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효인-
dc.creator조효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31-
dc.description.abstract장애아동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립생활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일상생활기술과 더불어 의사소통기술의 습득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언어적, 인지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에서 구어사용이 어려우며 몸짓, 얼굴표정과 같은 비상징적 의사소통을 하게 되므로 다양한 의사소통 접근에 제한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필요와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고 구체적인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는 상징체계의 의사소통 중재가 필요하며 상징체계를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습득시킬 수 있는 아동의 학습 특성을 고려한 교수 전략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AAC 도구 사용 습득을 촉진하기 위하여 비디오를 통한 자기모델링(self-modeling)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훈련을 통해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의 정반응률, 의도의 다양성, 조합상징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지를 살펴보고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한 공립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3명의 중도 정신지체 초등학생이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v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고,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하여 AAC 도구 중 의사소통판 사용 훈련을 실시한 후,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의 정반응률, 의도의 다양성, 조합상징 사용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총 9~15회의 중계를 실시하였으며, 중재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단계와 미술 활동 단계로 진행하였고, 매 회기마다 평가 10분, 중재 20분이 소요되었다.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 및 상황 일반화 즉, 연구자가 아닌 다른 대화 상대자와 아동이 속한 학급에서 상황 일반화를 3회기 실시하였으며, 중재 종료 3주 후에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세 대상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의 정반응률을 증가시켰다. 둘째,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세 대상아동의 의사소통 의도의 다양성을 증가시켰다. 셋째,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세 대상아동의 조합상징 사용을 증가시켰다. 넷째,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를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은 다른 대상 및 상황으로 일반화되었다. 다섯째,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를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이 중재가 종결된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using video self-modeling for the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Subjects were three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ged from 9 years 11 months to 13 years 2 months. Multiple Probe Design on the object has been used. The stage of intervention session consisted of video self-modeling and art activities. And the evaluation is for 10 minutes before the intervention and the intervention was offered for 20 minutes. The ru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on using video self-modeling increased the communicative behavior which used the AAC aid(communiction board) of the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Secon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on using video self-modeling increased the variety of a communicative intention. Thir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on using video self-modeling increased the use of an combination-symbol. Fourth, The communicative behavior was generalized to other subject and situation. The communicative behavior was acquired throug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on using video self-modeling. Fifth, The communicative behavior which was acquired throug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on using video self-modeling was maintained to three weeks follows 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 개요 = ⅷ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특성 = 8 1.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정의 및 특성 = 8 2.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 10 B. 중도 정신지체아동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 = 11 1. 비상징적 의사소통(Nonsymbolic Communication) = 12 2. 보완 ·대체 의사소통 = 14 3.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한 AAC중재 = 17 C. 비디오를 활용한 중재 = 18 1. 비디오 자기모델링의 개념 = 18 2. 비디오를 활용한 선행연구 = 19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실험기간 = 26 C. 실험 장소 및 도구 = 26 D. 중재활동의 선정 = 28 F. 실험 설계 및 실험 조건 = 29 E. 관찰 및 측정 = 34 Ⅳ. 연구결과 = 38 A.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대상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38 1. 의사소통 행동의 정반응률 = 38 2. 의사소통 행동 의도의 다양성 = 41 3. 조합상징의 사용 빈도 = 44 B.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를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의 일반화와 유지 효과 = 46 1. 대상 몇 상황 일반화 = 46 2. 유지 = 48 V. 논의 및 제언 = 50 A. 논의 = 50 B. 제한점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2 부록 = 71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621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비디오 자기모델링-
dc.subject대체의사소통-
dc.subject정신지체아동-
dc.subject의사소통-
dc.title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using Video Self-Modeling for the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