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은영-
dc.creator임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0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7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73-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이 평면 위주의 미술교육으로 편중되어 입체로 표현되는 조소 영역은 미비할 뿐 만 아니라 재료 준비및 조형상의 특정등으로 인하여, 교육현장에서 조소의 표현 학습이 충실히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는데서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과 조소 학습에 있어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학습 현황을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중학교 검인정 미술 교과서 조소 단원의 교육 목표 및 내용, 편찬실태, 영역별 시간과 단원수·쪽수, 본문과 도판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질문지는 서울시내 중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미술과 조소 학습예서 조소 교욱의 여건과 학습 현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교과서 분석과 질음지에 의한 조사 연구이다. 1984년에 개편친 현행 중학교 검인정 미술 교과서 1ㅊ2·3학년 전체인 4종 12권의 조소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질문지는 1988.3.2~1988.12.10일까지 1년 동안 실시한 조소 학습에 대하여 목적표출한 서울시내 중학교 미술 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조소 학습 현황을 파악하였다. 백분율에 의하여 분포 상황을 알아보고 X^(2)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배경에 따른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 조소 영역은 타영역에 비하여 수업시간·단원수·쪽수 등이 낮은 비율로 취급하고 있어, 영역에 따라 수업시간을 적절히 안배하고 교과서 쪽수를 늘리고, 단원수는 줄여서 이론과 참고작품 및 제작과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학습의 이해도를 높일수 있는 내용의 교과서가 요구된다. 2. 조소 학습은 시설·교구 및 시청각 교재의 부족, 재료 구입의 애로, 제작과정의 복합성과 시간부족 등으로 교육 여건의 제약을 덜받는 내용들 만이 학습되고 있는 실정으로 효과적인 조소 교육을 위하여 재료의 개발과,시설·교구 및 시청각 교재를 보완하고 활용하여 학습의 질을 높여야겠다. 3. 조소 학습에서 교과서는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교과서 내용의 개선점으로는 많은 내용의 이론,다양한 도판과 제작과정, 표현 기법의 다양성, 참고 작품과 이론의 연관성 등을 교사들이 기대하고 있으므로, 교육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지침서가 요구된다. 4. 미술 교사들은 조소에 대한 관심과 지도 능력 부족으로 조소 실기 연수를 통한 재교육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roblem in fine art education of middle school in our country is appearing that the contents of fine art texts has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a plane oriented learning so that the porvince of carving and modeling expressed by solid constitution is unsufficient, and that its expression learning is not practiced fully in the actual class in terms of the difficulties of material provis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stic arts, ei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s and examine the realities of learning in the studying of carving and modeling of middle school fine ar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al objects, contents, the method of compilation, the number of unit, page, division hours, and to compare the body with illustrations in the carving and modeling unit of the authorized fine art texts of middle school.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ext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learning of carving and modeling unit in whole 12 volumes, the current authorized fine art texts of middle school rearganized in 1984, 4 kinds in the fine art texts of the middle school in our country. 191 teachers selected in the middle school in Seoul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found out the realities of carving and modeling learning performed from March 2, 1988 to Dec. 10, 1988. A distribution chart was presented by the percentage and proved significance level by x^(2).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ovince of carving and modeling in the current fine art texts of the middle school is treated lowly in class hours, unit page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propertly the learning of carving and modeling in the field of middle school because the contents of texts lacks in theory, reference works, working process, illustration and explanation. 2. Only the contents with small educational restrictions is performed in the class of the middle school because of the lacks of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class hours, instruments, facilities, the difficulty of material purchase and complicated working process. 3. The texts in the learning of carving and modeling are used as the assistant means of class and its contents has many problems. Therefore teachers expect that the contents of texts should consisted of various illustration and working process, a lot of theory, the variety of expression technique, proper reference works and the connection of theory. 4. Fine art teachers lacks in interests and ability to teach almost carving and modeling so that they want to re-educate through carving and modeling practical training. They also demands gradual improvement of carving and modeling education, learning guide and the compilation of actual texts to overcome difficultities in time, space and econom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5 A. 미술교육의 의의 = 5 B.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 7 C. 조소교육 = 11 Ⅲ. 중학교 미술과 교과서의 조소내용과 학습 현황 분석 = 17 A. 중학교 미술 교과서와 조소 = 17 B. 질문지를 통해 본 학습 현황 = 31 Ⅳ. 결론 = 72 참고문헌 = 79 부록 = 81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456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미술과-
dc.subject조소-
dc.title중학교 미술과 조소 학습 내용과 현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tents of Text Books and the Realities of Learning in the Education on Carving and Modeling of Middle School Fine arts-
dc.format.pagev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