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熙玉.-
dc.creator金熙玉.-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61-
dc.description.abstractArt is a way of expression and an actual activity as an important dynamic artistic factor. Both art and ceramic art are in need of expressive variety. The abstract expressionism started off with the fundamental and momentary decision of human mind not by scientific intention, and appeared as a new ceramic art movement in pursuit of connection with modern image and mind which extended clayey formative scope, mainly in the United States. Nowadays the tendency that not a few artists reject realism and proceed toward the abstrac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and real situations of our times. In this viewpoint, Korean modern ceramic art has a similar course. Korean modern ceramic artists are turning to the emphasis on formation instead of individual form or skill, therefore the pure art exceeds the pratical art in number. It tells us the change into the form of pure ceramic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at Korean modern ceramics is a creative one, expressed by the artist himself and trying to escape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is genre, through analysis on some books or works of abstract expressionism.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like this: to study the general concepts of abstract expression, to research the origin of ceramic art, the establishment of abstract, expressive ceramic art,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abstract, expressive ceramics through the documents, and to find out the formative and visual tendency of the above. And selected 102 works by photos will be presented including the remarkable works which won the prizes in The Korean Art Great Exhibition (succeeding The National Art Exhibition), The Ceramic Art Exhibition, The Seoul Modern Ceramic Arts Contest, and The Jinro Ceramic Art Contest, and some works in Korean Craft Council and The Exhibition of Korean Modern Ceramic Arts. Thanks to the formative works made of clay making space new by the pursuit of what the clay means and artistic expression, while we are working with clay, the modern ceramic art toward the aesthetic approach has been changed into the modern abstract art with a new style. Furthermore, Korean modern ceramic art is approaching a creative expression by means of phrenological decoration and aesthetic expression, and it makes us feel the visual impression. And it pursues the practical function and the conceptional expression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s realm was broaden as a result of deep reflection by the power of expression and imagination. Besides the free reflection of the symbolic images in the ceramic works, the expressional power and personality of the artists could be expressed in the formative language. And its characteristic made way for the modern ceramic art. In modern times ceramic art is developing as a pure art with its own formative beauty by itself. According to this kind of flow, a great deal of diversity which makes expression kept deep in human mind possible is needed.;예술은 표현의 양식이며 실제적 활동으로 생명력이 중요한 미적 요소인데, 예술이나 도예나 모두 표현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과학적인 의도에서가 아닌 인간정신의 근본적이며 순간적인 판단에서 출발한 추상표현주의는 미국을 중심으로 흙의 조형영역을 넓힌 현대적 이미지와 정신과의 연계성을 추구하여 새로운 도자예술 운동으로 일어났다. 오늘날 많은 예술가들이 사실주의를 배격하고 추상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경향은 시대적 성격이며 현실상황이다. 여기에 한국의 현대 도자예술도 개성있는 형태와 기능보다는 조형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순수조형을 지향하는 도예가 실용도예보다 숫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순수예술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과 추상표현적 작품을 대상으로 한국 현대 도자예술이 전통적인 장르개념에서 탈피하여 도예가 자신의 표현의지를 나타내는 창조적인 예술임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추상표현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과 도자예술의 발생, 추상 표현 도자예술의 성립, 한국 추상표현 도자예술의 발전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국전과 맥을 이은 대한민국 미술대전, 공예대전의 입선이상의 작품, 서울현대도예공모전, 진로도예지명공모전 그리고 한국공예가회, 한국현대도예가회의 작품을 대상으로 102점의 작품을 선정, 사진으로 제시하여 한국 현대 도자예술에 나타난 조형적 및 시각적 추상표현 추세를 알아보았다. 흙을 손으로 만지며 흙의 의미와 미적 표현의 추구로 공간을 새로이 하는 흙의 조형작업이 나타나면서 미적 영역으로 접근하려는 현대 도자예술도 현대적 추상성을 지닌 새로운 형식의 예술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여기에 한국 현대 도자예술은 관상적인 장식성과 미적 표현성을 자연스럽게 추구하여 시각적 감동을 느끼게 하는 창작활동이 되었으며, 용적 기능과 개념적 표현을 동시에 추구함으로써 상상력과 표현력이 짙게 투영되어 도예의 표현영역이 더욱 넓어졌다. 또한 도자작품속에 상징적인 이미지를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게 되었고, 작가의 표현의지와 개성이 표출되어진 조형언어로 현대도예의 방향성이 모색되었다. 현대는 도자 그 자체가 조형미를 갖는 순수 예술로 발전하고 있음으로해서 좀 더 깊이 있는 표현을 할 수 있는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추상표현(Abstract expressionism)의 고찰 = 4 B. 도자예술의 발생 = 7 C. 추상표현 도자예술의 성립 = 11 Ⅲ. 한국 현대 도자예술의 추상표현 고찰 = 19 A. 한국 추상표현 도자예술의 발전 = 19 B. 한국 추상표현 도자작품 = 24 Ⅳ. 결론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424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도자예술-
dc.subject추상표현-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韓國 現代 陶磁藝術의 抽象表現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bstract Expression in Korean Modern Ceramic Art-
dc.format.pagex, 63 p. : 채색도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