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장애 학생의 방해행동,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장애 학생의 방해행동,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on the disruptive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오주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기능평가장애학생과제수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to reduce disruptive behaviors and improve task engag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showing disruptive behaviors to both themselves and others, who enrolled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of a primary school, were involved. They were embedded in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after the assessing the function of disruptive behaviors through structured interview and observation. For the study,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ty and follow-up sessions using multiple design across subjects was performed. No special intervention but normal group studies were performed during baseline, and then social story interventions based on the functional assessment were performed for the intervention period. In other words,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performed after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disruptive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Generality examination was undertaken for three sessions in the regular clas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at was performed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by a special teacher. Also, three more sessions of maintenance examination after the withdrawal were implemented to evaluate the maintenance effects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in disruptive behavior for all three participants. Secondly,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task engagement. Thirdly, although the result of generality wasn't consistnet, effects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performed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wed good generality even in the inclusive regular class for participant 1 and 2, except 3. Lastly, reducing (decreasing) the percent of disruptive behavior and increasing the percent of task engagement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disruptive behavior and increase in task engagement and these effectiveness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while it showed good generality for the participant 1 and 2, except 3.;장애 학생들은 다양한 문제 행동을 보인다. 이들이 보이는 문제 행동은 학교에서의 적응을 방해하고,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방해하며, 자신과 타인의 학습 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문제 행동 중재가 특수교육의 우선적 중재 목표가 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문제 행동 그 자체의 제거보다는 그 행동이 가진 기능을 파악하여 사회적으로 더 수용 가능한 방법으로 중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 행동 중 자신과 타인의 학습에 방해가 되는 방해행동을 하는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행동의 기능평가를 한 후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방해행동이 감소하는지,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는지, 통합학급에서도 일반화되는지, 중재가 제거된 이후에도 효과가 유지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 학습도움실내 입급된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아동들은 모두 학습도움실의 수업 중 높은 비율로 방해행동을 보였으며, 과제수행행동 발생률은 매우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특별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평소대로 그룹 수업을 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학습도움실내 특수 교사에 의해 실시된 중재 효과가 통합학급에서도 일반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회기 동안의 일반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중재가 종료된 지 5주후에 3회기 동안의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하여 방해행동이 감소되었다. 둘째, 대상학생 모두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하여 과제수행 행동이 증가하였다. 셋째,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의 효과가 통합학급에서 실시되었을 때의 일반화 결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즉, 대상학생 1은 기초에 비해 방해 행동이 감소하였고, 과제수행행동은 증가하였으나 자료가 다소 불안정하였다. 대상학생 2는 통합학급에서 실시되었을 때 일반화되었다. 대상학생 3은 일반화되지 않았다. 넷째, 대상학생 모두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제거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기능평가에 기초한 상황이야기 중재는 장애학생의 방해행동을 감소시키고, 과제수행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중재 제거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화의 경우는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황이야기 중재는 방해행동의 감소 및 과제수행 행동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는 교사의 수업 진행을 원활하게 하고 또래학생들에 대한 방해 행동의 감소를 통해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어 일반 학교에서의 통합 촉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상황이야기 중재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여 통합학급의 전체 규칙을 다루는 상황이야기 중재 등으로의 확장을 통해 통합학급에서 사용하기에 용이한 중재 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