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문맥 제시, 의미 묶음, 단어 지도 작성을 활용한 영어 어휘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문맥 제시, 의미 묶음, 단어 지도 작성을 활용한 영어 어휘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ontext, Semantic Grouping and Word Map : Effectivenes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Growth and Affective Aspects
Authors
황재원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주
Abstract
Learning vocabulary has become a major focus of acquiring a language since communicative competence came to be the goal of English teaching. Knowledge of vocabulary which is fundamental in language function acquisition should be stored systematically to communicate fluently. The emphasi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has lead to studies focusing on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raditionally,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vocabulary instruction has been conducted on a word-by-word basis. That is, students have been exposed to a list of words without any context as to learn the meanings of such presented words.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recommended context analysis and semantic grouping as effective vocabulary building strategies for EFL learners. The idea that EFL learners can readily acquire huge amount of vocabulary through the use of those two strategies is appealing. Word map adapted from a vocabulary web consisting of eight identical bubbles would provide a framework for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Word map intertwining most of the elements as essential to vocabulary instruction. It includes the features of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which are extensive practice with words, breadth of knowledge about words in including both definitional and contextual knowledge, and active engagement leading to deep processing of words. Few experimental studies on these methods, however, have been implemented for vocabulary learning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ntext, semantic grouping and word map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experimental populations are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 total of 267 the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ext, semantic grouping and word map groups. These three groups were then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evels, depending on their initial language proficiency test results. 108 vocabulary words were taught and teste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rough methods, English proficiency groups (upper 50 percentile and lower 50 percentile groups), and the features of vocabulary (concrete/abstract words, part of speech). The vocabulary for the three groups were identical. 108 English words were chosen from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s the target words of instruction. The entir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teen sessions. In the first session, a pretest identical with all the group was administrated to obtain some indication of the subjects' prior knowledge and to constitute a list of target words unknown to the subjects taking part in the experiment. The main experiment consisted of the next twelve sessions. In each session, the subjects were through their given experiment treatment, learning nine English words. About thirty minutes were given to each subject regardless of their experimental treatment. In every class session an immediate test was provided before additional exposure to the target words could occur. After the twelfth session a post-experiment test which was the equivalent of the pre-experiment test given to check the long-term effect of the experiment on the learning of the vocabulary covered throughout the study. In both pre and post experiment tests the subjects received a sheet with English words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immediate test the subjects received five sentences in which each target word was replaced by a blank. Subjects were instructed to fill the blank with a single English word. The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all of context method, semantic grouping method, word map method were effective for participants. The result of the post-experiment test suggests that learning vocabulary through Word map method is more effective in vocabulary and long-term retention of vocabulary meanings than learning vocabulary through other two methods. And especially students from the lower 50 percentile group showed a marked improvement as compared to high level students'. Second, the features of vocabulary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ethod. Learning vocabulary through Word map method encouraged students to reach a higher goal in concrete words and abstract words by providing sentences with context and word association. Third, analysing furt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students in three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much preferred the class with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and said that they acquired renewed interest and learning strategies toward Enlgish vocabulary. In sum, the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eaching vocabulary through three activities can be successfully used for enhanc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ability.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with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high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vocabulary ability.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ossibility of relating the vocabulary materials with the high school English curriculum to improve Korean student' vocabulary ability.;오늘날의 영어 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실제적인 의사 소통의 상황에서 그들이 배운 언어 형태를 사용하는 법을 알게 하는 것이다. 최근 의사 소통에 가장 필수적인 어휘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효과적인 어휘 교수와 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최근에 수요자 중심의 유의미한 학습이 강조되면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유의미한 실제적인 읽기를 하면서 동시에 궁극적인 언어 사용 상황과 유사하고 깊이 있는 어휘 자질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우연적 어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모국어 학습자와는 달리 영어를 외국어(English as a Foreign Language)로 배우는 우리나라 학습자들은 교실 수업 이외의 독서나 상호작용에서 얻어지는 어휘의 우연적 학습(incidental learning)의 기회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단어 교수 방법에 따라 단어 학습이 유의적인지 아닌지 결정이 되며 학습자들의 어휘력 신장과 나아가서는 의사 소통 능력에 중요한 역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어휘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세 유형의 영어 어휘 학습 활동 즉, 문맥 제시 활동, 의미 묶음 활동, 단어 지도 작성 작성 활동을 통해 직접적인 방법으로 영어 어휘를 지도하여 세 유형의 어휘 학습 효과를 알아보자 한다. 또한 어휘 학습에 영향을 주는 어휘적 특성인 구체성과 추상성,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 등을 고려하며 외국어 학습의 기초가 되는 어휘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인 문맥 제시 집단, 의미 묶음 집단, 단어 지도 작성 집단으로 나누어 총 12차시 어휘 지도를 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다른 유형 어휘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과 영어 학습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 평가에서 실험집단의 어휘 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어휘 학습 활동을 활용한 영어 어휘 수업이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모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어 지도 작성 집단, 의미 묶음을 활용한 집단, 문맥 제시 집단 순으로 어휘 평가 총점이 유의하게 향상되어 단어 지도 작성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향상도를 상·하위 수준별로 살펴보면, 문맥 제시 집단의 상위 집단을 제외하고 실험집단의 상·하위 집단은 어휘 성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 집단의 하위 수준 학습자들이 상위 수준 학습자들보다 점수가 크게 향상되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어휘 학습 활동을 활용한 영어 어휘 수업이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보다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학습 어휘의 특성에 따른 세 유형의 어휘 교수법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모든 평가 영역의 전체 총점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다. 형용사 영역을 제한 모든 영역 즉, 품사 영역으로는 명사, 동사와 구체어/추상어영역에서 단어 지도 작성 활동 집단의 어휘 학습 향상도가 의미 묶음 활동 집단보다 높고, 의미 묶음 활동 집단이 문맥 제시 활동 집단보다 어휘 학습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 어휘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 명사, 동사와 구체어/추상어를 교수·학습할 때 단어 지도 작성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설문지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을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 및 영어 어휘의 정의적인 측면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실험 집단의 정의적인 측면에 유의한 차이 변화가 있었다. 전반적인 동기 유발 영역에서는 문맥 제시 집단의 학습자들이 가장 향상됨을 보였고, 단어 지도 작성 집단의 상·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이 전반적인 동기유발이 가장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영어 어휘 학습 영역에서는 의미 묶음 집단의 상·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이 가장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평소에 영어 어휘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았던 학생들이 어휘 학습 활동을 활용한 실험 수업을 통하여 어휘와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어휘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불어 영어 어휘를 학습할 때 전략을 사용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이러한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모든 실험 집단 의 상·하위 수준별 집단의 정의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하위 집단 학습자들이 상위 집단 학습자보다 전체적인 향상도가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험 집단 학생들이 12차시의 수업을 통해 영어학습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었음을 나타내고 어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았으며 하위수준의 학습자가 상위 수준의 학습자보다 더 많이 동기를 부여되어 영어 수업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어휘 학습 활동을 활용한 어휘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주관식 문항으로 구성된 심화 설문면접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어휘 학습 활동을 이용한 어휘 수업 이후 영어 어휘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높아졌다는 의견이 보여, 앞으로도 어휘 학습 활동을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될 것을 원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휘 학습 활동 유형에 따라서 어휘 교수·학습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중 단어 지도 작성을 활용한 어휘 활동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능숙도 수준에 따라서도 어휘 학습 활동이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영어 어휘력 향상을 위한 어휘 교재를 개발하거나 어휘 활동을 통한 어휘 지도를 할 때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적절한 어휘 학습 활동을 선택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