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0 Download: 0

한지를 사용한 콜라주기법의 창의적 표현연구

Title
한지를 사용한 콜라주기법의 창의적 표현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Creative Expression of the Collage Using Traditional Korean Papers : focused on the teaching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uthors
김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한지콜라주기법창의적 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 kind of integrative modem art education, and its object is to make students interest by experiencing various drawing methods, recognize the excellence of our traditional beauty, grow individual personality and creativity through wide understanding of the modem paintings, and participate in their painting classes confidently and pleasedly. According to this object I chose the following approaching directions. 1. What is the effective way to choose and reorganize the instructive methods which strengthen the expression ability using colorful Korean paper and many materials? 2. How can I find the elementary syllabus to prepare the gradual teaching methods for open thoughts? 3. What type of performance evaluating program can make interesting art classes? 4. How can I integrate effectively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I began this research at Kwangmyeong Buk High School located in Cheolsan-dong Kwangmyeong City applying to the 2nd grade students from 1998.4 to 1998. 6 and it paid me off. And I continued this project in Kwangmyeong Girls Middle School applying to the 1st and 3rd grade students during the art classes and self-studying classes from March to November in this year. I selected researching direction and problems through questionnaires of teachers and students. I applied the evaluation programs of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n traditional Korean papers. In this research I have tried various teaching method such as integrative curriculums, and open art-education. I divided my art classes into five stages. The 1st stage is to scheme the sketch of new work. The 2nd stage is to comparative evaluation during the classes. The 3rd stage is to self-evaluate and the 4th stage is to appreciate and evaluate other students' work. Finally the 5th stage is to evaluate the completed work. I practis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observative methods, kept the check-list and took pictures of the work throughout the whole stage of classes and used them as a feedback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the classes into eleven levels of lessons. These days, we need a serious study for the better art education, so I tried to find the adequate system of ideal art class for the 7th art education curriculum which aims to balance on reality and theory. As a result I g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Students can recognize the merit of coloring Korean traditional papers and the new aspect of western paintings.. 2. I can give students self-confidence in realistic expression. I lead my students to escape the art education focused at cubist picture before the 19C and express things with open mind and they can enjoy my class. 3. They can understand the variety of materials and moulding language of our modem society by recycling wastes. Since Picasso we tried to combine the various painting materials surrounding us. Moreover I add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to these materials. 4. They learn how to use these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ways and they had the theoretical system though faithful basic studies. 5. I can think out appropriate and systematic class model ba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preference of art class. 6. I tried to develop fie individual creativity by collecting materials systematically and introducing various gradual method of teaching stages. 7. I suggest a turning point into a better eyes for beauty by comparing the art work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ose of middle school students. 8. I can relate the school art class to our real society through some movements such as visiting art museum, students art festivals, and exhibiting at least one art work at home. And I performed experiencing art works, expressing and appreciating the art works at the same time, which is one of the 7th art education curriculum's objects. 9. I can learn academical techniques systematically by participating actively and voluntarily in this project. Since the 7th art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 the individual personality, creativity, and emotion. And in its contents it stresses continuity, systematic quality, integration based on essential studying elements and learning activity, I selected the subject of my teaching-learning research which emphasizes to familiarize the art in our real world, establish subjectivity of our art tradition , understand the worldwide cultures, strengthen the sensitivity of beauty.;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통합적 교육의 한 일환으로서 다양한 회화 방법을 직접 경험하게 하여 미술에 흥미를 갖게 하고, 전통재료를 현대미술에 도입함으로써 전통재료의 우월성과 주체성을 인지시키며, 현대미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개성과 창의성을 길러, 누구나 자신 있고 즐겁게 수업에 참여하게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를 설정하였다. 1. 창의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색한지와 여러 가지 재료를 통합하여 열린 회화 지도 방안을 어떻게 선정하여 재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2. 열린 사고를 위한 단계적 지도 방안의 마련을 위하여 어떻게 기초적 교수 요목을 찾아낼 것인가? 3. 어떠한 형태로 수행평가 프로그램을 만들어 적용시켜야 흥미로운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가? 4. 표현 활동과 감상 활동을 어떻게 통합하여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본 연구는 광명시 철산동에 위치한 광명북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 600명(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1998년 4월부터 6월까지 수업을 진행하여 교육적 효과를 본 후 본 연구자가 다음해 광명시 하안동에 위치한 광명여자중학교로 전근을 하자 본격적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대상은 광명시 광명여자중학교 1학년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3월부터 1999년 11월30일까지 본 과정수업을 하고 자기주도 학습 시간에는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사 및 학생을 설문 조사하여 문제점과 연구방향을 선정하였고, 한지 바탕 위에 여러 가지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평가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합적 교육과정, 열린 미술 교육, 프로젝트 접근법 등 다양한 방식을 접목하여, 본 수업을 5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1단계로 작품 구상스케치, 2단계로 수업 진행 중 비교 평가, 3단계로 자기 진단평가, 4단계로 동료학생 감상평가, 5단계로 완성 작품 평가, 등 단계적 수업을 진행하여 수행평가 하였으며, 관찰법과 체크리스트를 병행기록 하고 작품활동을 사진을 찍어 자료를 수집한 후 다음수업에 참고를 하였으며 다른 관련단원까지 확장해 나가면서 11단계로 체계적 미술 활동 시간을 가졌다. 미술교육 현장에서 보다 나은 교육을 위해 변화된 질적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이론과 실제가 조화를 이룬 7차 교육과정에 합당한 수업체계를 모색해 보고자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생한지와 콜라주의 통합을 통해 색한지의 우수성과 회화의 새로운 면을 인식하였다. 전통회화는 과거 고려 시대의 그림방식이나 조선시대의 그림방식을 답보 하는 것이 전통 미술의 특징이라고 생각해오던 학생들이 색한지위에 콜라주 통합해 봄으로서 재료의 우수성과 통합을 통한 조화로움을 알게 되었다. 둘째, 사실적인 표현에 자신이 없는 학생들의 자신감을 부여했다. 19세기 이전의 미술인 입체적 표현 위주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사물을 표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에 나감으로써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열린교육을 실시, 누구나 미술을 좋아할 수 있는 자신감을 부여했다. 셋째, 폐품 활용으로 현대 산업사회의 새로운 조형언어 및 현대 미술을 자연스럽게 이해했다. 입체주의 피카소 이후 새로운 조형언어로서 다양한 주변재료를 현대미술에 접목해오고 있는바, 한 걸음 더 나아가 전통 색한지 위에 주변재료를 접목해 자연스럽게 현대 미술의 한 양식을 이해하게 했다. 넷째, 다양한 재료 사용과 표현 방법을 터득했다. 기초 학습 을 통해 다양한 재료와 표현 방법을 접목 터득케 하였으며 아울러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였다. 다섯째, 미술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수업모형을 구안했다. 설문 조사를 통한 선호도를 파악하여 단계적이고 적절한 수업모형을 구안 수행평가 하였다. 여섯째, 체계적으로 재료를 수집하고 수준 높은 단계적 수업을 통해 창의력 신장을 도모했다. 구상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재료를 수집하였으며, 단계적 수업 방식을 도입함으로서 창의력 신장에 도모, 다른 단원과 연계하여 확장해 단계적으로 수업이 향상되었다. 일곱째, 감상 예시작품을 중ㆍ고등학교의 비교로 미술 수업에 대한 전환적 방향을 제시했다. 전년도에 실시한 고등학교 작품을 예시 작품으로 보여줌으로서 중학생들의 미적 안목이 높아지고 중·고등학교의 미술 작품 비교로 미술 수업에 대한 전환적 방향을 제시했다. 여덟번째, 교육현장에서의 수업에서 탈피하여 사회와의 연계성을 가졌다. 수업에서 배운 것을 실생활에서 느끼고 적용할 수 있도록 미술관 견학, 예술제를 통한 일인 일 가정에 작품 걸기 등을 확장해 나가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미적체험과 표현, 감상을 병행하였다. 아홉 번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문적 기술을 통합적 체계적으로 습득했다. 프로젝트에 의한 활동을 통해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해나갔으며, 다른 학생의 작품을 감상 기록해 봄으로써 미적 감상 능력을 기르고 통합적 안목을 넓혔다. 특히 제 7차 미술과 교육 과정은 개성, 창조, 정서 교육으로써의 미술 교과의 성격을 더욱 강조하고, 내용 구성에 있어 필수 학습요소 및 활동을 중심으로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을 중요시하므로 미술의 생활화,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주체성 확립 및 세계 문화에 대한 이해, 미적 감수성 및 가치관 확립 등을 강조하여 교수학습연구로 삼았다. 주석 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