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미영-
dc.creator전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74-
dc.description.abstractIt is important to develop efficient reading ability because learning requires good reading skill. Our past education on reading focused on using a dictionary or reading comprehension emphasizing vocabulary and grammar. But since the Korean SAT, our education on reading has changed toward reading materials rapidly without using a dictionary. As a result of the changing of reading education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is to help the students have efficient reading ability. This study gave the students an opportunity to read various reading materials chosen for themselves. And after this activity students can achiev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then they can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itself. Frist of all,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y with interest, students were given the choice to choose their reading material for themsel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 year co-educated high school students in Pundang.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a ten week period. The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a chance to choose the reading material for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 and their interest. But the students in a control group were taking an English class as usual doing activity like looking for main idea. The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read the material chosen for themselves and then fill out the story retelling checklist. And then they have to participate in Literature Discussion Study once a week to discuss what they read. After finishing the literature discussion study the students have to do self-assessment about literature discussion study. During literature discussion study, a teacher has to observe the students and write down what he or she obser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tudents' attitude students were given to take self-assessment on reading activity process. And to know the concrete change in their attitudes the teacher had to interview some students in depth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ANCOV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ontrol group, giving students an opportunity to read various materials was very efficient 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it also made the student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itself. Second between the upper level students and the lower level students, the reading activity using the material chosen for themselves is efficient in the lower level students and the upper level students.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Fourth analyzing the self-assessment on reading activity, the result show that reading activity make most of the students have a positive attitude on reading itself.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should give their students time to read materials independently. The high school students have the goal to get a good score in student's aptitude test. So teachers have to give students many opportunities to read various materials and guide them to general understanding of a text. Second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reading and confident in their own reading ability by expressing his or her trust in their student's potentiality. Third, in this study the reading activity was done for just ten minutes in a classroom but when this activity are supposed to do outside of the classroom the results will be very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dividualized instruction according to amount of reading material and the amount of time. In conclusion, as the reading activity using the material chosen for themselves result in the positive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t is desirable to adopt the activity in the classroom. Also it is necessary to do the study to connect reading activity in the classroom with the outside the classroom.;읽기는 모든 학습의 기본적인 기능이므로 학습자들은 효율적인 독해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전의 우리나라의 읽기 교육은 과거의 사전 사용이나 단어와 문법 중심의 해석을 중시하는 측면에서 이루어 졌으나 주어진 시간에 읽기 자료를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를 다루는 문제가 대부분인 대학수학능력고사 실시 이후 우리나라의 읽기 교육은 사전 없이도 문맥을 통해 추측하여 글의 주요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읽기 교육의 방향의 변화로 인하여 학교에서도 학습자로 하여금 글의 주제 찾기,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기, 같은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독해 하기 등의 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이 읽기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 목표달성의 한 방안으로 읽기 활동 시간에 읽는 읽기 자료를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직접 선택하도록 하는 읽기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실험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실험 연구는 어느 정도의 독해 능력을 갖춘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자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여 한 반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0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에게는 자신들의 수준과 흥미에 따른 읽기 자료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들의 읽기 자료를 직접 선택하게 하였고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은 교과서 지문을 이용하여 주제 찾기 및 글의 내용 파악을 하는 읽기 활동 등을 하고 실험을 시작하였다. 읽기 활동을 한 후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 변화를 보여주는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고, 심화인터뷰도 실시하였다. 자신이 선택한 자료를 통한 읽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력 향상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이 선택한 자료를 통한 읽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읽기를 한 통제 집단에 비해 독해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 집단내 상·하 집단의 두 집단 모두 독해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남·녀 두 집단 모두 독해력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들의 수준 및 성별에 따른 향상도를 보면 상위집단의 학습자들 보다 하위집단의 학습자들의 독해력 향상이 높으며 하위학습자들 중에서도 여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인 유의미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과 성별에 따른 독해력 향상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는 자기 평가를 분석 한 결과 학습자의 수준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 읽기 활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에게 교과서만을 이용해 읽기 방법에 대해 교수하는 것만으로는 학습자들이 실제 언어 자료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부족한 점이 많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다양한 읽기 자료를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읽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본다. 둘째, 교사는 외국어 학습자가 독립적인 읽기 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학습자 스스로 점차적으로 수정하며 독립적인 독자와 자율적인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인내심을 갖고 지켜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셋째, 자신이 선택한 자료를 통한 읽기 활동은 교실 내에서만 10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졌으므로 이러한 활동을 교실 밖에서 한다고 하였을 때 상·하 집단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읽는 양이나 시간을 차별화 하는 개별화 교수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자신이 선택한 자료를 통한 읽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독해력 향상 및 읽기 태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므로 자신이 선택한 자료를 통한 읽기 활동이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것은 바람직하다가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자신이 선택한 읽기 자료를 통한 읽기 활동이 독해력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보다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학년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교과서 이외의 지문이 많이 출제되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 자료를 접할수록 대학수학능력고사에서 좋은 점수를 얻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학교에서의 개인별 독립적인 읽기 활동이 가정에서의 영어 독서로 연결될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1. 읽기 과정 = 3 2. 책 읽기의 중요성 = 5 3. 읽기 자료로서의 문학 작품 = 8 4. 문학 토론 연구(Literature Discussion Study) = 11 5. 선행연구 = 13 Ⅲ. 연구 방법 = 18 1. 연구질문 = 18 2. 실험 대상 = 18 3. 실험 자료 = 19 4. 실험 절차 = 27 5. 연구의 제한점 = 3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1 1. 읽기 활동 후 독해력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1 2. 읽기 활동 후 참여한 활동의 자료 분석 = 41 3.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 변화에 대한 자기 평가서 결과 분석 = 53 4. 읽기 활동에 관한 심화 인터뷰 결과 분석 = 58 5. 학습자 자가선택 자료를 통한 읽기 활동의 교실 적용 방안 = 65 Ⅴ. 결론 = 67 참고문헌 = 69 부록 = 75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414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습자-
dc.subject자가선택자료-
dc.subject영어 독해력-
dc.title학습자 자가선택 자료를 통한 읽기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력 향상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reading activity using the learner's chosen material on the reading ability and the attitud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c.format.pagex,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