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시각문화 비평 수업에서 비평적 탐구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시각문화 비평 수업에서 비평적 탐구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ritical Inquir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critical instruction of visual cultures : Focused on the comercial advertisement class of Middle School 2nd Graders
Authors
박진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미술의 영역이 확장되어 감에 따라 학습자들에게 생활 주변의 모든 시각 정보를 통해 수용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즉 시각문화에 대한 학습이 요구되어 진다. 이는 미술관을 찾아 작품을 감상하는 미술 뿐 아니라, 학습자가 자신의 실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TV광고, 포스터 등에 의해서도 미술 교과가 학습되어질 수 있고 또한 학습되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구성주의를 배경으로 교사위주의 수업이 아닌 학습자가 자신의 선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는 요즘, 미술 교과에서도 학습자 주변 실생활을 다루는 시각문화에 대한 학습은 그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무수한 시각 정보의 비판적인 수용 역시 중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각문화에 대한 비평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이 비판적인 잣대로 시각문화를 바라보는 능력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게히건(G.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을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한 상업광고 비평 수업 모형을 시각문화 비평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상업광고를 통해 시각문화를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는 비평을 토대로 핸드폰 광고를 직접 제작해 봄으로써 그 이해를 심화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가 광고를 이해하는 시지각 훈련과 더불어, 이에 대한 비평을 통해 실생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일상에 존재하는 시각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 및 수용하여 올바르게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송파구 소재의 방산중학교 2학년 10반과 11반 2개 학급이며, 각 학급에 한국교육개발원 모형에 토대한 “일반 감상 수업 모형”과 비평적 탐구법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상업광고 비평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9월 13일부터 22일 사이에 각 학급별로 5차시씩 총 10차시동안 본인의 지도 하에 진행되었다. 연구자의 비평수업 모형은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 즉, 문제의 인식, 문제의 명확화, 가설 설정, 추론, 검증, 적용에 토대하여 제작되었고, 그 과정은 1차시의 상업광고에 대한 개념학습 및 비평문 작성, 2차시의 문제 설정 및 문제 해결 방안 모색, 3, 4차시의 핸드폰 광고 제작 그리고 마지막으로 5차시의 감상 및 평가로 구성되었다. 반면 일반 감상 수업 모형은1차시의 상업광고에 대한 개념학습 및 토론,2차시의 확인 및 보충, 3, 4차시의 핸드폰 광고 제작 마지막으로 5차시에 감상 및 평가로 이루어져 있다.이는 수업의 주제,내용 및 학습자료의 면에서 비평 수업 모형과 모두 동일하며 단, 비평 수업 모형은 비평의 방식으로서 감상을 언어화하는 비평문을 작성하여 사고를 재정립하는 과정을 거쳤고, 일반 감상 수업 모형은 발표와 토론으로 그 과정을 대신하였다는 점이 두 수업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수업을 거친 실기 결과물은 실기평가를 통해, 그리고 수업 중 다루었던 내용에 대해서는 지필평가를 통해 각 학생의 성적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T검정으로 학업성취도를 검증하여 각 수업 모형의 효과를 비교하였고 모든 자료는 SPSS 12.0으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업 광고에 대한 수업에서 비평 수업을 통해 감상을 언어화하여 비평문을 작성하고,문제를 설정하여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을 거친11반이 일반적인 감상 수업을 한 10반에 비하여 학습자들의 지필평가 및 실기평가의 학업성취도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우월하다고 검증되었다. 이는 시각문화에 대한 비평 수업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감상의 언어화를 통한 글쓰기가 학업성취도에 도움이 됨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주변의 무수한 시각문화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본 연구가 시각문화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비평의 방법을 활용한 감상 수업이 미술과 수업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사고의 언어화를 통한 비평은 시각문화 환경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자신의 의견을 재정립하도록 하는 중요한 의의를 갖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본인의 비평 수업 모형이 앞으로의 미술 교육에 실질적인 토대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As field of the fine arts expanded, it is necessary that learners are suggested to study about visual cultures in various cultures where from visual information of living environment. Not only from works of art in art gallery, but easy access method such as TV advertisement and poster in learner’s real life environment could be also useful method which helps in learning the fine arts. Knowledges and experiences based on real life have become significant lately rather than constructivism lectures which only oriented instructor, learning visual culture in real life environment contains a lot of positive meaning in art course of study. Since self-analysis on critical acceptance of countless visual information must be handled significantly, this study designed to develop in learning critical standard of visual art throughout criticism lecture about the visual cultures. Based on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by G. Geahigan, this study offers opportunity to understand visual culture with using in-lecture criticism model of commercial advertisement which developed by researcher. And also for fully understanding, this study will offer learner to experience cellular phone advertisement based on criticism.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pplication ability using by visual perception practice for advertisement,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real life environment throughout criticism and help to understand and accept real life visual culture on healthy criticism view. Experimental target of this study are two classes who are from Bang San Middle School grade 8, 10th and 11thclassroom located in Song Pa-Gu, Seoul. To the each class are applied by "lecture model of general appreciation" developed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and "criticism lecture model of commercial advertisement"based on critical inquiry which developed by myself. This experiment had been progressed on September 13th 2007 to September 22nd 2007 and attempted 5 stages per trial, 10 trials in total under my instruction. Researcher’s criticism lectur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by G. Geahigan and managed recognition of problem, clearness of problem, setting assumption, reasoning,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Formation of ‘criticism lecture model of commercial advertisement’ contains 5 stages as studying general concept and writing review about commercial advertisement for first stage, setting problem and seeking solution of settlement for second stage, producing cellular phone advertisement for third and forth stage and review and evaluation for last stage. On the other hands, formation of ‘lecture model of general appreciation’ contains 5 stages as concept and discussion about commercial advertisement for first stage, confirmation and supplementation for second stages, producing cellular phone advertisement for third and forth stage and review and evaluation for last stage. To the each experimental targets provided same learning theme, content and data bu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odel is that ‘criticism lecture model’ through remapping progression of critical thinking by verbalized and witting review and ‘general lecture model’ throug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stead. After completion of each stages, practic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rough actual and writing test to deduce personal record, approved the results of academic achievementby T-test, compared each lecture model by case and entire data were handled by SPSS 12.0. The essential results of this experiment summarized as below: The statistical results of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by writing and actual test proved that the students in 11th classroom who wrote criticism with verbalized thinking throughout criticism lectur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and set and seek solution of settlement were superiority compared with the students in 10th classroom who were under general lectur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criticism lecture about visual culture effected positive influence to the students and also proved that writing throughout verbalized thinking which develope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learners who live in environment of countless visual culture, I expect that this study aware educational necessity for visual culture and also criticism lecture could be positive application for future fine art lecture. Criticism throughout verbalized thinking helps to develop healthy criticism for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and provides significant meaning that helps in remapping self-opinion. Further more, I personally hope that ‘criticism lecture model’ could be used as helpful method for the fine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