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KMAT(Korean Music Aptitude Test)를 사용한 시각장애 중학생의 음악적성 연구

Title
KMAT(Korean Music Aptitude Test)를 사용한 시각장애 중학생의 음악적성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Music Ap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by KMAT(Korean Music Aptitude Test)
Authors
손성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군자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장애 중학생들에 대한 음악적성의 측정과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전반적인 음악적 잠재력을 예견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이 연구결과는 정안 학생들과의 음악적성 비교자료로 사용하여, 시각장애 중학생들의 차별화된 음악교육적 · 음악치료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위치한 4개의 시각장애 학교에서 중복장애를 제외한 시각장애 중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적 도구 사용여부에 따라 전맹(n=57)과 저시력(n=38)으로 구분하였다. 검사도구로는 한국음악적성검사(KMAT)도구를 사용하였고, 검사시간은 리듬과 가락요소로 나누어 각 영역별 각 20분씩, 총 40여분이 소요되었다. 답안 체크 요령은 전맹 학생은 점자를 이용하여 점역하였고, 저시력 학생들은 제작된 검사도구의 답안지를 확대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실행은 음악교사의 도움을 얻어 연구자가 음악시간을 이용하여 학년별, 그룹으로 실시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PC용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로 처리하여 학년별간의 변량분석은 ANOVA를 사용하여 검증하였고, 장애정도에 따른 변량분석은 t-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각장애 학생의 음악적성은 리듬 원점수는 25.44, 가락 원점수는 25.62 이며, 종합 원점수는 50.81 로서 리듬에 비하여 가락점수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로는 리듬과 가락, 각 영역에서 학년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장애정도별로는 전맹과 저시력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각 요소별로 보면, 리듬영역에서 전맹 학생들이 저시력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으며(p>.05), 가락영역에서는 전맹 학생과 저시력 학생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종합점수 또한 전맹 학생들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5). 마지막으로, 시각장애 학생들과 정안 학생들과의 KMAT 결과 평균비교는 기존에 현경실에 의해 연구된 결과와 비교하였는데, 시각장애 학생들이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시각장애 중학생의 음악적성의 특징을 파악하고, 정안 학생들과의 음악적성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가 되었다. 시각장애 학생들이 정안 학생들에 비해 음악적성이 높다는 것은 음악적성의 기본적인 요소인 청음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음악교육에 있어서는 정안 학생들과 차별화한 청지각을 이용한 접근이 필요하며, 음악치료 영역에서는 청각적 능력을 활용하여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This research is made to predict general musical potential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by measuring and analysing their music aptitude and to understand certain characteristic features among the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used for comparing them with normal sighted students in terms of music aptitude, and it may also contribute on educational and healing purposes in music.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4 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95 visually impaired students who, according to the use of Braille and large print, were grouped into two: 'Blind'(n=57) and 'Low Vision'(n=38). The measurement instrument used for the research was the KMAT instrument manufactured as CD format by Gyeongsil Hyeon for hearing measure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grades and groups in the area of rhythm and melody. The investigation took 20 minutes in each area, 40 minutes in total.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 ANOVA, t-test.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usical aptitude of the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students, rhythm raw score was 25.44; melody raw score was 25.62; total raw score was 50.81. The melody raw score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rhythm raw score. Second, in terms of grad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se areas of rhythm and melod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lind and Low Vision students. Viewing from the musical elements, the Blind students got higher points than the Low Vision students in the area of rhythm, but it was of no significance in statistical point of view,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In addition, the total raw score of the Blind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 Vision students. Finally, compared between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normal sighted students, which had been investigated by Gyeongsil Hyeon before with the same KMAT, the former got higher scores than the latter in every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to be educated through the differentiated use of auditory sense from the normal sighted students. In the area of musical healing, this result may also suggest that the capability of the auditory sense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