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 제작활동이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 제작활동이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Authoring of Multimedia English annotation on the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제 7차 교육과정은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며 유창성과 정확성을 균형 있게 기르도록 학습 경험과 활동을 극대화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언어의 사용 측면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자연스럽게 어휘의 중요성도 무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가르쳐지고 있는 것이 읽기인데 그 바탕이 되는 것이 어휘이므로 어휘 학습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어휘 교수 방법으로 명시적으로 어휘의 형태와 의미를 연결시켜 제시해주는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의사소통 기능의 부산물로 전체적인 내용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 우연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이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명시적 어휘 교수법은 단편적 지식의 획득에 초점을 두어 언어 사용과 거리가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으며, 반면 우연적 어휘 학습은 다독을 통한 최대한의 어휘의 노출이 필요하다는 점과 우연적으로 습득되는 어휘량이 적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어휘 학습 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데, 읽기와 관련된 과업을 통한 어휘 학습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들이 나와 있다. 최근 읽기와 관련된 과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사전과 주석에 관한 것들로 어휘 학습 효과뿐 아니라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있어서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멀티미디어 사전이나 주석은 일반 종이 사전과는 달리 어휘의 뜻과 예문 이외에 칼라 이미지와 발음을 직접 들을 수 있어 어휘의 형태와 의미 연결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과 사전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과업이 연구되고 있는데, 최근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구성주의의 이념과 인터넷, 멀티미디어의 보급으로 학생의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제작에 관한 연구의 긍정적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인터넷의 활용으로 어휘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주석 제작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강조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성취감을 느끼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시청각 자료 및 멀티미디어를 다양하게 활용할 것을 강조하는 제 7차 교육과정과도 부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국내 영어 학습자들 대상으로는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국내 학습자, 특히 7차 교육과정이 시행중인 중 ·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주석을 제작하는 과업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어휘 학습 현장에 적용해보고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과 어휘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126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통제 집단은 교사가 제작한 멀티미디어 영어 주석을 제공받아 독해와 어휘학습을 하도록 하고, 실험 집단은 독해지문을 바탕으로 직접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작하면서 어휘 학습을 하도록 하였다. 학습 직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고, 일주일 후 동일한 어휘 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기억효과를 살펴보고 이미지를 제공하여 어휘 기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또한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 조사도 실시하였으며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활용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12명을 임의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주석 제작활동을 통한 어휘 학습은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이후 영어 어휘 평가에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작한 집단이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여 단기 기억 평가에서 높은 어휘 학습효과를 보였다. 반면 장기 기억에는 통계적으로 두 집단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미지를 제공한 경우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작한 집단의 어휘 기억 효과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작하는 활동은 어휘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데 효과가 있었다. 비록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공받아 학습한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 관심, 필요성 등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즉, 두 집단 모두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도구로 학습하여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 제작활동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만족도와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해 사전에서 스스로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하였고, 그 어휘에 맞는 이미지를 직접 선택하고 발음을 여러 번 듣는 등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를 보였다. 이렇게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과업을 완성한 경험은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집중력을 높였고 스스로 생각하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였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이미지의 사용으로 어휘가 가지는 영상을 함께 기억해 어휘 학습에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 제작활동은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가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였을 뿐 아니라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효과를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스로 어휘의 형태와 의미를 동시에 연결하여 자신만의 어휘 체계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의 정신적 활동을 유발하는 과업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감각을 통한 깊고 다양한 처리 과정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의 다양한 활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위 학습자 뿐 아니라 하위 학습자들이 이미지의 활용을 통해 어휘 학습과 기억에 큰 효과를 보이는 것을 감안할 때 어휘의 성격과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적절한 멀티미디어 자료 사용도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카페의 게시판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작품을 제시하거나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방안 등을 마련하여 성취감과 자부심을 갖고 나아가 어휘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키는 방안의 활용이 촉구된다.;As the ability to use English both fluently and correctly has been emphasized in the 7th School Curriculum in Korea, we are beginning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language use an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to accomp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vocabulary instruction has been limited to traditional direct vocabulary teaching that teacher present form and meaning of words, and it has been criticized for lacking authentic vocabulary use and results in only fragmentary knowledge.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vocabulary for themselves through deep processing with intrinsic motivation. I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the tasks using multimedia on the Internet.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asks relating reading with multimedia dictionaries or glosses are helpful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vocabul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web-based tasks in which students can manipulate the form and meaning of the vocabulary for themselves through multimedia dictionaries and also promote learn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web-based task that require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authoring of multimedia annotation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learning of English vocabulary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one hundred twenty six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le the control group consulted the multimedia English annotation provided by teacher on the internet cafe while reading,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uthoring of multimedia annotation while reading. The subjects had the first vocabulary test immediately and a week later the second unexpected vocabulary test was given to examine the retention of the acquired vocabulary. Right after the second test, the vocabulary test provided with images of the target words was given to examine the effects of image on recall. In addition, the attitudes toward the vocabulary learn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task, and their opinions toward th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authoring of multimedia English annotation on the vocabulary learning. But its effects on the retention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 imag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call when they were given in the test. Seco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attitude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became significantly positive when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uthoring of th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 both groups showed the positive attitudes. That fact indicates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attitude. Third, the results of the additional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indicate that in general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task of authoring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 The learners generally made good use of English annotation to consult and find the exact meaning of the target words. They also answered that this task increased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the activities choosing appropriate images and listening to the pronunciation on the computer. Moreover they evaluated the task as effective way of learning vocabulary due to the active student involvement in the learning proces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ask of authoring of multimedia English annot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vocabulary learning but also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ive tasks using multimedia should be provided to encourage the students' active mental process to link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words. Moreover, appropriate multimedia use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features of words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s, considered the fact that imag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ocabulary learning of lower level learner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the Web-based bulletin board and classroom presentation to increas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