균이 수업운영 만족이 4.03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운동능력 만족 3.99, 수업환경 만족 3.91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학생들은 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수업 만족도 중에는 수업운영 만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초등학교 방과 후 체육활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학년에 따른 수업 만족도는 3학년 학생이 수업운영, 수업환경, 운동능력이 높았으며, 성별에 따른 수업 만족도는 수업운영과 운동능력에 대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지도교사가 남자일 경우에 수업운영과 운동능력이 높았다. 그리고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수업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방과 후 체육활동 지도유형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수업운영 만족도에는 긍정적 보상형이, 수업환경 만족도에는 민주적 행동형과 긍정적 보상형, 사회적 지지 행동형, 교수와 지시형이, 운동 능력 만족도에는 긍정적 보상형과 교수와 지시형이 높게 나타났다. 즉, 지도교사가 학생들의 과제 수행 시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면서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수업을 운영한다면 학생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것이고 수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지도교사는 학생들에게 친밀감을 갖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사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의견과 인권을 존중하는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수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방과 후 학교 체육활동의 효과와 효율성에 대한 정보와 방과 후 발전적인 체육활동의 정책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eachers and the class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dynamizing after-school P.E. courses, boost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s, and securing qualified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eadership style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eachers,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with the programs, h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grade and term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of students and the gender and leadership style of teachers affected their class satisfaction, and whether there wa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of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to sixth grades in approximately 30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elected students who included 300 boys and 300 girls participated in after-school P.E. program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Gweon Sun-seok(2001)'s questionnaires that adapted Chelladurai and Saleh(1977)'s Leadership Behavior Inventory that aimed to assess the leadership style of P.E. teachers. The questionnaires were modifi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PSS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found thei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eachers to exert an autocratic leadership, and the smallest number of them considered their teachers to have a democratic leadership. It seemed that the teachers taught them in an suppressive and authoritarian manner since the school children were still immature. Second, as for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ers and teacher leadership style,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Earlier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of P.E. teachers and the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established that the students took a different view of teacher leadership styl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run counter to the finding of the study. It seemed because the elementary schoolers and secondary students weren't in the same situations, and another reason seemed that after-school programs weren't divided by grade, gender or term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The school children were allowed to choose after-school programs at their own option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Third,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 to their satisfaction level. In order for them to be more satisfied with after-school P.E. programs, they should be taught more systematically not to regard the programs as what just let them hang out. Each school should spare no efforts to put after-school P.E. programs on the right track, though the programs are conducted during normal classroom hours. Fourth, as to the impact of teacher leadership style on class satisfaction, a leadership of providing positive compensation affected their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al management. The satisfaction level with instructional environments was under the influence of democratic leadership, leadership of providing positive compensation, leadership of providing social support, instructional leadership, directive leadership. The leadership of providing positive compensation,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directive leadership had an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motor skills. It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ould be more interactive and satisfied in class when their teachers give them immediate feedback, plenty of praise and encouragement during their task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could let students find it more satisfactory to take P.E. lessons by getting closer to them, offering lots of positive feedback and valuing their opinions and human rights. In the future, more divers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grasping the effect and efficiency of after-school P.E. programs and determining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relevant school policy set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의 변인 = 5 D. 연구의 제한점 = 5 E.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방과 후 학교 = 8 1. 방과 후 학교 교육의 개념 = 8 2. 방과 후 학교 교육활동의 운영현황 = 9 가. 운영방침 및 운영방법 = 9 나. 참여학교 및 참여학생비율 = 12 다. 방과 후 학교 교육활동 운영 프로그램 = 13 라. 강사 = 15 3. 방과 후 학교 체육활동 내용 및 조직 = 16 가. 방과 후 체육활동 교육내용 = 16 나. 방과 후 체육활동 교육조직 = 17 B. 지도성 이론 = 19 1. 지도자 역할 및 특성 = 19 2. 지도행동 이론 = 21 가. 보편적 특성이론 = 22 나. 보편적 행동이론 = 23 다. 상황적 특성이론 = 24 (1) Fiedler의 유관이론 = 24 (2) House의 경로-목표이론 = 25 라. 상황적 행동이론 = 26 C. 지도유형 = 28 1. 민주적 행동형 = 28 2. 전제적 행동형 = 29 3. 긍정적 보상형 = 29 4. 교수와 지시형 = 30 5. 사회적 지지 행동형 = 30 D. 체육수업의 만족도 = 31 1. 수업운영 = 31 2. 수업환경 = 32 3. 운동능력 = 33 Ⅲ. 연구 방법 = 34 A. 연구 대상 = 34 B. 연구 도구 = 35 C. 조사 절차 = 37 D. 측정 도구 = 37 E. 자료 처리 = 3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0 Ⅴ.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3 부록 = 70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55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방과 후 체육활동 지도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Leadership Style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eachers to the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Cho, Min Ji-
dc.format.pagex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