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경숙-
dc.creator박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9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luntary learner interaction provided by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creativity, one of the significant aims of the art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setting where two 5th grade classes from an elementary school were chosen, one for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for the control group.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nstruction model (or method), including PBL for the treatment group and the traditional teacher- directed instruction for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score of creativity, which is subdivided into 4 components: total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One-way ANOVA and SPSSWIN program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earch finding showed that PB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total creativity, fluency, and elaboration. The plausible reason for the finding was discussed: The active class participation such as the selection of the learning issues independently provided by PBL, may have affected the intellectual process as a new learning experience, which the learners never experienced in the traditional teacher-directed instruction. However, the study did not find the positive effect of PBL on the flexibility and the originality, two of the 4 subdivided components of creativity. This finding was probably due to several factors as follows: how the teacher applied PBL to the class, how deeply the learners understood PBL. In the conclusion, even though PBL did not produce a positive effect on all the subdivided components of creativity, learner- centered and -directed environment provided by/in PBL has an influence on the process of learning, indicating that PBL could be an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for creativity in art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PBL(Problem-Based Loaming) 환경이 제공하는 학습자 구성원간의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다양한 학습경험이 미술교육 목표의 하나인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학년을 2 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으로 편성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수업방식으로서 PBL 학습방식의 수업과 전통적 방식의 수업이며, 종속변인은 창의성 점수로서 이 창의성 점수는 다시 전체 창의성, 유창성(flexibility), 유연성(flexibility), 독창성(originality), 정교성(elaboration)으로 세분화된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창의성 검사 결과 두 집단의 평균간에는 전체창의성, 유창성, 정교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짐으로써 PBL 방식을 통한 수업활동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전체창의성, 유창성, 정교성 신장에 효과적임이 드러났다. 이는 PBL 학습방식이 제공해주는 학생 중심의 자유로운 사고활동이 창의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즉, 학습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스스로 학습안건을 결정하게 하는 것은 이전 학교학습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으로서 사고활동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둘째, 창의성의 4개 하위 요인 중 유연성과 독창성에서는 PBL 학습을 통한 수업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별다른 효과를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PBL 수업방식을 교사가 어떻게 운영하는가, 그리고 학생들이 얼마나 심도 있게 PBL 을 이해하였는가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보면 PBL 수업방식은 창의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창의성의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못했다 할지라도 PBL 환경이 제공하는 학습자의 주도적이며 자유스럽고 확산적 사고가 가능하게 하는 협력학습의 특징은 창의성 신장에 크건 작거나 관계없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가설 및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미술교육에서의 창의성 = 7 2. 미술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 = 14 3. 미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 = 25 4. 문제중심학습과 창의성 = 31 Ⅲ. 연구방법 = 39 1. 연구대상 = 39 2. 실험설계 = 40 3. 실험도구 및 절차 = 41 4. 측정도구 및 요인 = 43 5. 자료분석 = 43 Ⅳ. 연구결과 = 45 Ⅴ. 논의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63 부록 = 67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5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 미술과-
dc.subject창의성-
dc.subjectPBL-
dc.subjectProblem-Based Learning-
dc.title초등 미술과에서 PBL(Problem-Based Learning)방식의 수업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