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희-
dc.creator이소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9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on the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produc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and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valuate treatment effects. And percentage of independent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and quantity of the production was measured.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twice after two weeks and five weeks since the intervention had been fin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increased the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production in all subjects. second, Increased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production maintained in all subjects. Three,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increased the independent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in all subjects. Four, Increased independent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were maintained in all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increased the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bread production and the independent confectionery bread ma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장애 학생들이 이 사회에 필요하고 가치있는 독립된 성인으로 생활하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직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중등 특수교육 및 직업 재활에서는 장애 학생의 사회적·경제적 독립과 자기 충족을 실현시키기 위해 장애 학생 개인에게 적합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중도장애 학생의 경우,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직업교육은 주로 직업 전 준비기술 습득에 머물러 있으며, 직업기술 교수 시에도 외부적인 지시나 감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실은, 중도장애 학생의 취업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취업을 하더라도 중도에 탈락하게 만드는 원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중도장애 학생의 직업기술 습득을 위해 과제분석 및 수정, 자기관리 중재 절차 사용 등을 통한 다양한 직업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학생의 독립적인 직업기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기관리 중재 절차의 각각의 효과 및 여러 요소들을 결합한 다양한 전략들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자기관리 중재 전략을 활용한 직업기술 습득 연구는 사진단서 전략과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사용한 연구 등을 제외하고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P시 소재의 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3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의 사용이 제과·제빵 생산량 및 제과·제빵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학생 3명의 제과·제빵 수행을 관찰한 후, 과제를 분석하여 수정된 제과·제빵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중재 초반 3회기에는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 사용법에 관한 예비교수를 실시하였고, 중재 시 ‘자기점검, 자기강화, 자기평가’가 포함된 자기관리 중재를 활용한 직업기술 교수를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관리 중재의 일환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제작하여 학생 스스로 제과·제빵 기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수행을 점검하고, 생산된 제과·제빵 제품을 평가하여 제품 생산량을 결정하는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설계이고, 모든 실험은 특수학교 직업실인 제과·제빵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중재 종료 2주 후와 5주 이후 두 번에 걸쳐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포함된 직업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대상학생 모두 제과·제빵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둘째, 대상학생들의 증가된 과제 생산량은 중재 2주 후와 5주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셋째, 3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포함된 직업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대상학생 모두 제과·제빵 기술 수행율이 향상되었다. 넷째, 대상학생들의 향상된 제과·제빵 기술 수행율이 중재 2주 후와 5주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의 사용이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생산량 및 제과·제빵 기술의 수행율을 향상시키고 유지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도장애 학생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직업기술 영역인 제과·제빵 분야에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활용하여 중도장애 학생의 생산량 향상 및 독립적인 기술 수행을 입증하였다는 점과 기존의 단순 조립이나 청소 및 용역 등의 직업기술 영역 뿐 아니라, 제과·제빵과 같이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는 직업기술 영역에서도 생산량 향상 및 독립적인 직업기술 수행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중도장애 학생이 참여 가능한 직업 영역의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중도장애인의 직업기술 교수 = 8 1. 중도장애인 직업교육의 실태 = 8 2. 중도장애인의 직업기술 교수 원리 및 최상의 실제 = 10 B. 중도장애인 직업 교수에서의 자기관리 중재 = 13 1. 자기관리 중재의 정의와 유형 = 13 2. 직업 활동에서의 자기관리 중재 = 15 가. 직업 활동에서의 자기관리 중재의 효과 = 15 나. 직업기술 수행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기감독 및 자기평가 전략 = 18 C. 중도장애 학생의 직업교육으로서 제과 · 제빵 기술 = 20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실험기간 = 26 C. 실험장소 = 26 D. 실험도구 = 26 E. 실험 설계 및 실험 조건 = 27 1. 실험 설계 및 기간 = 27 2. 실험 조건 및 절차 = 28 F. 관찰 및 측정 방법 = 34 1. 종속 변인의 조작적 정의 = 34 2. 관찰 및 자료 수집 = 35 G. 관찰자 훈련 및 신뢰도 = 37 Ⅳ. 연구결과 = 38 A.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제과 · 제빵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38 B. 제과 · 제빵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43 Ⅴ. 논의 및 제언 = 47 A. 논의 = 47 1.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제과 · 제과제빵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47 2.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제과 · 제빵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50 B. 제한점 = 54 C. 제언 = 55 참고문헌 = 56 부록 = 66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33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전공과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생산량 및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on the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Lee, So Hee-
dc.format.pagei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