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진-
dc.creator박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02-
dc.description.abstractIt is important to study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in English. However, reading is the most widely used skill in an EFL educational environment like Korea. Therefore, reading instruction takes its important place in the classroom. Many studies show that providing reading activities is helpful to improv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actual fact, several reading activities are suggest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But English reading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s still practiced with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Especially, teachers and students in high school expect that learners could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rough repeated practice which responds to multiple-choice questions assessing only comprehension skill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reading activities which activate learners' previous knowledge and encourage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reading classroom more actively. Much effort has been expended in the past on the effects of pre-reading or post-reading activitie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But previous studies have not provided an integrated model of reading instruction which includes pre, while and post reading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ctivity-based reading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their attitude toward reading. Hence, the experiment based on reading activities was conducted for 8 weeks, with 67 high school first graders. Once a week, the control group responded to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reading activities with the same reading tex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is could well be expl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y short period of the experiment and the more continuous practice of the activity-based reading instruction might bring statistically different effects. However, the effects of experimental activitie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 result showed that for the lower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nalyzing questionnaires in both groups, there was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s revealed that activity-based reading instru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the meantime, the higher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ncrease of interest and the lower level showed a increase of interest and confidence. Third, the analysis of the further questionnaires on the students' reaction toward activity-based reading instruction revealed that 60% of the experimental group thought reading activities were helpful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that reading activities were stressful because they ne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ctivity-based reading instruction could help the lower level students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영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영역을 함께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EFL 상황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것은 읽기 분야이며, 실제로 영어 교육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 또한 읽기 지도이다. 읽기를 지도함에 있어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의 읽기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독해 실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많은 연구가 있으며 실제로 현재의 중·고등학교 교과서 또한 단계별 읽기 활동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고등학교의 읽기 지도 모습은 여전히 문법 번역식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의 영어 수업은 대학 입시라는 현실적인 목표를 앞에 둔 상황에서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읽기 활동 부분을 생략하고, 교과서 본문 해석과 대학 입시 준비를 위한 외국어 영역 문제 풀이만을 실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교사와 학생들은 반복적인 문제 풀이를 통해 외국어 영역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더불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지만, 이러한 기계적인 문제풀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로 하여금 읽기에 대한 흥미를 오히려 떨어뜨리고 영어 학습은 곧 문제 풀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문제 풀이가 아니라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중심의 읽기수업을 실시함으로써 읽기에 대한 올바를 이해를 추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영어 교육 현장에 효과적인 읽기 지도를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67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눈 후 8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통제 집단은 문제풀이 방식의 읽기수업을, 실험 집단은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활동으로 구성된 활동중심 읽기수업을 진행하였다. 독해력 향상 측정을 위하여 사전 읽기평가와 사후 읽기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 사전·사후 심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읽기수업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읽기실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후 영어 읽기 능력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읽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 오기에는 8주라는 실험 기간이 매우 짧았던 것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서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는데, 실험집단의 하위집단에서 영어 읽기 평가 점수가 상승함은 물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이미 학습 수준이 일정 수준에 도달한 상위 학습자보다는, 하위 학습자에게 읽기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둘째, 활동중심 읽기수업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반적인 영어 학습과 영어 읽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은 참여도와 흥미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 전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향상함으로써 활동중심 읽기수업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과 영어 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의 수준별로 나타난 태도 변화를 보면 실험반의 상위집단에서는 영어 학습의 흥미도가, 하위집단에서는 영어 학습의 참여도와 영어 읽기의 흥미, 자신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기존의 문제 풀이식 수업에서 소외되었던 하위집단 학습자들이 활동중심 읽기수업을 통해 다양한 읽기 활동을 함으로써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고, 이것이 곧 영어 읽기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활동중심 읽기수업은 하위집단 학습자들의 읽기실력 향상과 더불어 읽기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활동중심 읽기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학습자들은 60% 이상의 학생들이 읽기 활동이 읽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나, 교사의 강의식 수업과는 달리 학습자가 직접 수업에 참여해야 하는 부분이 부담스럽기 때문에 읽기 활동을 이용한 수업을 계속하고 싶지는 않다는 이중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 시각 자료를 이용한 읽기 활동 시에 가장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높은 참여도를 타나냈다. 따라서 성공적인 읽기 수업을 위해 교사는 학생들에게 읽기 활동의 장점을 충분히 설명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더욱 북돋아줄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활동중심 읽기수업이 하위 학습자의 영어 읽기실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상·하위 학습자의 영어 학습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험 기간을 늘리고 학생들의 동기 유발에 좀 더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읽기의 정의와 읽기 과정 모형 = 3 1. 읽기의 정의 = 3 2. 읽기의 모형 = 4 B. 활동중심 읽기수업의 정의와 읽기 활동 = 6 1. 활동과 활동중심 읽기수업 = 6 2.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활동 = 11 C. 교실 현장의 읽기지도 실태 = 13 D. 선행 연구 = 14 1. 읽기 활동에 관한 연구 = 14 2. 교실 현장의 읽기지도 실태에 관한 연구 = 1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2 A. 연구 질문 = 22 B. 연구 대상 = 22 C. 연구 자료 = 23 1.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지 = 23 2. 읽기 활동 자료 = 24 3. 설문지 = 28 D. 연구 절차 = 30 1. 실험 이전 절차 = 30 2. 실험의 주요 활동 = 32 3. 실험 이후 절차 = 40 E. 연구의 제한점 = 4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2 A. 활동중심 읽기수업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2 1.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 42 2.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 44 3. 학습 유형 및 영어 읽기 능력 수준이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46 B. 활동중심 읽기수업이 영어 학습 및 영어 읽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47 1.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영어 학습 및 영어 읽기 학습 태도 비교 = 47 2.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내 상·하위 수준별 사전-사후 영어 학습 및 영어 읽기 학습 태도 비교 = 48 3. 실험집단의 활동중심 읽기수업에 대한 견해 = 51 C. 학습자 반응분석 = 51 1.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심화 설문 분석 = 51 2. 실험집단의 사후 심화 설문 분석 = 55 3. 교사의 활동중심 읽기수업에 대한 관찰 일지와 지도 소감 = 58 Ⅴ. 결론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7 부록 = 72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49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활동중심 읽기수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ctivity-Based Reading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the Attitude toward Reading-
dc.creator.othernamePark, Hyun Jin-
dc.format.pagex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