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무용평론의 시대적 경향

Title
무용평론의 시대적 경향
Authors
안성혜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e analysis of dancing referred in the editorial comments written by columnists, to analyse and observe such comments written from 1960 to 1970 concerning the aspect of the overall activity of dancing art, and the analysis covers comments announced through leading newspapers and professional publications. As a result, the analysis of overall activity of dancing art revealed that, in 1960s, the inland situation was in the condition of turmoil because of political reformations and this confused situation affected the activity of dancing art to a considerable extent. On the one hand, the performances of foreign dancers invited enhanced the interest and knowledge of native dancers concerning foreign dancing. As a result, the activity of dancing was activated in inland society which had given a cold treatment to it. In 1970s, dancing activity was more activated both in inland and in the abroad owing to financial aid render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original works of dancing drama were compiled in quantity. Especially, modern dancing met with a boom. Als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s were arranged for orchestras, and this arrangements provided with a decisive motive for the development of dancing circle. The activity of columnists was more active in the latter half of 1970s than 1960s.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ncing activity performed during this period, we can realize, through an investigation concerning the frequency of the use of terminology, on what columnists put their emphasis. During the former half of 1960s, they put emphasis on physical factor and factor of beauty in the former half of 1970s and secondary factor in the latter half of 1970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se factors vertically, the secondary factor of dancing (i.e. the external factor of works, i.e. stage effect) was emphasized by 31.1 percents. The next was physical factor which was emphasized by 26.4 percents; the factor of beauty by 20.6 percents; the factor of time by 15.1 percents; the factor of space by 6.8 percents. Thus, it was revealed that the dancing of this country had an aesthetical defection.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external factor of stage effect attracted excessive attention. As to problems and direction of dancing art, the improvement of quality in abreast with the increase of quantity is a problem. Governmental aid for the enlargement of the size of stage, the scarcity of new dancers and less interest of audiences arise proble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tage art, it is indispensable for artists to have scientific philosophy and traditional spirit of Korean art and their right attitude. The amalgamation of folk dancers and ballet dances and the development of accompaniment which is indispensable for dancing art are urgent problems. Dancing will be highly evaluated as an art of stage when all columnists criticize fine art, dancing and other individual art with aesthetical views so that they can break conventional criticism based on impressionism and they can develop scientific criticism.;본 연구는 무용평론의 시대적 경향을 알기 위해서 1960년대~1970년대에 걸친 무용예술의 전반적인 활동상황에 대하여 평론가에 의하여 쓰여진 문장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시대별 무용평론의 경향과 무용 용어 사용에 의한 시대적 특징을 밝혔으며 이러한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무용발달 과정에 대한 사적인 고찰과 작품분석에 필요한 무용평론의 준거를 설정하였다. 조사대상은 우리나라의 각 주요 일간지(경향신문, 대한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국일보, 일간스포츠)와 전문지(「공간」지, 「한국예술」지, 「춤」지)에 게재되어 있는 무용평론 기사내용으로 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무용평론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면 ’60년대 초반은 국내적으로는 혼란한 시기였으므로 작품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외국의 내한 초청공연으로 외국무용에 대한 우리 무용인의 관심도가 높아지게 됨으로서 사회적으로 외면당하고 있던 국내의 무용 활동이 활기를 찾았다. ’70년대는 국가의 보조로 인하여 국내적으로나 해외공연에도 활기를 띄었으며 창작무용극을 위주로 한 작품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현대무용의 선풍이 일어나기도 하였고 한국 민속의 음악을 오케스트라 반주로 편곡 구성하였다는 데에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시대별 무용평론의 경향에서는 ’60년대보다 ’70년대에 작품활 동과 무용평론 역시 다양한 면을 보여주었으며 대부분의 작품 평에 관한 전체적인 경향이 인상적인데서 탈피하지 못했음을 시사해 주고 있었다. 또 용어 사용에 의한 시대적 특징에서는 ’60년대의 초반기에는 신체적 요인을, ’60년대 후반기에는 시간적 요인을, ’70년대 초반기에는 미적요인을, ’70년대 후반기에는 이차적 요인을 각각 강조하여 평론가가 의도하려고 했던 강조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수평적인 측면에서 고찰해본 결과 무용의 보조적요인 즉 이차적요인 중 무대효과 면이 31.1%로 가장 강조되었고 신체적 요인이 26.4%, 미적요인이 20.6%, 시간적 요인이 15.1%, 공간적 요인이 6.8%의 순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무용은 미학적인 면이 취약점으로 나타났고 보조적요인인 무대효과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있음이 드러났다. 한편, 무용 용어수를 추출하여 빈도를 조사한 결과 신체적 요인 중 운동의 표현성을 내포하고 있는 「테크닉」이란 용어가 48%로 가장 강조된 것을 볼 때에 무용은 신체, 리듬, 공간의 세 요소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신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우리의 사상과 감정을 전달해 주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무용 예술 활동과 무용평론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대효과 면이나 신체적 요인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 무용미학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할 때에 비로소 전반적인 무용작품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