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을 통한 뇌졸중 성인의 장애수용 변화

Title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을 통한 뇌졸중 성인의 장애수용 변화
Other Titles
The Change of Adult Stroke Patient's Acceptance of Disability Through Therapeutic Songwriting
Authors
고난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성인 뇌졸중 환자의 장애수용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들의 장애수용에 관련한 언어표현 내용과 음악치료 세션 안에서 보여지는 대상자들의 음악 활동 모습과 직접 만든 가사와 멜로디를 포함한 음악적 창작물의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B장애인 복지관에서 웰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뇌졸중 환자 중에서 복지관 내관 전 상담 과정에서 장애수용의 저하를 보인 50세 이상 60세 미만의 대상자 3명을 대상으로 주 1-2회씩 매 회기마다 약 60분간 총 12회의 그룹 음악치료를 시행하였다. 시행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자가 직접 가사와 멜로디를 만드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을 통한 대상자의 장애수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연구는 장애수용척도를 사용하여 각 대상자별로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 분석 하였는데 이 때 연구자는 대상자들의 장애수용척도의 전체 점수와 장애수용척도 하위 영역 즉, 자기만족, 장애를 독특하게 여기지 않는 것, 보상적 행동의 질로 나누어 사전, 사후 점수의 변화를 각 대상자별로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세션을 녹화한 비디오 테이프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장애수용척도 하위 영역과 관련된 언어표현의 내용과 그 변화를 알아보았고, 세션 내에서 보여진 대상자들의 음악 활동 모습과 직접 만든 노래의 음악적 내용과 표현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첫째,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대상자의 장애수용척도 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 시행 사전, 사후 장애수용척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또한 장애수용척도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장애를 독특하게 여기지 않는 것과 보상적 행동의 질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나 자기만족 영역은 변화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대상자의 언어표현 내용분석을 통해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장애수용의 하위 영역과 관련한 언어표현을 살펴본 결과 대상자들의 언어표현에서 각 영역에 해당되는 언어표현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그 양도 증가하였다. 셋째, 음악치료 세션 내에서 보여지는 대상자들의 음악활동 모습과 직접 만든 노래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회기가 진행될수록 대상자들의 노래 부르는 모습과 목소리의 크기, 노래를 배우려는 자세, 악기 연주하기 등의 음악활동 모습은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변화되었다. 또한 대상자들이 직접 만든 노래를 분석한 결과 회기가 진행될수록 장애에 대한 감정이 가사에 반영되었으며, 그 표현의 깊이도 깊어짐을 알 수 있었다. 멜로디의 진행에 있어서도 직접 멜로디를 만드는 마디의 수가 늘어나고, 음역의 폭이 넓어졌으며 리듬의 변화와 화음을 넣는 등의 음악적으로 자유로워지고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상자들에게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작사와 작곡, 악기 연주 등의 다양한 음악적 창작 경험을 제공하였다. 대상자들은 자신의 음악 창작물을 직접 만들고 타인에게 표현하고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장애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장애에 대한 부정적이고 왜곡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자신의 장애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과제 수행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하게 되어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재활을 목적으로 한 연구로서 이들의 장애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보다 적극적인 모습으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how therapeutic song writing have an effect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f stroke patients and how subjects` verbal expression about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attitude of music activity shown in the session and musical content of musical products such as lyrics and melody made by themselves change during the session. This study selected three persons between 50 and 60 years old who are participating at well-being program in the B welfare center in Seoul and showed decline of acceptance of disability during the consulting process of welfare center. I carried out once or twice a week; total 12 times for 60 minutes group sessions about therapeutic song writing. It consists of 4 levels and participants should make lyrics and melodies by themselves. In order to look into the variation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through therapeutic song writing, I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quantitative analysis, I use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 which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ddition, I examined the variation ― total score and sub-category socore which consists of three parts; self-contentment, not considering disability as prominent, and the quality of compensation activity ― of before and after treatment by each person. In qualitative analysis, I investigated the contents and mutation of linguistic expression concerning sub-category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 through analysis of video tape of session. Furthermore, I examined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the session as well as the mutation of contents and expression of songs which are made by themselves. First, in this study, I researched how therapeutic son writing have effect on variation of score about acceptance of disability scare. From the tes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scare before and after therapeutic song writing ses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before and after tes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scare. Moreover, looking into sub categories, "De-Emphasis on Disability Salience" and "Compensatory Behavioral Qualiti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Self-satisfac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it shows mutation. Second, during therapeutic songwriting session, I looked into the linguistic expression concerning sub-category of acceptance of disability from analysis of verbal exp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linguistic expression changed into positive words and quantity of positive words also increased. Third, by examining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the session as well as the mutation of contents and expression of songs which are made by themselves, I found out several significant results. First of all, the feature of musical activity―the feature of singing, voice tone, the willingness of learning song and performing instruments ― varies from passive to positive and active according to proceeding every session. Secondly, examining songs made by subjects, lyrics reflected their thinking and emotion about disability and the degree of expression got deeper. Thirdly, in the process of melodies, they tried various attempts to change rhythm and insert harmony as well as made more phrase and width of range also widen. This study provide subjects the new creative experience of musical creation such as lyric making, composition, performing instrument, etc. through therapeutic songwrit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sharing their musical creation with other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ubjects to see disability objectively and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negative and biased recognition toward disability. Finally, this study was designed for stroke patient`s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them adapt to society more actively by providing positive effect of improving acceptance of dis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