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은경-
dc.creator노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22-
dc.description.abstract우리가 안고 있는 교육의 문제는 매우 다양하다. 그 근본문제는 제도에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공교육제도는 지난 세기말 서구에서 도입된 이래 학교라는 기구가 교육을 독점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그것은 사회성원 누구에게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국가가 경제적 발전을 이루는데 나름대로 기여하였으나, 반면에 관료주의적이고 획일적인 제도화로 인해 시대변화에 부응하지도 못하고, 수 많은 부적응 청소년을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입시 위주의 획일적인 지식 교육은 교육문화를 비인간적이고 비교육적으로 만들어 놓았다. 학생들은 학교를 '감옥' 또는 '수용소'라 부르며 교사는 '통제자', '감시자'로 전락했다. 상황은 날로 심각해져 '학교의 붕괴'라는 말이 심각하게 거론되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서 2∼3년 전부터 대안학교가 사회적으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시작했다. 오래전부터 대안교육을 실천해왔던 몇몇 학교의 이름이 널리 알려 지기 시작했고, 대안학교의 설립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게다가 교육부조차 '특성화학교'라 하여 대안학교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교육부가 발표한 <2000년대 창조적 인간육성을위한 교육 개혁안>에도 불구하고 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이미 치유할수 없을 정도로 뿌리를 내렸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제 대안학교의 흐름은 하나의 거대한 강물을 만들어가고 있다. 대안학교란 기존의 제도교육에서 규정한 학교의 형태와 내용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교육이념에 따라 새롭고 다른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학교를 말한다. 대안학교들은 추구하는 이념이나 형태가 매우 다양하나 다음과 같이 네가지 유형화 해볼 수있다. 첫째, 자유학교형 대안학교이다. 종래의 학교교육이 아이들을 지나치게 억압하며 교사중심으로 이루어짐을 비판하고, 아이들의 자유를 중시하고 주체가 되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생태학교형 대안학교이다. 이 학교는 생태와 노작, 그리고 지역사회와 학교의 결합을 중시한다. 셋째, 재적응 학교형 대안학교이다. 학교 부적응 학생을 주된 대상으로 하는 학교이다. 넷째, 고유이념 추구형 대안학교이다. 독특한 교육이념과 방식을 바탕으로 대안교육을 실천하는 학교이다. 현재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대안교육의 이념성은 학교마다 매우 다양한 가치체계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한 두가지로 요약하기 어렵지만, 그 공통적인 특징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지속가능한 가치의 지향이다. 둘째, 지역사회 속의 '작은 학교' 지향이다. 셋째, 교육주체의 원상회복이다. 넷째, '나'의 변화를 통한 교육이다. 대안학교의 실태를 보면 1999년 현재 거창, 풀무, 간디, 성지, 양업, 원경, 한빛, 화랑, 동명, 두레, 세인, 푸른꿈 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이 중에 거창과 풀무를 제외한 나머지 열 학교가 특성화고등학교로 작년과 올해에 걸쳐 개교한 학교이다. 대안학교를 희망하는 학생은 점점 많아지고 있어 대안학교의 설립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렇게 대안학교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은 대안학교가 종래의 제도권학교와는 달리 학생을 교육의 주체로 회복시키고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전인적인 교육을 하며 현대사회에 필요한 더불어 사는 법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미술교육은 전인적인 인간이 되는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교육이다. 주입식 지식교육에만 치우쳤던 기존 교육의 상대적으로 결핍되었던 창의성, 감성 등이 가장 많이 배양될 수 있는 교과이기 때문이다. 창의성과 감성 뿐만 아니라 모든 학문 탐구에 기본이 되는 다양한 사고능력과, 주의깊은 관찰력 또한 미술 학습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것들이다. 고로 입시위주의 주요과목(수학, 영어, 국어 등)에 밀려 부수적인과목으로 취급받았던 미술교육은 보다 중요한 과목으로서의 위치를 되찾아야 한다. 대안학교의 미술교육은 이러한 인식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대안학교의 미술교육은 전인적인 인간이 되는데 중요한 교과로 여겨지며 대안학교의 미술교육 또한 각 학교마다 그 형태도 다양하고 내용도 다양하지만 공통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점수의 구속에서 벗어나 미술 그 자체를 기쁘고 즐거운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둘째, 삶 속의 미술교육을 지향한다. 셋째, 교육주체의 원상회복이다. 넷째, 1대 1 개별화 수업을 지향한다. 대안학교의 미술교육 본래의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었다. 대안학교가 시작단계에 있는 이상 대안학교의 미술 교육은 이제 막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고 하겠다. 학생들을 위한 더 좋은 프로그램이 각 학교가 연계되어 연구되어지고 개발되어서 더 나은 교육에 보탬이 되고 기존의 학교에까지 바람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한다.;There are great varied problems we have of the education. A fundamental problem has originated in the system. Ever since modem official school system has brought in from western in the end of last century, the system so called "school" has been developed the education in a way of monopolize. Despite the fact that it offered every social members a chance to get educated, and contributed a nation to accomplished economic development in its own way, the other side its bureaucratism, though uniform system which doesn't met a change of time, led to a result of mass producing youth whom unable to adapt. The uniformed education which gives the first consideration to an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has created a education culture which is inhuman and dis-educational. Thus, students call school as a 'jail' or 'cage', and teachers have degraded to 'regulators' or 'overseer's' As the circumstance has worsen day by day, the words of 'collapse of school' has started to seriously discussed. In the middle of a time like this, alternative school has started to arouse social interest since 2 to 3 years ago. The name of several school that started practicing alternative schooling a long ago has become known to people, and it has achieved to establish here and there. Moreover, even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tarted to support alternative schooling as a 'Characteristic school'. In spite of <An education reform proposal for Year 2000 creative human upbringing> announcemen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has disproof that couldn't recover the distrust of an official schooling which already take root in deeply. Now progression of alternative schooling is making one huge river. Since 1998 of march, researcher ha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alternative schooling and the education of the fine art in PulMu Agriculture Technology High School which representative of alternative school, and has planned to write this thesis due to the fact that researcher has felt the necessary of research on alternative schooling. Alternative school is a school that is contrary to former education system and try to make new and different form of education in according to unique education ideology. There are varied ideology or form that alternative school has pursuiting, but we can form these to four types. First, Unrestricted Type Of School. This, alternative school criticize the fact that former schooling has restricted the students excessively and that the teachers are center of schooling. And practice the education which it is consider more about -freedom of the students and make them to be prime object. Second, The Mode Of Life Type Of School. This, alternative school makes much of uniting the mode of life with laborious work, and a community with schools. Third, Readaptation Type Of School, This is a school that targeting the student who couldn't adapt to former school system. Fourth, Peculiar Ideology Pursuing Type Of School. It practice the education that is basis on unique educate ideology and method. Now, within country, since the spread of the ideology of alternative schooling of every school are pursuing very varied system-values, it is hard to summarize one or two kinds, but we can summarize .the a common characteristics as shown in below. First, aim at value that possible to continues. Second, aim at 'little school' that is within a community. Third, Restoration of the core of education. Fourth, Education through transforming 'myself'. To observe the actual state of alternative school in present of year 1999, there are Goachang, Pulmu, Gandi, Sungje, Yangup, Wonkyung, Hanbit, Hwarang, Dongmyung, Sayin, and PulunGum high school. Except Goachang and Pulmu, ten schools have had the opening as characteristic high school through last year and this year. There is prospect that establishment of alternative school will continue to increase because of that there are increasing of students who wish to go to alternative school. The fact that demand for alternative school is continues to rise, because not like former education system, it teaches humanization through various educating courses and also restored students to be the prime object and teach how to get along with people which is essential to modem society. It is the course of study that breed must of creativity and sensitivity relative to the former education system lack of, which lean toward to cramming education. Also we can gain not only creativity and sensitivity, but gain various thinking power and the power of careful observation that are basis of every knowledge we study. Therefore, the education of fine art which has been pushed out as accessory to main course of study for an entrance examination, should put back into the place where it is treated as a more important course of study. The education of the fine art in alternative school has practiced basis on recognition of such this fact. The education of the fine art in alternative school is regarded as an important course that teaches humanization, and it also has various form and subject matter, but there are common characteristics as shown below. First, be free from bound of marks and understand the art itself as delightful and joyful things. Second, pursuit the education of the art in life. Third, restoration of the prime object of education. Fourth, pursuit one on one individual teach. The fine art schooling of alternative school has shown well functioning of essentially. Since alternative school is in a period of the beginning, we can say, the fine art schooling of alternative school is now trying a new attempt. Each school should get together and work together to research and develop more good programs for the students and be an aid to better education so it can have desirable influence on the former schools to go for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대안교육·대안학교 = 5 A. 대안교육·대안학교의 개념 = 5 B. 대안학교의 이념적 지향 = 17 C. 대안학교의 실태 = 22 Ⅲ. 대안학교의 필요성 = 31 A. 21세기를 향한 교육적 비젼 = 31 B. 한국교육의 문제 및 실태 = 35 Ⅵ. 학교교육과 미술 = 41 A. 학교교육에서의 미술의 위치 = 41 B. 대안학교의 미술교육 = 47 Ⅴ. 대안학교의 교육과 미술교육 사례 = 53 A. 간디학교 = 53 B. 풀무농업고등학교 = 69 C. 두레자연고등학교 = 80 D. 영산성지고등학교 = 85 Ⅵ. 결론 = 100 참고문헌 = 106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005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대안학교-
dc.subject교육-
dc.subject미술교육-
dc.subject사례-
dc.title대안학교의 교육과 미술교육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